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24. error C2039: 'pOleStr' : is not a member of '_STRRET'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93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이 오류 만날 때마다 잊어버려서, 아예 홈페이지에 올려 놓으려고 합니다. ^^

구체적인 오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d:\XXX.cpp(205) : error C2039: 'pOleStr' : is not a member of '_STRRET'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8\vc\platformsdk\include\shtypes.h(165) : see declaration of '_STRRET'
d:\XXX.cpp(212) : error C2039: 'uOffset' : is not a member of '_STRRET'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8\vc\platformsdk\include\shtypes.h(165) : see declaration of '_STRRET'
d:\XXX.cpp(220) : error C2039: 'cStr' : is not a member of '_STRRET'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8\vc\platformsdk\include\shtypes.h(165) : see declaration of '_STRRET'

실제로 헤더 파일에 가면 아래와 같이 정의가 되어 있습니다.

typedef struct _STRRET
    {
    UINT uType;
    /* [switch_is][switch_type] */ union 
        {
        /* [case()][string] */ LPWSTR pOleStr;
        /* [case()] */ UINT uOffset;
        /* [case()] */ char cStr[ 260 ];
        } 	DUMMYUNIONNAME;
    } 	STRRET;

앞/뒤로, 아무리 if defined 같은 전처리기를 찾아봐도 위의 정의를 빼먹을 만한 컴파일러 지시자는 보이지 않습니다.

결국 어렵게 찾아 헤매다 보면,

stdafx.h에 정의되어 있는 아래의 매크로 상수가 문제였음을 알게 됩니다.

#define WIN32_LEAN_AND_MEAN		// Exclude rarely-used stuff from Windows headers
미련 없이 주석처리하시면, 컴파일러 에러는 없어집니다.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13정성태8/22/201028276오류 유형: 104. Hyper-V 관리자 - VM 생성 오류 (VHD 생성 오류)
912정성태8/20/201030154.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파일 다운로드1
911정성태8/19/201027036오류 유형: 103. System.Reflection.Target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910정성태8/19/201037826개발 환경 구성: 83.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1)
909정성태8/18/201033260오류 유형: 102.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908정성태8/17/201024204개발 환경 구성: 82.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3)
907정성태8/14/201021724개발 환경 구성: 81.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2)
906정성태8/13/201030667개발 환경 구성: 80.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1)
905정성태8/8/201032766Team Foundation Server: 39. 배치 파일로 팀 빌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904정성태8/8/201035500오류 유형: 101.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2]
903정성태8/6/201032441Team Foundation Server: 38.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4) - Branch
902정성태8/5/201024782Team Foundation Server: 37. TFS 2010의 소스 서버 수작업 구성
901정성태8/4/201024002Team Foundation Server: 36.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3) - Label
900정성태8/3/201026630Team Foundation Server: 35.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2) - Shelveset
899정성태8/2/201028764Team Foundation Server: 34.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1) - Changeset
898정성태7/31/201028268.NET Framework: 182. WCF의 InactivityTimeout [1]파일 다운로드1
897정성태7/26/201129459.NET Framework: 181. AssemblyVersion, AssemblyFileVersion, AssemblyInformationalVersion [4]
896정성태7/25/201036238.NET Framework: 180. C# Singleton 인스턴스 생성 [2]
895정성태7/25/201020132VS.NET IDE: 68. Visual Studio 2010 - .NET 1.1 원격 디버깅
894정성태7/25/201026060오류 유형: 100. Could not find the Database Engine startup handle. [1]
893정성태7/25/201027176오류 유형: 99. .NET 4.0 설치된 윈도우 7에서 SQL Server 2008 R2 설치 오류
892정성태7/9/201028997오류 유형: 98. 영문 윈도우에 한글 SQL Server 2008 R2 설치할 때 오류 [4]
891정성태7/8/201024747오류 유형: 97. MsiGetProductInfo failed to retrieve ProductVersion for package with Product Code = '{...}'. Error code: 1605. [2]
889정성태7/5/201026448.NET Framework: 179. Dictionary.Get(A) 대신 Dictionary.Get(A.GetHashCode())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 [1]
888정성태6/30/201024242오류 유형: 96. Hyper-V 연결 오류 - A connection will not be made because credentials may not be sent to the remote computer
887정성태6/23/201034112개발 환경 구성: 79. Hyper-V의 가상 머신에서 소리 재생 방법 [2]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