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91.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48

.NET Framework: 494. 값(struct) 형식의 제네릭(Generic) 타입이 박싱되는 경우의 메타데이터 토큰 값
; https://www.sysnet.pe.kr/2/0/1857

.NET Framework: 495. CorElementType의 요소 값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860

.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 https://www.sysnet.pe.kr/2/0/2894

.NET Framework: 510. 제네릭(Generic) 인자에 대한 메타데이터 등록 확인
; https://www.sysnet.pe.kr/2/0/2907

.NET Framework: 844. C# - 박싱과 언박싱
; https://www.sysnet.pe.kr/2/0/11943

.NET Framework: 955.  .NET 메서드의 Signature 바이트 코드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2379

.NET Framework: 1130. C# - ELEMENT_TYPE_INTERNAL 유형의 사용 예
; https://www.sysnet.pe.kr/2/0/12903

.NET Framework: 1174. C# - ELEMENT_TYPE_FNPTR 유형의 사용 예
; https://www.sysnet.pe.kr/2/0/12998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IL 코드로 프로그램을 하는 경우, 한 가지 문제가 있다면 Generic 타입으로 정의된 변수의 box 연산입니다. 이렇게 말하면 잘 이해가 안되므로 코드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

public static object[] Arg2GenericMethod<T, V>(T arg1, V arg2)
{
    object[] objArray = new object[2];
	
	/*
    objArray[0] = arg1;
    objArray[1] = arg2;
	*/

    return objArray;
}

위와 같이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을 때 주석으로 표시된 영역의 코드를 IL로 직접 만든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시는 것처럼, object 변수에 "값 타입(Value Type)"의 인스턴스를 넣는 경우 box 연산을 수행해야 하지만, "참조 타입(Reference Type)"의 인스턴스인 경우에는 box 연산이 필요 없습니다. 따라서 위의 메서드에서 T, V 제네릭 타입의 실제 구현체가 값 형식인지, 참조 형식인지 알아야만 box 연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 IL 코드 수준에서는 아직 JIT 컴파일되기 전이므로 그것을 알 수 없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런 경우 무조건 box 연산자를 넣도록 정하고 있는데 실제로 위의 메서드를 주석 제거하고 컴파일 해보면 다음과 같이 IL 코드가 작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method public hidebysig static object[] Arg2GenericMethod<T,V>(!!T arg1, !!V arg2) cil managed
// SIG: 10 02 02 1D 1C 1E 00 1E 01
{
  // Method begins at RVA 0x207c
  // Code size       32 (0x20)
  .maxstack  3
  .locals init ([0] object[] objArray,
                [1] object[] CS$1$0000)
  IL_0000:  /* 00   |                  */ nop
  IL_0001:  /* 18   |                  */ ldc.i4.2
  IL_0002:  /* 8D   | (01)000001       */ newarr     [mscorlib]System.Object
  IL_0007:  /* 0A   |                  */ stloc.0
  IL_0008:  /* 06   |                  */ ldloc.0
  IL_0009:  /* 16   |                  */ ldc.i4.0
  IL_000a:  /* 02   |                  */ ldarg.0
  IL_000b:  /* 8C   | (1B)000001       */ box        !!T
  IL_0010:  /* A2   |                  */ stelem.ref
  IL_0011:  /* 06   |                  */ ldloc.0
  IL_0012:  /* 17   |                  */ ldc.i4.1
  IL_0013:  /* 03   |                  */ ldarg.1
  IL_0014:  /* 8C   | (1B)000002       */ box        !!V
  IL_0019:  /* A2   |                  */ stelem.ref
  IL_001a:  /* 06   |                  */ ldloc.0
  IL_001b:  /* 0B   |                  */ stloc.1
  IL_001c:  /* 2B   | 00               */ br.s       IL_001e
  IL_001e:  /* 07   |                  */ ldloc.1
  IL_001f:  /* 2A   |                  */ ret
} // end of method Program::Arg2GenericMethod

IL 코드로 번역된,

box !!T

연산의 경우, 바이너리 코드로 보면 "8C 1B 00 00 01"에 해당합니다. 여기서 8C는 box IL 코드에 대한 값이고, 이후 0x1B000001, 0x1B000002는 해당 메서드의 Generic 변수 타입으로 지정된 T, V를 의미하는 메타데이터 토큰 값입니다. 이 중에서 "0x1b......"는 CorTokenType에 정의된 상위 토큰 구분자로써 다음과 같이 미리 정의된 값입니다.

