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데브피아의 클럽에 "김현승의 닷넷이야기"라는 .NET의 Enterprise 환경과 관계된 주제를 다루는 클럽이 있습니다.
데브피아 회원이라면 그 클럽을 찾으셔서 "가입"만 하시면 됩니다.

그 클럽의 자료실에 보면 맨 처음 1번 자료로, "ASP.NET & .NET EnterpriseServices & Remoting 코드 템플릿"이 있습니다.
.NET을 공부하신다면, 한 번쯤 시간을 내서 분석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아래는 그 자료에 대한 "김현승" 님이 올리신 글입니다.
참고로, 아래의 글에서는 설치 가이드가 없다고 되어 있는데 - ^^ 제가 오늘 설치 가이드를 작성해서 올려두었습니다. 그러니, 두려워하지 마시고 다운로드하셔서 공부에 활용하십시오. ^^

/////////////////////////////////////////////////////////
간단한 샘플 같지만 상당히 공을 많이 들인 샘플입니다.
제가 강의나 컨설팅을 나가게 되면 사용하는 샘플이고 데이타베이스
액세스 컴포넌트인 DxDBAgent는 저희 회사(.netXpert)의 공식적인
컴포넌트입니다. 그러니까 실무에서도 바로 사용하셔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거죠.

클럽 개설 기념으로 올리는 자료입니다.

아직 설치 가이드나 셋업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조만간 설치 가이드를 올리기로 하죠.
그럼...


.puzzle

※ 이곳에 제가 올리는 자료나 글은 저 또는 저희 회사(.netXpert)의 소유입니다.
따라서 저의 동의 없이 임의로 출판물, 다른 게시판 등에 옮기시거나 인용하시면 안 된다는 것을 밝혀둡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51정성태6/20/201922859오류 유형: 548. scp 연결 시 "Permission denied" 오류 및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경고
11950정성태6/18/201924216.NET Framework: 845. C# - 윈도우 작업 관리자와 리소스 모니터의 메모리 값을 구하는 방법
11949정성태6/18/201919507오류 유형: 547. CoreCLR Profiler 예제 프로젝트 빌드 시 컴파일 오류 유형
11948정성태6/17/201920674Linux: 15. 리눅스 환경의 Visual Studio Code에서 TFS 서버 연동
11947정성태6/17/201923675Linux: 14. 리눅스 환경에서 TFS 서버 연동
11946정성태6/17/201924848개발 환경 구성: 445. C# - MathNet으로 정규 분포를 따르는 데이터를 생성, PLplot으로 Histogram 표현파일 다운로드1
11945정성태6/17/201921933Linux: 13. node.js에서 syslog로 출력하는 방법
11944정성태6/16/201928160Linux: 12. Ubuntu 16.04/18.04에서 node.js 최신 버전 설치 방법
11943정성태6/15/201921653.NET Framework: 844. C# - 박싱과 언박싱 [1]
11942정성태6/13/201927114개발 환경 구성: 444. 로컬의 Visual Studio Code로 원격 리눅스 머신에 접속해 개발하는 방법 [1]
11941정성태6/13/201919566오류 유형: 546. "message NETSDK1057: You are using a preview version of .NET Core" 빌드 경고 없애는 방법
11940정성태6/13/201919723개발 환경 구성: 44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파일 다운로드1
11939정성태6/13/201918256오류 유형: 545. Managed Debugging Assistant 'FatalExecutionEngineError'
11938정성태6/12/201921664Math: 59. C# - 웨이트 벡터 갱신식을 이용한 퍼셉트론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37정성태6/11/201927931개발 환경 구성: 442. .NET Core 3.0 preview 5를 이용해 Windows Forms/WPF 응용 프로그램 개발 [1]
11936정성태6/10/201920530Math: 58. C# - 최소 자승법의 1차, 2차 수렴 그래프 변화 확인 [2]파일 다운로드1
11935정성태6/9/201923585.NET Framework: 843. C# - PLplot 출력을 파일이 아닌 Window 화면으로 변경
11934정성태6/7/201924781VC++: 133. typedef struct와 타입 전방 선언으로 인한 C2371 오류파일 다운로드1
11933정성태6/7/201921180VC++: 132. enum 정의를 C++11의 enum class로 바꿀 때 유의할 사항파일 다운로드1
11932정성태6/7/201921060오류 유형: 544. C++ - fatal error C1017: invalid integer constant expression파일 다운로드1
11931정성태6/6/201921815개발 환경 구성: 441. C# - CairoSharp/GtkSharp 사용을 위한 프로젝트 구성 방법
11930정성태6/5/201922392.NET Framework: 842. .NET Reflection을 대체할 System.Reflection.Metadata 소개 [1]
11929정성태6/5/201921397.NET Framework: 841. Windows Forms/C# - 클립보드에 RTF 텍스트를 복사 및 확인하는 방법 [1]
11928정성태6/5/201921659오류 유형: 543. PowerShell 확장 설치 시 "Catalog file '[...].cat' is not found in the contents of the module" 오류 발생
11927정성태6/5/201922797스크립트: 15. PowerShell ISE의 스크립트를 복사 후 PPT/Word에 붙여 넣으면 한글이 깨지는 문제 [1]
11926정성태6/4/201921924오류 유형: 542. Visual Studio - pointer to incomplete class type is not allowed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