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4.1. NET BCL 에서 제공되는 FolderBrowserDialog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74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짐작할 수 있겠지만, System.Windows.Forms.FolderBrowserDialog 는 P/Invoke 를 통해서 Win32 에서 제공되는 SHBrowserForFolder 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Reflector 등을 통해서 보면, 아래와 같은 API 를 Import 하고 있습니다.

[SuppressUnmanagedCodeSecurity, ComVisible(false)]
internal class Shell32
{
      // Methods
      public Shell32();
      [DllImport("shell32.dll", CharSet=CharSet.Auto)]
      public static extern IntPtr SHBrowseForFolder([In] UnsafeNativeMethods.BROWSEINFO lpbi);
      [DllImport("shell32.dll")]
      public static extern int SHGetMalloc([Out, MarshalAs(UnmanagedType.LPArray)] UnsafeNativeMethods.IMalloc[] ppMalloc);
      [DllImport("shell32.dll", CharSet=CharSet.Auto)]
      public static extern bool SHGetPathFromIDList(IntPtr pidl, IntPtr pszPath);
      [DllImport("shell32.dll")]
      public static extern int SHGetSpecialFolderLocation(IntPtr hwnd, int csidl, ref IntPtr ppidl);
}

보시면 아시겠지만, SHParseDisplayName 함수가 빠져 있습니다. Windows 2000 에서는 안된다고 하는 문서 명시를 하기 보다는 아예 폴더 자체를 지정할 수 없도록 선택을 한 것입니다. 물론, FolderBrowserDialog 에는 다음과 같은 속성을 통해서 루트 경로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은 제공합니다.

public Environment.SpecialFolder RootFolder {get; set;}

여기서의 SpecialFolder 타입은 enum 입니다. 실제로 이 Enum 값은 Win32 에서 제공되는 함수에 제한을 받습니다. 위의 dllimport 목록에서 볼 수 있는 SHGetSpecialFolderLocation 함수인데, 구체적인 선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HRESULT SHGetSpecialFolderLocation( HWND hwndOwner,
    int nFolder,
    LPITEMIDLIST *ppidl
);

인자의 nFolder 값에 해당하는 Shell 개체에 대한 PIDL 값을 ppidl 로 반환해 주는 함수입니다. 다행히도 이 함수의 최소 지원 운영체제는 Windows NT 4.0 및 Windows 95 입니다.

결국, Windows 2000 에서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nFolder 에 허용하는 값을 제외한 직접적인 폴더 경로를 지정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200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7-01-13 12시18분
[그러면] 결국 2000 에서는 구현이 안된다는 것인가요?
[guest]
2007-01-13 07시16분
SHParseDisplayName 함수가 Windows 2000에서 제공이 안될 뿐입니다. SHBrowserForFolder 함수 자체는 정상적으로 기능을 합니다.
kevin25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28정성태2/26/201930068개발 환경 구성: 429. Component Services 관리자의 RuntimeBroker 설정이 2개 있는 경우 [8]
11827정성태2/26/201922102오류 유형: 521. Visual Studio - Could not start the 'rsync' command on the remote host, please install it using your system package manager.
11826정성태2/26/201922548오류 유형: 520. 우분투에 .NET Core SDK 설치 시 패키지 의존성 오류
11825정성태2/25/201929063개발 환경 구성: 428.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1]
11824정성태2/25/201923112오류 유형: 519. The SNMP Service encountered an error while accessing the registry key 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SNMP\Parameters\TrapConfiguration. [1]
11823정성태2/21/201923387오류 유형: 518. IIS 관리 콘솔이 뜨지 않는 문제
11822정성태2/20/201923559오류 유형: 517. docker에 설치한 MongoDB 서버로 연결이 안 되는 경우
11821정성태2/20/201924314오류 유형: 516. Visual Studio 2019 - This extension uses deprecated APIs and is at risk of not functioning in a future VS update. [1]
11820정성태2/20/201927574오류 유형: 515. 윈도우 10 1809 업데이트 후 "User Profiles Service" 1534 경고 발생
11819정성태2/20/201926449Windows: 158. 컴퓨터와 사용자의 SID(security identifier) 확인 방법
11818정성태2/20/201924185VS.NET IDE: 131. Visual Studio 2019 Preview의 닷넷 프로젝트 빌드가 20초 이상 걸리는 경우 [2]
11817정성태2/17/201919913오류 유형: 514. WinDbg Preview 실행 오류 - Error : DbgX.dll : WindowsDebugger.WindowsDebuggerException: Could not load dbgeng.dll
11816정성태2/17/201924623Windows: 157. 윈도우 스토어 앱(Microsoft Store App)을 명령행에서 직접 실행하는 방법
11815정성태2/14/201922872오류 유형: 513. Visual Studio 2019 - VSIX 설치 시 "The extension cannot be installed to this product due to prerequisites that cannot be resolved." 오류 발생
11814정성태2/12/201920400오류 유형: 512. VM(가상 머신)의 NT 서비스들이 자동 시작되지 않는 문제
11813정성태2/12/201921143.NET Framework: 809. C# - ("Save File Dialog" 등의) 대화 창에 확장 속성을 보이는 방법
11812정성태2/11/201918738오류 유형: 511. Windows Server 2003 VM 부팅 후 로그인 시점에 0xC0000005 BSOD 발생
11811정성태2/11/201925980오류 유형: 510. 서버 운영체제에 NVIDIA GeForce Experience 실행 시 wlanapi.dll 누락 문제
11810정성태2/11/201921346.NET Framework: 808. .NET Profiler - GAC 모듈에서 GAC 비-등록 모듈을 참조하는 경우의 문제
11809정성태2/11/201925152.NET Framework: 807. ClrMD를 이용해 메모리 덤프 파일로부터 특정 인스턴스를 참조하고 있는 소유자 확인
11808정성태2/8/201926842디버깅 기술: 123. windbg -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누수 분석
11807정성태1/29/201924360Windows: 15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 [4]
11806정성태1/29/201922229디버깅 기술: 122.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 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1805정성태1/28/201926265.NET Framework: 806. C# - int []와 object []의 차이로 이해하는 제네릭의 필요성 [4]파일 다운로드1
11804정성태1/24/201923931Windows: 155. diskpart - remove letter 이후 재부팅 시 다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는 경우
11803정성태1/10/201922888디버깅 기술: 121. windbg - 닷넷 Finalizer 스레드가 멈춰있는 현상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