//
// Token tags.
//
typedef enum CorTokenType
{
    mdtModule               = 0x00000000,       //
    mdtTypeRef              = 0x01000000,       //
    mdtTypeDef              = 0x02000000,       //
    mdtFieldDef             = 0x04000000,       //
    mdtMethodDef            = 0x06000000,       //
    mdtParamDef             = 0x08000000,       //
    mdtInterfaceImpl        = 0x09000000,       //
    mdtMemberRef            = 0x0a000000,       //
    mdtCustomAttribute      = 0x0c000000,       //
    mdtPermission           = 0x0e000000,       //
    mdtSignature            = 0x11000000,       //
    mdtEvent                = 0x14000000,       //
    mdtProperty             = 0x17000000,       //
    mdtModuleRef            = 0x1a000000,       //
    mdtTypeSpec             = 0x1b000000,       //
    mdtAssembly             = 0x20000000,       //
    mdtAssemblyRef          = 0x23000000,       //
    mdtFile                 = 0x26000000,       //
    mdtExportedType         = 0x27000000,       //
    mdtManifestResource     = 0x28000000,       //
    mdtGenericParam         = 0x2a000000,       //
    mdtMethodSpec           = 0x2b000000,       //
    mdtGenericParamConstraint = 0x2c000000,

    mdtString               = 0x70000000,       //
    mdtName                 = 0x71000000,       //
    mdtBaseType             = 0x72000000,       // Leave this on the high end value. This does not correspond to metadata table
} CorTokenType;

문제는, 해당 메서드의 signature로부터 메타데이터 토큰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점입니다. 위의 코드에서 보면 SIG 값이 "10 02 02 1D 1C 1E 00 1E 01"로 되어 있는데, 이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0: IMAGE_CEE_CS_CALLCONV_GENERIC == 0x10임, 따라서 값 10과 IMAGE_CEE_CS_CALLCONV_GENERIC을 비트 AND 연산해서 true이므로 Generic 메서드
02: Generic 메서드인 경우 Generic 타입의 수
02: Generic 메서드인 경우 인자의 수
1D: 반환값의 타입 (0x1D == ELEMENT_TYPE_SZARRAY), 따라서 배열
1C: 앞의 sig 값의 의미가 배열이었으므로 이번엔 배열 요소의 타입 (0x1C == ELEMENT_TYPE_OBJECT), 따라서 배열 요소의 타입은 object
1E: 첫 번째 인자의 타입 (0x1E == ELEMENT_TYPE_MVAR), 따라서 타입은 제네릭
00: 앞의 sig 값의 의미가 제네릭이었으므로 이번엔 Generic 변수의 인덱스
1E: 두 번째 인자의 타입 (0x1E == ELEMENT_TYPE_MVAR), 따라서 타입은 제네릭
01: 앞의 sig 값의 의미가 제네릭이었으므로 이번엔 Generic 변수의 인덱스

그 외의 ELEMENT_TYPE_... 값은 CorElementType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typedef enum CorElementType
{
    ELEMENT_TYPE_END            = 0x00,
    ELEMENT_TYPE_VOID           = 0x01,
    ELEMENT_TYPE_BOOLEAN        = 0x02,
    ELEMENT_TYPE_CHAR           = 0x03,
    ELEMENT_TYPE_I1             = 0x04,
    ELEMENT_TYPE_U1             = 0x05,
    ELEMENT_TYPE_I2             = 0x06,
    ELEMENT_TYPE_U2             = 0x07,
    ELEMENT_TYPE_I4             = 0x08,
    ELEMENT_TYPE_U4             = 0x09,
    ELEMENT_TYPE_I8             = 0x0a,
    ELEMENT_TYPE_U8             = 0x0b,
    ELEMENT_TYPE_R4             = 0x0c,
    ELEMENT_TYPE_R8             = 0x0d,
    ELEMENT_TYPE_STRING         = 0x0e,

    // every type above PTR will be simple type
    ELEMENT_TYPE_PTR            = 0x0f,     // PTR <type>
    ELEMENT_TYPE_BYREF          = 0x10,     // BYREF <type>

