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96. 마우스 커서가 놓인 지점의 문자열 얻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61 닷넷: 2366. C# - UIAutomationClient를 이용해 시스템 트레이의 아이콘을 열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4018 마우스 커서가 놓인 지점의 문자열 얻는 방법 예전에 잠깐 소개한 적이 있는, The managed way to retrieve text under the cursor (mouse pointer) ; https://www.sysnet.pe.kr/2/2/186 The managed way to retrieve text under the cursor (mouse pointer)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130408-00/?p=4733 위의 글에 공개된 코드는 마우스 커서 밑에 있는 텍스트 내용을 구하는데, 이번에는 '단어(Word)' 단위로 가져오는 것도 소개하는 글이 떴습니다. Reading the word under the cursor via UI Automation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150216-00/?p=44673 그런데, 직접 해보면 아시겠지만 그다지 인식율이 좋지 않습니다. 실제로 "Reading the word under the cursor via UI Automation" 글의 전제 조건에 해당하는 TextPattern 클래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많지 않습니다. 몇 가지 테스트를 해 보니 메모장(notepad.exe),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워드/아웃룩에서는 인식이 잘 되었습니다. 또한 WinForm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때 기본 제공되는 "TextBox" 에디트 컨트롤에서도 인식이 됩니다. 하지만, 그 외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어도비 PDF 리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파워포인트/원노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브라우저, Visual Studio 등에서는 인식이 안 되었습니다. TextPattern 클래스를 구현한 응용 프로그램이 별로 없다는 이야기겠지요. ^^ 어쨌든 그래도 UI Automation의 활용 사례 중 하나로 알아두는 것도! 첨부한 코드는 "Reading the word under the cursor via UI Automation" 글의 예제를 그대로 만들어 본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NET Framework: 497. .NET Garbage Collection에 대한 정리[이전 글] .NET Framework: 495. CorElementType의 요소 값 설명 [최초 등록일: 2/18/2015] [최종 수정일: 10/2/2025]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1-11 09시40분 Auto Translate Mouse At Text Cursor; https://chentiangemalc.wordpress.com/2020/11/10/auto-translate-mouse-at-text-cursor/; https://github.com/chentiangemalc/AutoTran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2정성태11/11/202416104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13811정성태11/11/202410711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13810정성태11/10/202411977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13809정성태11/10/202411834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13808정성태11/9/202412698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13807정성태11/9/202410148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13806정성태11/8/20249597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13805정성태11/8/20249317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13804정성태11/7/202412858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13803정성태11/7/202411148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13802정성태11/6/202411810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113801정성태11/5/202412110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13800정성태11/3/202412790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113799정성태11/2/202410047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13798정성태11/2/202411839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13797정성태11/1/202412681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113796정성태10/31/202411235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113795정성태10/31/202410755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13794정성태10/30/202411392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13793정성태10/28/202411221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13792정성태10/27/202410152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13791정성태10/27/202410068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113790정성태10/27/20249972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13789정성태10/27/202411452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13788정성태10/26/20248854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13787정성태10/26/202412148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