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2.2. Vista VPC에 터미널 서비스 - 원격 접속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04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개인적으로, Virtual Server로 구성된 VPC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Virtual Server 제품에서 기본 제공되는 WebSite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해서 제공되는 "Remote Control" ActiveX로 접근하게 되면 누구나 다 해당 화면을 볼 수 있을 뿐더러, 만약에 Log-out을 하지 않고 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를 닫은 경우 자신이 제공한 Credential에 따라 해당 윈도우즈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갖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능한 터미널 서비스를 통해서 접속을 하게 되는데요. - 사실 사용하게 되는 UI 접근성 면에서도 터미널 서비스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터미널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서비스들이 "시작" 상태로 되어야 합니다.

"Windows Firewall"
  의존성 - Base Filtering Engine

물론, 그다음에는 "My Computer" 속성창의 "Remote Settings"에서 "Allow connections from computers running any version of Remote Desktop"을 선택해 둬야 합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7정성태11/5/201143088개발 환경 구성: 133. Registry 등록 과정 없이 COM 개체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5]파일 다운로드4
1166정성태11/5/201129277.NET Framework: 263. byte[] pData = new byte[100000]로 인한 성능 차이? [1]파일 다운로드1
1165정성태11/3/201133940개발 환경 구성: 132. "Visual Studio Command Prompt (2010)" 명령행에서 2.0 버전의 MSBuild를 구동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64정성태11/1/201131937.NET Framework: 26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4) - .NET 4.0을 지원하지 않는 MSE 응용 프로그램 원인 분석
1163정성태10/31/201131278.NET Framework: 26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파일 다운로드1
1162정성태10/30/201131622.NET Framework: 260.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2) - 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1정성태10/29/201128224.NET Framework: 259. Type.GetMethod - System.Reflection.AmbiguousMatch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1159정성태10/28/201132874.NET Framework: 258. Roslyn 맛보기 - SyntaxTree 조작 [2]
1158정성태10/24/201131653.NET Framework: 257. Roslyn 맛보기 - Roslyn Symbol / Binding API파일 다운로드1
1157정성태10/23/201136146.NET Framework: 256. Roslyn 맛보기 - Syntax Analysis (Roslyn Syntax API) [2]
1156정성태10/23/201135072.NET Framework: 255. Roslyn 맛보기 - Roslyn Services APIs를 이용한 Code Issue 및 Code Action 기능 소개 [1]
1155정성태10/22/201132288.NET Framework: 254. Roslyn 맛보기 - C# Interactive (2)
1154정성태10/22/201139397.NET Framework: 253. Roslyn 맛보기 - C# Interactive (1)
1153정성태10/21/201148175.NET Framework: 252. Roslyn 맛보기 - C# 소스 코드를 스크립트처럼 다루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1152정성태10/20/201130494.NET Framework: 251. string.GetHashCode는 hash 값을 cache 할까?
1151정성태10/18/201128706Java: 13. 자바도 64비트에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1150정성태10/18/201136399.NET Framework: 250. WPF - ComboBox의 SelectionChagned 이벤트파일 다운로드1
1149정성태10/16/201131416.NET Framework: 249. WPF - d:DesignHeight 값을 구할 수 있을까?
1148정성태10/14/201137461Java: 12. 자바에서 LINQ 사용? [7]
1147정성태10/13/201133706.NET Framework: 248. 닷넷에서 지원되는 문자열 인코딩 이름 목록
1146정성태10/12/201139045.NET Framework: 247. LINQ에서의 Max 기능 구현 [10]파일 다운로드1
1144정성태10/10/201135152.NET Framework: 246. WCF - 서버 측에서의 유효한 Timeout 설정파일 다운로드1
1143정성태10/9/201141355.NET Framework: 245. ASP.NET 서버 측 코드에서 페이스북 계정 연동하는 방법
1142정성태10/8/201141491.NET Framework: 244. 윈도우 폼을 열고 닫는 것만으로 메모리 leak이 발생할까? [2]파일 다운로드1
1141정성태10/7/201139508.NET Framework: 243. DataTable에 대해서 Dispose 메서드를 호출할 필요가 있을까? [4]파일 다운로드1
1140정성태10/6/201133463.NET Framework: 242. 닷넷 개발자 입장에서 이해해 보는 자바의 서블릿, JSP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