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24. error C2039: 'pOleStr' : is not a member of '_STRRET'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64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이 오류 만날 때마다 잊어버려서, 아예 홈페이지에 올려 놓으려고 합니다. ^^

구체적인 오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d:\XXX.cpp(205) : error C2039: 'pOleStr' : is not a member of '_STRRET'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8\vc\platformsdk\include\shtypes.h(165) : see declaration of '_STRRET'
d:\XXX.cpp(212) : error C2039: 'uOffset' : is not a member of '_STRRET'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8\vc\platformsdk\include\shtypes.h(165) : see declaration of '_STRRET'
d:\XXX.cpp(220) : error C2039: 'cStr' : is not a member of '_STRRET'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8\vc\platformsdk\include\shtypes.h(165) : see declaration of '_STRRET'

실제로 헤더 파일에 가면 아래와 같이 정의가 되어 있습니다.

typedef struct _STRRET
    {
    UINT uType;
    /* [switch_is][switch_type] */ union 
        {
        /* [case()][string] */ LPWSTR pOleStr;
        /* [case()] */ UINT uOffset;
        /* [case()] */ char cStr[ 260 ];
        } 	DUMMYUNIONNAME;
    } 	STRRET;

앞/뒤로, 아무리 if defined 같은 전처리기를 찾아봐도 위의 정의를 빼먹을 만한 컴파일러 지시자는 보이지 않습니다.

결국 어렵게 찾아 헤매다 보면,

stdafx.h에 정의되어 있는 아래의 매크로 상수가 문제였음을 알게 됩니다.

#define WIN32_LEAN_AND_MEAN		// Exclude rarely-used stuff from Windows headers
미련 없이 주석처리하시면, 컴파일러 에러는 없어집니다.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64정성태10/12/201523851.NET Framework: 535. aspnet.config 파일의 설정을 읽는 방법
10863정성태10/9/201529693.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10862정성태10/9/201527783오류 유형: 310. 비주얼 스튜디오 - Unspecified error (Exception from HRESULT: 0x80004005 (E_FAIL))
10861정성태10/9/201532486기타: 54.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2)
10860정성태10/5/201530951개발 환경 구성: 277. IIS AppPool의 시작/중단에 대한 이벤트 로그 확인 방법
10859정성태10/5/201530052.NET Framework: 533. C#에서 string 형식이 primitive일까요? [6]
10858정성태10/2/201526669VS.NET IDE: 105.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57정성태10/1/201524136VS.NET IDE: 104. Visual C++ 프로젝트의 빌드 이벤트에서 환경 변수 사용하는 방법
10856정성태9/30/201536134.NET Framework: 532. WPF DataGrid의 데이터 바인딩 시 리플렉션의 부하는 어느 정도일까요?파일 다운로드1
10855정성태9/30/201524642.NET Framework: 531. C# - XSLT 내의 javascript에 전달한 XML 노드의 타입은?
10854정성태9/30/201523971오류 유형: 309. C# - 포인터를 쓰는 경우 VerificationException이 발생한다면?
10853정성태9/21/201523271오류 유형: 308. 공백 문자를 포함한 계정명의 권한으로 Visual Studio 확장을 설치할 때 오류 발생
10852정성태9/17/201528752VC++: 92. C++ 생성자를 DLL로부터 동적 로드해 객체를 생성한다면? [2]파일 다운로드1
10851정성태9/15/201527644.NET Framework: 530. C# -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850정성태9/14/201527314.NET Framework: 529. C# - volatile 키워드로 인한 차이점을 발생시키는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0849정성태9/14/201561510오류 유형: 307. CLR20r3 오류 해결을 위해 mscorlib.dll을 덮어쓸때 주의할 점 [12]
10848정성태9/8/201530146VS.NET IDE: 103. Visual Studio의 Ctrl + F5 실행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847정성태9/8/201527871VS.NET IDE: 102. 목록(List) 타입의 값을 디버깅 중 Watch 창에서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46정성태9/8/201524111오류 유형: 306. "query user" 명령어에 공백 문자가 포함된 계정을 전달하는 경우
10845정성태9/3/201525840오류 유형: 305.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166
10844정성태9/2/201526385.NET Framework: 528. C# - 상호 참조하는 경우의 정적 생성자 동작 방식 [4]파일 다운로드1
10843정성태9/1/201526455VS.NET IDE: 101. Visual Studio 2015의 솔루션 탐색기가 클래스 뷰 정보로 인해 느려지는 현상
10842정성태9/1/201524180.NET Framework: 52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세 번째 이야기
10841정성태8/31/201534209개발 환경 구성: 276. Visual Studio 2013에서 C# 6과 닷넷 4.6 기능을 사용하려면?
10839정성태8/22/201532729Windows: 112. 윈도우 10에서 터치 키보드를 안 뜨게 할 수 있는 방법 [5]
10838정성태8/22/201543599오류 유형: 304. Windows 10에서 VPN 연결이 실패한다면? [3]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