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COM 개체 관련: 6. WebBrowser 콘트롤에서 프레임을 구하는 소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80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아래의 소스는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라는 책의 6장에 나와 있는 조각 소스입니다. 그 책의 예제 CD에는 아래의 소스가 나와 있지 않은데요. 아래의 부분에 대해서 "질문과 답변"란에 글이 올라왔는데, 매번 답변해 주기 위해서 그 소스를 직접 타이핑하기도 그래서 아예 이곳에 영구 보관을 해둡니다. (질문 답변란은 주기적으로 삭제를 합니다.)

아래의 m_webBrowser 변수는, 여러분이 VC++에서 "웹브라우저 컨트롤"을 삽입한 경우, 그 컨트롤을 가리키는 변수명입니다.
HtmlView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냥 HtmlView 클래스의 함수 안에서 GetDocument()를 통해서 lpDisp에 대입하시면 됩니다.

최상단의 웹브라우저 콘트롤에서, 그 웹브라우저 컨트롤이 소유하고 있는 "자식 웹브라우저 컨트롤", 즉 Frame을 열람해 오는 소스입니다.

물론, 프레임 안의 HTML 페이지가 또 프레임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를 위해서 아래의 구해 오는 부분을 그에 따른 "재귀 호출"로 구성해야 합니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거의 3단계 이상의 프레임 사용이 없기 때문에 아예 그렇게 3번까지만 구해오는 방식을 취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LPDISPATCH lpDisp = NULL;
lpDisp = m_webBrowser.GetDocument();

if ( lpDisp ) {
IOleContainer *pContainer;

HRESULT hr = lpDisp->QueryInterface( IID_IOleContainer, (void **)&pContainer );
lpDisp->Release();

if ( FAILED( hr ) ) return hr;

IEnumUnknown *pEnumerator;

hr = pContainer->EnumObjects( OLECONTF_EMBEDDINGS, &pEnumerator );
pContainer->Release();

if ( FAILED( hr ) ) return hr;

IUnknown *pUnk;
ULONG uFetched;

for ( UINT i = 0; S_OK == pEnumerator->Next( 1, &pUnk, &uFetched; i ++ ) {
IWebBrowser2 *pWebBrowser;
hr = pUnk->QueryInterface( IID_IWebBrowser2, (void **)&pWebBrowser );
pUnk->Release();

if ( SUCCEEDED( hr ) ) {
// 구해진 내부 프레임을 소유한 IWebBrowser2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후, Release 합니다.

pWebBrowser->Release();
}
}

pEnumerator->Release();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28정성태12/31/20064766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415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3668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6144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4536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8620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21966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21068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3041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309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22376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21909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30108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337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30899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6268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6620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19549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19918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7923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4833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8752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3440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42771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3633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3032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