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의 HTML 텍스트를 Copy & Paste해서 test.htm이라는 파일명으
로 저장한 후, 실행해 봅니다.
<  HTML> <  HEAD> 
<  script language=JScript> 
function window.onload()
{
theBody.load( "valueStore" );
alert( theBody.getAttribute( "testvalue" ) );
}
function onSaveClick()
{
theBody.setAttribute( "testvalue", theText.value );
theBody.save( "valueStore" );
}
<  /script> 
<  /HEAD> 
<  BODY id=theBody style="behavior:url(#default#userData)"> 
<  input type=button value=저장 onclick="onSaveClick()"> 
<  input type=text value="test" id=theText> 
<  /BODY> 
<  /HTML> 
위의 코드 흐름을 보면...
실행될 때.
1. 처음 페이지가 실행이 될 때 valueStore라는 "저장소"로부터 
userData를 로드합니다.
2. getAttribute로 Key 값이 "testvalue"에 해당하는 값을 읽어서 
출력합니다.
onSaveClick이 눌려지면.
1. setAttribute로 "testvalue"라는  Key로 theText 편집기에 입력
한 값을 저장합니다.
2. "valueStore"라는 "저장소" 이름으로 값을 로컬(?)에 저장합니
다.
이제, 브라우저를 종료하고 다시 해당 페이지를 로드해 봅니다. 그
럼, "저장" 버튼으로 저장할 때의
값이 출력이 됩니다.
자,,, 이제 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Local 
Settings\Temporary Internet Files
에 가서 쿠키를 비롯한 모든 파일을 삭제해 보세요.
그다음 다시 test.htm을 브라우저로 띄워 봅니다. 역시 제대로 기억
된 값이 나옵니다.
즉, 위에서 "userData" behavior로 저장한 값은 Cookie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네트웍크 사용에 대한 부하가 전혀 없습니다. 그리고, 쿠키는 1024 
byte인가... 하는 제약이 있는데,
userData는 128KB 이상의 대용량(!)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위의 userData가 저장되는 위치는,,,,
로긴한 사용자가 admin인 경우,
C:\Documents and Settings\admin\Application 
Data\Microsoft\Internet Explorer\UserData
폴더 아래에 저장되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