    // Please use ELEMENT_TYPE_VALUETYPE. ELEMENT_TYPE_VALUECLASS is deprecated.
    ELEMENT_TYPE_VALUETYPE      = 0x11,     // VALUETYPE <class Token>
    ELEMENT_TYPE_CLASS          = 0x12,     // CLASS <class Token>
    ELEMENT_TYPE_VAR            = 0x13,     // a class type variable VAR <number>
    ELEMENT_TYPE_ARRAY          = 0x14,     // MDARRAY <type> <rank> <bcount> <bound1> ... <lbcount> <lb1> ...
    ELEMENT_TYPE_GENERICINST    = 0x15,     // GENERICINST <generic type> <argCnt> <arg1> ... <argn>
    ELEMENT_TYPE_TYPEDBYREF     = 0x16,     // TYPEDREF  (it takes no args) a typed referece to some other type

    ELEMENT_TYPE_I              = 0x18,     // native integer size
    ELEMENT_TYPE_U              = 0x19,     // native unsigned integer size
    ELEMENT_TYPE_FNPTR          = 0x1b,     // FNPTR <complete sig for the function including calling convention>
    ELEMENT_TYPE_OBJECT         = 0x1c,     // Shortcut for System.Object
    ELEMENT_TYPE_SZARRAY        = 0x1d,     // Shortcut for single dimension zero lower bound array
                                            // SZARRAY <type>
    ELEMENT_TYPE_MVAR           = 0x1e,     // a method type variable MVAR <number>

    // This is only for binding
    ELEMENT_TYPE_CMOD_REQD      = 0x1f,     // required C modifier : E_T_CMOD_REQD <mdTypeRef/mdTypeDef>
    ELEMENT_TYPE_CMOD_OPT       = 0x20,     // optional C modifier : E_T_CMOD_OPT <mdTypeRef/mdTypeDef>

    // This is for signatures generated internally (which will not be persisted in any way).
    ELEMENT_TYPE_INTERNAL       = 0x21,     // INTERNAL <typehandle>

    // Note that this is the max of base type excluding modifiers
    ELEMENT_TYPE_MAX            = 0x22,     // first invalid element type


    ELEMENT_TYPE_MODIFIER       = 0x40,
    ELEMENT_TYPE_SENTINEL       = 0x01 | ELEMENT_TYPE_MODIFIER, // sentinel for varargs
    ELEMENT_TYPE_PINNED         = 0x05 | ELEMENT_TYPE_MODIFIER,
    ELEMENT_TYPE_R4_HFA         = 0x06 | ELEMENT_TYPE_MODIFIER, // used only internally for R4 HFA types
    ELEMENT_TYPE_R8_HFA         = 0x07 | ELEMENT_TYPE_MODIFIER, // used only internally for R8 HFA types

} CorElementType;

어쨌든 여기서 중요한 것은! Generic 타입에 대해 얻을 수 있는 정보가 sginature에 명시된 "1e 00", "1e 01"이 전부인데, 도대체 이 정보로부터 어떻게 0x1B000001, 0x1B000002,... 값을 얻어낼 수 있느냐 하는 점입니다.

어떻게 보면, "1E 00", "1E 01"로 되어 있기 때문에 00, 01에 대해 0x1B000001을 각각 더하는 식으로 구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완전히 틀린 가정입니다. 테스트를 해보면 메서드의 Signature가 "// SIG: 30 01 01 01 1E 00"와 같이 나올 수 있지만 내부 IL 코드에서 사용하고 있는 토큰 값은 0x1B000001가 아닌 0x1b000025와 같은 값이 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즉, 1e 다음에 오는 숫자는 0x1b... 토큰의 값과는 완전히 무관합니다.

특이하게도, 이런 generic 타입은 "1e"를 시작으로 그다음 숫자까지를 포함해서 모두 TypeSpec 메타 데이터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 모든 TypeSpec을 열람한 다음,

HCORENUM hCorEnum = 0;
DWORD cEnumResult = 0;
mdTypeSpec typeSpecs[1024];

while (true)
{
    HRESULT hr = pMetaDataImport->EnumTypeSpecs(&hCorEnum, typeSpecs, 1024, &cEnumResult);
    if (hr != S_OK || cEnumResult == 0)
    {
        break;
    }

    for (size_t i = 0; i < cEnumResult; i++)
    {
        // ... 개개 Type Spec 별로 signature를 알아냄.
    }
}

pMetaDataImport->CloseEnum(hCorEnum);

구해낸 Type Spec 하나마다 그것의 signature 값을 구해서 "1e 00", "1e 01" 등의 signature와 직접 비교해야 합니다.

