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브피아의 클럽에 "김현승의 닷넷이야기"라는 .NET의 Enterprise 환경과 관계된 주제를 다루는 클럽이 있습니다.
데브피아 회원이라면 그 클럽을 찾으셔서 "가입"만 하시면 됩니다.
그 클럽의 자료실에 보면 맨 처음 1번 자료로, "ASP.NET & .NET EnterpriseServices & Remoting 코드 템플릿"이 있습니다.
.NET을 공부하신다면, 한 번쯤 시간을 내서 분석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아래는 그 자료에 대한 "김현승" 님이 올리신 글입니다.
참고로, 아래의 글에서는 설치 가이드가 없다고 되어 있는데 - ^^ 제가 오늘 설치 가이드를 작성해서 올려두었습니다. 그러니, 두려워하지 마시고 다운로드하셔서 공부에 활용하십시오. ^^
/////////////////////////////////////////////////////////
간단한 샘플 같지만 상당히 공을 많이 들인 샘플입니다.
제가 강의나 컨설팅을 나가게 되면 사용하는 샘플이고 데이타베이스
액세스 컴포넌트인 DxDBAgent는 저희 회사(.netXpert)의 공식적인
컴포넌트입니다. 그러니까 실무에서도 바로 사용하셔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거죠.
클럽 개설 기념으로 올리는 자료입니다.
아직 설치 가이드나 셋업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조만간 설치 가이드를 올리기로 하죠.
그럼...
.puzzle
※ 이곳에 제가 올리는 자료나 글은 저 또는 저희 회사(.netXpert)의 소유입니다.
따라서 저의 동의 없이 임의로 출판물, 다른 게시판 등에 옮기시거나 인용하시면 안 된다는 것을 밝혀둡니다.
Title |
11166 | 정성태 | 3/28/2017 | 23296 | 오류 유형: 382.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 Arithmetic overflow error converting IDENTITY to data type int. | |
11165 | 정성태 | 3/27/2017 | 25868 | 오류 유형: 381. Visual C++에서 min, max 함수를 사용한 경우 C2589, C2059 컴파일 오류 발생 | |
11164 | 정성태 | 3/27/2017 | 34599 | VC++: 111. C++ 클래스의 상속에 따른 메모리 구조 [2] | 1 |
11163 | 정성태 | 3/25/2017 | 24183 | VC++: 110. CreateThread Win32 API에 C++ 클래스의 멤버 함수를 전달하는 방법 | 1 |
11162 | 정성태 | 3/24/2017 | 28948 | 오류 유형: 380. Visual Studio 빌드 실패 - The 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 |
11161 | 정성태 | 3/24/2017 | 19184 | 오류 유형: 379.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 호출 시 0x80070422 예외 발생 | |
11160 | 정성태 | 3/23/2017 | 26224 | .NET Framework: 649. ASP.NET - Server cannot append header after HTTP headers have been sent. (HTTP 헤더를 보낸 후에는 서버에서 헤더를 추가할 수 없습니다.) | 1 |
11159 | 정성태 | 3/23/2017 | 23389 | Windows: 136. Memory-mapped File은 Private Bytes 크기에 포함될까요? | 1 |
11158 | 정성태 | 3/22/2017 | 21506 | 디버깅 기술: 85. Windbg - SOS 디버깅 사례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예외 추적 | |
11157 | 정성태 | 3/22/2017 | 24609 | .NET Framework: 648. Dictionary<TKey, TValue>를 deep copy하는 방법 | 1 |
11156 | 정성태 | 3/21/2017 | 26876 | .NET Framework: 647. 닷넷(C#) 코드로 인증서 요청 코드 만드는 방법 | 1 |
11155 | 정성태 | 3/21/2017 | 27316 | .NET Framework: 646. SslStream의 CipherAlgorithm 선택이 가능할까요? | 1 |
11154 | 정성태 | 3/5/2017 | 32465 | VC++: 109. DLL에서 STL 객체를 인자/반환값으로 갖는 함수를 제공할 때, 그 함수를 외부에서 사용하는 경우 비정상 종료한다면? [2] | 1 |
11153 | 정성태 | 3/5/2017 | 32827 | VC++: 108. DLL에 정의된 C++ template 클래스의 복사 생성자 문제 | 1 |
11152 | 정성태 | 3/4/2017 | 28176 | VC++: 107. VirtualAlloc, HeapAlloc, GlobalAlloc, LocalAlloc, malloc, new의 차이점 [1] | 1 |
11151 | 정성태 | 3/3/2017 | 27327 | VC++: 106. DLL 개발자가 주의해야 할 Secure CRT 함수 사용 [1] | 1 |
11150 | 정성태 | 2/21/2017 | 23023 | .NET Framework: 645. Visual Studio Fakes 기능에서 Shim... 클래스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5] | |
11149 | 정성태 | 2/21/2017 | 26967 | 오류 유형: 378. A 64-bit test cannot run in a 32-bit process. Specify platform as X64 to force test run in X64 mode on X64 machine. | |
11148 | 정성태 | 2/20/2017 | 26208 | .NET Framework: 644. AppDomain에 대한 단위 테스트 시 알아야 할 사항 | |
11147 | 정성태 | 2/19/2017 | 23563 | 오류 유형: 377. Windows 10에서 Fake 어셈블리를 생성하는 경우 빌드 시 The type or namespace name '...' does not exist in the namespace 컴파일 오류 발생 | |
11146 | 정성태 | 2/19/2017 | 24091 | 오류 유형: 376. Error VSP1033: The file '...' does not contain a recognized executable image. [2] | |
11145 | 정성태 | 2/16/2017 | 25795 | .NET Framework: 643. 작업자 프로세스(w3wp.exe)가 재시작되는 시점을 알 수 있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4] | 1 |
11144 | 정성태 | 2/6/2017 | 28958 | .NET Framework: 642.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부록 1) - CallingConvention.StdCall, CallingConvention.Cdecl에 상관없이 왜 호출이 잘 될까요? | 1 |
11143 | 정성태 | 2/5/2017 | 27107 | .NET Framework: 641. [Out] 형식의 int * 인자를 가진 함수에 대한 P/Invoke 호출 방법 | 1 |
11142 | 정성태 | 2/5/2017 | 34213 | .NET Framework: 640. 닷넷 - 배열 크기의 한계 [2] | 1 |
11141 | 정성태 | 1/31/2017 | 29097 | .NET Framework: 639.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4) - CLR JIT 컴파일러의 P/Invoke 호출 규약 [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