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COM 개체 관련: 6. WebBrowser 콘트롤에서 프레임을 구하는 소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32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아래의 소스는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라는 책의 6장에 나와 있는 조각 소스입니다. 그 책의 예제 CD에는 아래의 소스가 나와 있지 않은데요. 아래의 부분에 대해서 "질문과 답변"란에 글이 올라왔는데, 매번 답변해 주기 위해서 그 소스를 직접 타이핑하기도 그래서 아예 이곳에 영구 보관을 해둡니다. (질문 답변란은 주기적으로 삭제를 합니다.)

아래의 m_webBrowser 변수는, 여러분이 VC++에서 "웹브라우저 컨트롤"을 삽입한 경우, 그 컨트롤을 가리키는 변수명입니다.
HtmlView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냥 HtmlView 클래스의 함수 안에서 GetDocument()를 통해서 lpDisp에 대입하시면 됩니다.

최상단의 웹브라우저 콘트롤에서, 그 웹브라우저 컨트롤이 소유하고 있는 "자식 웹브라우저 컨트롤", 즉 Frame을 열람해 오는 소스입니다.

물론, 프레임 안의 HTML 페이지가 또 프레임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를 위해서 아래의 구해 오는 부분을 그에 따른 "재귀 호출"로 구성해야 합니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거의 3단계 이상의 프레임 사용이 없기 때문에 아예 그렇게 3번까지만 구해오는 방식을 취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LPDISPATCH lpDisp = NULL;
lpDisp = m_webBrowser.GetDocument();

if ( lpDisp ) {
IOleContainer *pContainer;

HRESULT hr = lpDisp->QueryInterface( IID_IOleContainer, (void **)&pContainer );
lpDisp->Release();

if ( FAILED( hr ) ) return hr;

IEnumUnknown *pEnumerator;

hr = pContainer->EnumObjects( OLECONTF_EMBEDDINGS, &pEnumerator );
pContainer->Release();

if ( FAILED( hr ) ) return hr;

IUnknown *pUnk;
ULONG uFetched;

for ( UINT i = 0; S_OK == pEnumerator->Next( 1, &pUnk, &uFetched; i ++ ) {
IWebBrowser2 *pWebBrowser;
hr = pUnk->QueryInterface( IID_IWebBrowser2, (void **)&pWebBrowser );
pUnk->Release();

if ( SUCCEEDED( hr ) ) {
// 구해진 내부 프레임을 소유한 IWebBrowser2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후, Release 합니다.

pWebBrowser->Release();
}
}

pEnumerator->Release();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84정성태6/20/201031149제니퍼 .NET: 13. COM+ 서버 모니터링 [2]
883정성태6/18/201033141개발 환경 구성: 77. Appinit_Dlls로 구현한 환경 변수 설정 DLL [5]파일 다운로드1
882정성태6/17/201036101개발 환경 구성: 76. JKS(Java Key Store)에 저장된 인증서를 ActiveX 코드 서명에 사용하는 방법 [1]
881정성태6/14/201025236제니퍼 .NET: 12. COM+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79정성태6/10/201028168제니퍼 .NET: 11.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ASP.NET의 소켓 풀링 기능 [1]
878정성태6/6/201028070제니퍼 .NET: 10.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WCF의 WSDualHttpBinding 성능 부하
877정성태5/31/201024323제니퍼 .NET: 9. 성능 관리 퀴즈 세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6정성태5/31/201023926제니퍼 .NET: 8. 성능 관리 퀴즈 두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2]
875정성태5/30/201025781제니퍼 .NET: 7. 성능 관리 퀴즈 첫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3정성태5/19/201032439제니퍼 .NET: 6. 제니퍼를 위한 방화벽 설정
872정성태5/15/201031852제니퍼 .NET: 5. 제니퍼 서버 - NT 서비스로 구동시키는 방법
871정성태5/13/201038636VC++: 40. MSBuild를 이용한 VC++ 프로젝트 빌드파일 다운로드1
870정성태5/12/201030081제니퍼 .NET: 4. 닷넷 APM 솔루션 - 제니퍼 닷넷의 기능 요약 [2]
869정성태11/8/201931480오류 유형 : 95. WCF 인증서 설정 관련 오류 정리 [4]
865정성태5/5/201033658개발 환경 구성: 75. 인증서의 개인키를 담은 물리 파일 위치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864정성태5/4/201037542.NET Framework: 178. WCF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예제 [4]파일 다운로드1
863정성태5/4/201063622개발 환경 구성: 74. 인증서 관련(CER, PVK, SPC,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862정성태5/3/201025088제니퍼 .NET: 3. 제2회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뵙겠습니다. ^^
861정성태5/1/201025299.NET Framework: 177. .NET 2.0 Profiler에 .NET 4.0 지원 추가
860정성태4/30/201030823오류 유형: 95. .NET 4.0 설치 오류 - 0x800c0005 [1]
858정성태4/29/201034531제니퍼 .NET: 2. JENNIFER .NET을 이용한 .NET 웹 사이트 모니터링 (2) - 설치 [3]
857정성태4/27/201033174제니퍼 .NET: 1. JENNIFER .NET을 이용한 .NET 웹 사이트 모니터링 (1) - 임시 라이선스 요청 및 다운로드
855정성태4/24/201030080.NET Framework: 176. DataContext가 thread-safe한 것인가?
854정성태4/22/201026487오류 유형: 94. 팀 프로젝트 생성 오류 - TF218017, TF250044
853정성태4/22/201026790오류 유형: 93. TFS 2010 오류: rsProcessingAborted, rsErrorExecutingCommand
852정성태4/21/201028394Team Foundation Server: 33. 단일 서버에 Team Foundation Server 2010 설치하는 방법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