// ...[생략]...
mdTypeSpec foundTypeSpec = 0;

while (true)
{
    // ...[생략]...

    for (size_t i = 0; i < cEnumResult; i++)
    {
        DWORD cbSig = 0;
        PCCOR_SIGNATURE pvSig;
        hr = pMetaDataImport->GetTypeSpecFromToken(typeSpecs[i], &pvSig, &cbSig);
        if (hr != S_OK)
        {
            break;
        }

        BYTE sigs[2] = { 0x1e, 0x00 };
        if (memcmp(pvSig, sigs, cbSig) == 0)
        {
            foundTypeSpec = typeSpecs[i];
            break;
        }
    }

    if (foundTypeSpec != 0)
    {
        break;
    }
}

pMetaDataImport->CloseEnum(hCorEnum);

이 분야로는 자료가 많지 않아서, 이것이 제가 찾아낸 최선의 방법인데 혹시 더 나은 방법을 알고 계신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2024-03-11: IMetaDataEmit::GetTokenFromTypeSpec을 이용하면 위와 같이 enum + GetTypeSpecFromToken 없이 곧바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2-06 07시54분
[Lyn] 닷넷 너무 어렵네요...
[guest]
2015-02-07 09시02분
이건 닷넷 계의 "어셈블리 언어"이야기라서 좀 어렵긴 합니다. ^^ 그래도 익숙해지면. ^^;
정성태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24정성태1/4/201727790개발 환경 구성: 309. 3년짜리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StartSSL [2]
11123정성태1/3/201723305.NET Framework: 629. .NET Core의 dotnet.exe CLI 명령어 확장 방법 [1]
11122정성태1/3/201722776.NET Framework: 628. TransactionScope에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을 참여시키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121정성태1/1/201720662개발 환경 구성: 308.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Core)"와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차이점
11120정성태12/25/201626507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11119정성태12/23/201649164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2]
11118정성태12/22/201635940오류 유형: 374. Python 64비트 설치 시 0x80070659 오류 발생 [3]
11117정성태12/21/201622236웹: 35. nopCommerce 예제 사이트 구성 방법
11116정성태12/21/201624174디버깅 기술: 84. NopCommerce의 Autofac 부하(CPU, Memory) [2]
11115정성태12/21/201627160Windows: 133.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2]
11114정성태12/19/201637161Windows: 132. 역슬래시(backslash) 문자가 왜 통화 표기 문자(한글인 경우 "\")로 보일까요? [2]
11113정성태12/6/201621080오류 유형: 373.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에서 CO_E_ISOLEVELMISMATCH(0x8004E02F) 오류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12정성태11/23/201626273오류 유형: 372. MySQL 서비스가 올라오지 않는 경우 - Error 1067
11111정성태11/23/201634749.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2]
11110정성태11/17/201621415.NET Framework: 626. Commit 메모리가 낮은 상황에서도 메모리 부족(Out-of-memory) 예외 발생 [2]
11109정성태11/17/201621369.NET Framework: 625. ASP.NET에서 System.Web.HttpApplication 인스턴스는 다중으로 생성됩니다.
11108정성태11/13/201621216.NET Framework: 624. WPF - Line 요소를 Canvas에 위치시켰을 때 흐림(blur) 현상파일 다운로드1
11107정성태11/9/201625110오류 유형: 371. Post cache substitution is not compatible with modules in the IIS integrated pipeline that modify the response buffers.파일 다운로드1
11106정성태11/8/201625276.NET Framework: 623. C# - PeerFinder를 이용한 Wi-Fi Direct 데이터 통신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105정성태11/8/201619655.NET Framework: 622. PeerFinder Wi-Fi Direct 통신 시 Read/Write/Dispose 문제
11104정성태11/8/201619128개발 환경 구성: 305. PeerFinder로 Wi-Fi Direct 연결 시 방화벽 문제
11103정성태11/8/201619098오류 유형: 370. PeerFinder.ConnectAsync의 결과 값인 Task.Result를 호출할 때 System.AggregateException 예외 발생
11102정성태11/8/201619152오류 유형: 369. PeerFinder.FindAllPeersAsync 호출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
11101정성태11/8/201621978.NET Framework: 621.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 0x80131363
11100정성태11/7/201628727개발 환경 구성: 304. Wi-Fi Direct 지원 여부 확인 방법 [1]
11099정성태11/7/201630693.NET Framework: 620. C#에서 C/C++ 함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