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07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242

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976

오류 유형: 201. ASP.NET 웹 사이트를 IIS 7 이상의 환경에서 호스팅할 때 500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563

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612

오류 유형: 232.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NTFS 암호화된 폴더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722

오류 유형: 340. HTTP Error 500.23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10997

오류 유형: 360. IIS - 500.19 오류 (0x80070021)
; https://www.sysnet.pe.kr/2/0/11061

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20

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 https://www.sysnet.pe.kr/2/0/12064

오류 유형: 631.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오류 - HTTP Error 500.35 - ANCM Multiple In-Process Applications in same Process
; https://www.sysnet.pe.kr/2/0/12268

오류 유형: 662. ASP.NET Core와 500.19, 500.21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12356

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2955

.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 https://www.sysnet.pe.kr/2/0/12982

오류 유형: 884. HTTP 500.0 - 명령행에서 실행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8

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
; https://www.sysnet.pe.kr/2/0/13579




오랜만에 asp 페이지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간단한 ATL 개체를 하나 만들고, 컴파일한 후 asp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생성했습니다.

<%@ Language=VBScript %>
<%

Dim testObj
Set testObj = Server.CreateObject( "TestATL.SimpleObj" )
%>

그런데, 다음과 같이 아무런 단서도 없는 오류 화면만 나오는 것입니다.
테스트 환경: Windows 2003 SP1, VS.NET 2005

 

The page cannot be displayed

There is a problem with the page you are trying to reach and it cannot be displayed.

Please try the following:

  • Open the  home page, and then look for links to the information you want.
  • Click the refresh.gif (82 bytes) Refresh button, or try again later.
  • Click search.gif (114 bytes) Search to look for information on the Internet.
  • You can also see a list of related sites.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Internet Explorer


이벤트 로그에도 아무런 오류도 안 남더군요. 이런 황당한 상황이. ^^; 도대체 어떤 정보를 가지고 오류 추적을 하라는 것인지.

그래도 평소 들었던 풍월이 있던지라, 오류 메시지를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메시지로 보는 설정이 생각났습니다. 이 설정은 의외로, IIS 서버에서 이뤄지는 것이 아니고 클라이언트 측 IE에서 해주어야 하는 것이죠. 자세한 설명은 다음의 URL을 참고하십시오.

http://support.microsoft.com/default.aspx?scid=kb%3Bko%3B311766

일단, 위와 같이 적용하고 나니, 오류 메시지는 아래와 같이 변경이 되어서 출력이 되었습니다.

error 'ASP 0178 : 80070005'

Server.CreateObject Access Error

/comp/test.asp, line 8

The call to Server.CreateObject failed while checking permissions. Access is denied to this object.

휴... 그나마 다행이군요. ^^
단서가 충분하게 나왔습니다. 권한이 없다고 하니, 탐색기에서 해당 DLL의 권한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져 있었습니다.

DLL 접근 권한

제 시스템의 asp가 구동되는 w3wp.exe는 Application Pool의 설정에서 "SYSTEM" 권한으로 구동되도록 설정되어져 있었습니다. 아래의 화면에서는 그 SYSTEM 권한에 대해서 읽기 정도는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얼핏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asp의 내부 동작을 살펴보면 분명 오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해당 asp 페이지를 실행시키는 동안은 스레드의 실행 권한이 프로세스 실행 권한이 아닌, IIS 관리자의 보안 탭에서 설정한 "익명 액세스 접근 허용"에 따라 IUSR_[COMPUTERNAME]으로 설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문제는 해결된 것 같습니다. 해당 DLL의 보안 탭에서 "IUSR_[COMPUTERNAME]" 또는 "Users"를 추가하고 Read 권한을 주면 되는 것입니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96정성태1/17/201426463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4243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6479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4894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4172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7180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8536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7609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34008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30139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31615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4431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6169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4656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33054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4382.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4899.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1579정성태1/12/201426020오류 유형: 207. System.ArgumentException was unhandled - Message=[net_WebHeaderInvalidControlChars]
1578정성태1/11/201438286개발 환경 구성: 209. Fiddler에서 WebSocket 통신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
1577정성태1/11/201430095오류 유형: 206. WriteFile Win32API 사용 시 비정상 종료 현상 [4]
1576정성태1/11/201445844Windows: 81. 긴 이름의 파일/폴더 삭제하는 법 [5]
1575정성태1/11/201425343오류 유형: 205. Exception calling "Provision" with "0" argument(s): "The timer job did not complete running within the allotted time."
1574정성태1/11/201428042오류 유형: 204. An unhandled exception ('System.Security.Cryptography.CryptographicException') occurred in OWSTIMER.EXE
1573정성태1/11/201426242오류 유형: 203. 이벤트 로그 에러 - MsiInstaller에서 Chart Controls 설치 관련 오류 발생
1572정성태1/9/201429954.NET Framework: 406. CoreLab - OraDirect .NET 사용법
1571정성태1/9/201425813.NET Framework: 405. override 메서드가 정의된 타입의 인스턴스로 base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