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46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242

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976

오류 유형: 201. ASP.NET 웹 사이트를 IIS 7 이상의 환경에서 호스팅할 때 500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563

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612

오류 유형: 232.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NTFS 암호화된 폴더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722

오류 유형: 340. HTTP Error 500.23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10997

오류 유형: 360. IIS - 500.19 오류 (0x80070021)
; https://www.sysnet.pe.kr/2/0/11061

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20

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 https://www.sysnet.pe.kr/2/0/12064

오류 유형: 631.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오류 - HTTP Error 500.35 - ANCM Multiple In-Process Applications in same Process
; https://www.sysnet.pe.kr/2/0/12268

오류 유형: 662. ASP.NET Core와 500.19, 500.21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12356

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2955

.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 https://www.sysnet.pe.kr/2/0/12982

오류 유형: 884. HTTP 500.0 - 명령행에서 실행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8

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
; https://www.sysnet.pe.kr/2/0/13579




오랜만에 asp 페이지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간단한 ATL 개체를 하나 만들고, 컴파일한 후 asp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생성했습니다.

<%@ Language=VBScript %>
<%

Dim testObj
Set testObj = Server.CreateObject( "TestATL.SimpleObj" )
%>

그런데, 다음과 같이 아무런 단서도 없는 오류 화면만 나오는 것입니다.
테스트 환경: Windows 2003 SP1, VS.NET 2005

 

The page cannot be displayed

There is a problem with the page you are trying to reach and it cannot be displayed.

Please try the following:

  • Open the  home page, and then look for links to the information you want.
  • Click the refresh.gif (82 bytes) Refresh button, or try again later.
  • Click search.gif (114 bytes) Search to look for information on the Internet.
  • You can also see a list of related sites.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Internet Explorer


이벤트 로그에도 아무런 오류도 안 남더군요. 이런 황당한 상황이. ^^; 도대체 어떤 정보를 가지고 오류 추적을 하라는 것인지.

그래도 평소 들었던 풍월이 있던지라, 오류 메시지를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메시지로 보는 설정이 생각났습니다. 이 설정은 의외로, IIS 서버에서 이뤄지는 것이 아니고 클라이언트 측 IE에서 해주어야 하는 것이죠. 자세한 설명은 다음의 URL을 참고하십시오.

http://support.microsoft.com/default.aspx?scid=kb%3Bko%3B311766

일단, 위와 같이 적용하고 나니, 오류 메시지는 아래와 같이 변경이 되어서 출력이 되었습니다.

error 'ASP 0178 : 80070005'

Server.CreateObject Access Error

/comp/test.asp, line 8

The call to Server.CreateObject failed while checking permissions. Access is denied to this object.

휴... 그나마 다행이군요. ^^
단서가 충분하게 나왔습니다. 권한이 없다고 하니, 탐색기에서 해당 DLL의 권한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져 있었습니다.

DLL 접근 권한

제 시스템의 asp가 구동되는 w3wp.exe는 Application Pool의 설정에서 "SYSTEM" 권한으로 구동되도록 설정되어져 있었습니다. 아래의 화면에서는 그 SYSTEM 권한에 대해서 읽기 정도는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얼핏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asp의 내부 동작을 살펴보면 분명 오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해당 asp 페이지를 실행시키는 동안은 스레드의 실행 권한이 프로세스 실행 권한이 아닌, IIS 관리자의 보안 탭에서 설정한 "익명 액세스 접근 허용"에 따라 IUSR_[COMPUTERNAME]으로 설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문제는 해결된 것 같습니다. 해당 DLL의 보안 탭에서 "IUSR_[COMPUTERNAME]" 또는 "Users"를 추가하고 Read 권한을 주면 되는 것입니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93정성태5/26/200728220오류 유형: 34. Windows Server 2008 : CA 인증서 발급 실패
492정성태5/23/200727675.NET Framework: 89. ManagedThreadId - 두 번째 이야기 [5]파일 다운로드1
491정성태5/21/200727931.NET Framework: 88. ManagedThreadId ? [4]
490정성태5/19/200736729오류 유형: 33. error MSB6003: SxS DLL 로딩 오류 [2]
489정성태5/14/200724409.NET Framework: 87. .NET 2.0에서 C# 3.0 기능 사용하기
488정성태5/14/200722682Windows: 25. Multiple Input Queues
487정성태4/24/200728381VC++: 32. VC++에서 bool이 가지는 의미 [3]
486정성태3/22/200727419Windows: 24. DreamScene과 DWM(Desktop Window Manager)의 관계 [1]
485정성태3/17/200722718오류 유형: 32. VS.NET 2005 - x64 환경에서의 mixed 디버깅 환경 구성
484정성태3/17/200721799오류 유형: 31. SQL Compact Edition 설치 후 오류
483정성태3/17/200743225오류 유형: 30. x64 환경: .NET + COM 프로젝트 실행 시 오류 - 80040154 [2]
482정성태3/17/200732603Team Foundation Server: 17. 팀 프로젝트 접속 및 사용
481정성태3/17/200726500Team Foundation Server: 16. 팀 프로젝트 읽기 전용 사용자 등록
480정성태3/14/200725070.NET Framework: 86. GC(Garbage Collector)의 변화
479정성태3/14/200728792개발 환경 구성: 25. D820 - ReadyBoost 구동
478정성태3/14/200728324개발 환경 구성: 24. D820 고주파음 문제
477정성태3/14/200737639개발 환경 구성: 23. 비스타 x64 버전에서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사용 [4]
476정성태3/9/200732996개발 환경 구성: 22. D820 노트북 - 설치 및 BitLocker 구성 [1]
475정성태3/6/200727228.NET Framework: 85. 공용 프로퍼티 자동 생성
474정성태3/5/200725380.NET Framework: 84. Lambda 표현식 응용 사례 [1]
473정성태3/4/200732601디버깅 기술: 14. TFS 오류 추적(TF53010, TF14105)
472정성태3/3/200731837디버깅 기술: 13. 예외 발생 시 Minidump 생성 - WinDBG [3]파일 다운로드1
471정성태3/1/200720661디버깅 기술: 12. Managed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469정성태2/28/200732518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3]파일 다운로드1
470정성태3/1/200723905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468정성태2/25/200733681COM 개체 관련: 20. 탭 브라우저의 윈도우 핸들 구하기 [3]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