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그다지 친절한 메시지는 아닌 것 같습니다. ^^;

대강 아래와 같은 오류메시지가 나타나는데요.




이 에러에 대한 원인은 다름 아닌 INF 파일에 있었습니다.
보통 다음과 같이 CAB 파일 안에 COM DLL을 포함시키죠.

[AAA.dll]
file-win32-x86=thiscab
clsid={GUID}
FileVersion=1,0,0,1
RegisterServer=yes
DestDir=

오류의 원인은 "1,0,0,1"을 "1,0,0.1"과 같이 중간에 "," 대신 "."을 실수로 찍었을 때 발생한 것입니다.

프로그램 오류의 원인이란... 정말 상상할 수 없는 곳에서 나타나기도 하는가 봅니다. 그거 찾느라 얼마나 고생했는지 생각하면...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2-07 10시36분
[ㅠㅠㅁ] 죄송하지만 어떻게하라는거죠? ㅠㅠ
[guest]
2012-02-07 11시07분
이 글은, ActiveX 배포 시에 발생했던 경험을 공유한 것입니다. 위의 글에서는, INF 파일에 적게되는 버전 정보를 "1,0,0,1"이라고 설정했어야 하는데, 실수로 "1,0,0.1"이라고 적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였습니다.
정성태
2012-11-21 10시23분
[부탁드려요] 저기 그래서 1,0,0.1 을 1,0,0,1 로 바꾸라는 것은 알겠는데요, 어디 들어가서 어떻게 바꾸는지 말씀해 주실수 있나요??
[guest]
2012-11-21 10시57분
ActiveX를 배포하는 CAB 파일은 ActiveX DLL뿐만 아니라 INF 파일이라는 것도 함께 압축되어 있어야 합니다. 바로 그 INF 파일의 내용을 바꿔주는 것입니다.
정성태
2012-11-21 11시31분
[부탁드려요] 아 그러면 CAB파일이라는 것에는 어떻게 들어가나요?? 이것만 알려주세요 ㅜㅠ
[guest]
2012-11-21 12시20분
그런데, 질문을 하신 이유를 혹시 물어봐도 될까요? INF 파일을 바꾸는 것은 ActiveX를 개발하는 측에서 의미가 있는 것이지 사용하는 측에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CAB 파일은 개발자가 ActiveX DLL과 INF를 압축해서 웹 서버에 올려 놓기 때문에 대개의 경우 HTML 페이지의 OBJECT 태그에 경로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16정성태11/26/200828341디버깅 기술: 19. C++/CLI - F11 디버깅 시의 변수 초기화파일 다운로드1
615정성태11/9/200837738.NET Framework: 111. WPF - Window, UserControl 클래스 상속 [1]
614정성태11/9/200837841.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4]파일 다운로드1
613정성태11/8/200827256.NET Framework: 109. WPF - SystemColors 색상표파일 다운로드1
612정성태11/1/200832458.NET Framework: 108. WPF + WCF 환경에서는 DataContract를 권장 [1]
611정성태10/31/200826061오류 유형: 62. WPF - Visual Studio 2008 비정상 종료
610정성태10/24/200829057Team Foundation Server: 26. TFS 2008 SP1 + SQL Server 2008 설치
609정성태10/24/200834724.NET Framework: 107. WPF - RadioButton 데이터 바인딩 해제 현상파일 다운로드2
608정성태10/23/200827488오류 유형: 61. TFS 연결 오류: TF31003, TF30331 오류
607정성태10/18/200826025Windows: 32. 자동 실행 경로에 ".." 가 포함된 경우
606정성태10/18/200827857.NET Framework: 106. WCF - 다중 서비스 호스트파일 다운로드1
605정성태10/18/200831057.NET Framework: 105. WPF - 닫기 버튼을 없애려면.
604정성태10/18/200831726오류 유형: 60. System.Management.ManagementException - Generic failure [1]
602정성태10/15/200834011오류 유형: 59. WPF - XAML 로딩 시 Visual Studio 비정상 종료 [1]
600정성태10/9/200839144디버깅 기술: 18. TFS Team Build + Source Server = 소스 코드 디버깅 [3]
603정성태10/15/200830341    답변글 디버깅 기술: 18.1. 소스 서버 구성, 그 외의 이야기
599정성태10/5/200835581디버깅 기술: 17. TFS Team Build + Symbol Server [1]
598정성태10/3/200826202VS.NET IDE: 57. VS.NET 2008 - 다중 프로젝트에서 단일 SNK를 사용하는 방법
597정성태10/2/200824495Team Foundation Server: 25. VSTS 2008의 Build Explorer
596정성태10/2/200831485오류 유형: 58. WPF : 드롭다운 유형의 ComboBox가 펼쳐지지 않는 문제
595정성태10/1/200839275디버깅 기술: 16.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2]
594정성태9/22/200826918.NET Framework: 104. Win32Exception 클래스 소개
591정성태7/24/200823450오류 유형: 57. VS.NET 2008 TFC - 체크인 시에 비프 음과 함께 정지되는 현상
592정성태7/28/200822913    답변글 오류 유형: 57.1. VS.NET 2008 TFC - 체크인 시에 비프 음과 함께 정지되는 현상 [1]
590정성태7/20/200829185.NET Framework: 103. WPF - ControlTemplate을 코드에서 다뤄보기 [1]
589정성태6/17/200826169.NET Framework: 102. COM 개체의 이벤트를 구독하는 코드 제작 [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