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62. ASP.NET 웹 컨트롤 렌더링 가로채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53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SP.NET에서의 웹 컨트롤을 작성하다 보면, 특정 컨트롤의 출력을 알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아는 것 뿐만 아니라, 해당 컨트롤의 출력이 웹 페이지로 출력되기 전에, 원하는 조작을 하고 싶을 때도 있습니다.

방법은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아시겠지만, 웹 컨트롤은 일반적으로 Render 함수에서 그 출력을 정의하게 되는 데, 다음과 같은 Signature를 가지고 있습니다.

override protected void Render( System.Web.UI.HtmlTextWriter writer )
{
}

오호... 딱 보기만 해도 이미 답은 나왔습니다. ^^

우선, 출력을 가로채고 싶은 웹 컨트롤을 상속받습니다. 만약 TextBox 라면,

public class MyTextBox : TextBox
{
	override protected void Render( System.Web.UI.HtmlTextWriter writer )
	{
		StringWriter strWriter = new StringWriter();
		HtmlTextWriter htmlWriter = new HtmlTextWriter( strWriter );
		base.Render( htmlWriter );
		writer.Write( htmlWriter.InnerWriter.ToString() );
	}
}

위와 같이, 동일하게 HtmlTextWriter 를 인자로 전달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럼, base 클래스 - 즉 TextBox 클래스는 넘겨진 htmlWriter를 이용해서 해당 클래스의 내용을 출력해 줄 것이고, 이후 개발자의 입맛에 맞게 htmlWriter.InnerWriter.ToString() 값을 적절하게 조절한 다음에 원래의 writer.Write 메서드를 이용해서 출력해 주면 되는 것입니다.

기억해 두어야 할 것은... ASP.NET 웹 컨트롤은 아무리 날고 기어봐야 결국엔 HTML 문자열일 뿐이라는 사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4/200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07정성태4/21/202118247.NET Framework: 1043. C# - 실행 시점에 동적으로 Delegate 타입을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6정성태4/21/202126472.NET Framework: 1042. C# - enum 값을 int로 암시적(implicit) 형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605정성태4/18/202121532.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4정성태4/18/202119058VS.NET IDE: 163. 비주얼 스튜디오 속성 창의 "Build(빌드)" / "Configuration(구성)"에서의 "활성" 의미
12603정성태4/16/202121152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12602정성태4/16/202121631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1]
12601정성태4/15/202121048.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2600정성태4/15/202121680.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12599정성태4/14/202121050.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98정성태4/14/202122841.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7정성태4/13/202120796개발 환경 구성: 569.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
12596정성태4/12/202119772개발 환경 구성: 568. Windows의 80 포트 점유를 해제하는 방법
12595정성태4/12/202121509.NET Framework: 1036. SQL 서버 - varbinary 타입에 대한 문자열의 CAST, CONVERT 변환을 C# 코드로 구현
12594정성태4/11/202121130.NET Framework: 1035. C# - kubectl 명령어 또는 REST API 대신 Kubernetes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파일 다운로드1
12593정성태4/10/202120983개발 환경 구성: 567.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ubectl proxy 없이 k8s 대시보드 접근 방법
12592정성태4/10/202120451개발 환경 구성: 566.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
12591정성태4/9/202125299.NET Framework: 1034. C# - byte 배열을 Hex(16진수) 문자열로 고속 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0정성태4/9/202121689.NET Framework: 1033. C# - .NET 4.0 이하에서 Console.IsInputRedirected 구현 [1]
12589정성태4/8/202121182.NET Framework: 1032. C# - Environment.OSVersion의 문제점 및 윈도우 운영체제의 버전을 구하는 다양한 방법 [1]
12588정성태4/7/202124846개발 환경 구성: 565. PowerShell - New-SelfSignedCertificate를 사용해 CA 인증서 생성 및 인증서 서명 방법
12587정성태4/6/202126552개발 환경 구성: 564. Windows 10 - ClickOnce 배포처럼 사용할 수 있는 MSIX 설치 파일 [1]
12586정성태4/5/202123154오류 유형: 710. Windows - Restart-Computer / shutdown 명령어 수행 시 Access is denied(E_ACCESSDENIED)
12585정성태4/5/202121555개발 환경 구성: 563. 기본 생성된 kubeconfig 파일의 내용을 새롭게 생성한 인증서로 구성하는 방법
12584정성태4/1/202123007개발 환경 구성: 562. kubeconfig 파일 없이 kubectl 옵션만으로 실행하는 방법
12583정성태3/29/202122493개발 환경 구성: 561. kubectl 수행 시 다른 k8s 클러스터로 접속하는 방법
12582정성태3/29/202123168오류 유형: 709. Visual C++ - 컴파일 에러 error C2059: syntax error: '__stdcall'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