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Team Foundation Server: 7. 외부 빌드 머신 구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35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환경 : Single-server TFS



사실, TFS 서버를 한 대의 머신에 설치하는 것은 여러모로 바람직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SQL Server와 TFS 서버가 함께 있음으로 인한 부하를 무시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TFS 서버를 SourceSafe처럼 쓰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 느끼시겠지만 소스 세이프 보다는 많이 느리죠.

MS도 그 "느리다"는 것을 인지했기 때문에 "TFS Proxy"까지 만들게 되었을 것입니다. (Proxy라고 해서 Front-end HTTP 웹 서버에서 Back-end TFS 서버로 요청을 중계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TFS Proxy는 그러한 역할을 하지 않고 "Source Control"을 좀 더 빠르게 해주는 캐쉬기능을 담당합니다.)

아키텍트적으로 굳이 큰 그림을 그려 본다면 TFS 서비스를 원활하게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5대 정도의 컴퓨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인증 서버 : Active Directory
TFS Server - Application Tier
SQL Server - Data Tier
Proxy Server - TFS Proxy
Build Server - TFS Build Machine

하지만, 공부를 목적으로 하거나 회사에서의 소규모 테스트를 위한 용도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일반적일 것입니다.

인증 서버 : AD
TFS Server - App Tier + Data Tier + Build

물론, 최소 구성요소는 TFS Server이지만 가능한 AD 서버를 두고 TFS 서버(Single-Server 일지라도)를 그에 참여시키는 것을 권장합니다.



자, 이제 Single-server로 구성을 하긴 했지만, 조금 쓰다보면 1GB 메모리를 소모해버리는 TFS 서버에서 Build까지 하도록 하는 것은 너무 가혹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 더군다나, 이제 TFS 서버는 단순한 빌드만을 하는 용도가 아니라, Debug/Release 산출물은 물론이고 Unit Test, Symbol 서버, Code Analysis, 최종 제품으로의 셋업 Setup 과정까지 담당하게 되니, 당장은 아니더라도 언젠가는 Build server를 별도로 두고 싶어질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Build Machine을 구성할 수 있을까요? 천천히 따라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Build를 수행할 컴퓨터에 TFS CD의 "\build" 폴더에서 setup.exe를 실행시켜서 빌드 서비스를 설치합니다. 이때의 빌드 서비스 구동 계정은 AD에 참여 시킨 계정으로 해줍니다.

2. Team Project에서 새로운 Team Build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Build Service를 설치한 컴퓨터를 지정해 줍니다. [아래 그림 참조]

원격 빌드 컴퓨터를 지정

3. "인터넷으로 Team Server 접근"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빌드 서비스가 구성된 원격지 컴퓨터의 환경 설정을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 즉, Build Service로 하여금 어떤 PC가 TFS Server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는데, 해당 PC의 다음과 같은 환경 구성 값을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 변경 전 -----
    <!-- AllowedTeamServer
         This is the Team Foundation Server Application Tier that can connect
         to this build machine.
        -->
    <add key="AllowedTeamServer" value="" />

--- 변경 후 -----
    <add key="AllowedTeamServer" value="TFS 접근 URL 주소" />
예를 들어,
    <add key="AllowedTeamServer" value="https://www.sysnet.pe.kr:8070/" />

자, 이제 모든 설정은 마무리 되었습니다. Team Explorer에서 해당 Team Build를 선택해서 Build 명령을 내리면 원격지 컴퓨터에서 빌드 작업이 실행되게 됩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64정성태7/9/202028350오류 유형: 628.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Conflict. The container name "..." is already in use by container "...".
12261정성태7/9/202019512VS.NET IDE: 148. 윈도우 10에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리눅스 환경에서 실행하는 2가지 방법 - docker, WSL 2 [5]
12260정성태7/8/202017363.NET Framework: 926. C# - ETW를 이용한 ThreadPool 스레드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9정성태7/8/202016535오류 유형: 627. nvlddmkm.sys의 BAD_POOL_HEADER BSOD 문제 [1]
12258정성태7/8/202020355기타: 77. DataDog APM 간략 소개
12257정성태7/7/202016637.NET Framework: 925. C# - ETW를 이용한 Monitor Enter/Exit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6정성태7/7/202017850.NET Framework: 924. C# - Reflection으로 변경할 수 없는 readonly 정적 필드 [4]
12255정성태7/6/202018576.NET Framework: 923. C# -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Finalizer 실행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4정성태7/2/202017080오류 유형: 626. git -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12253정성태7/2/202019583.NET Framework: 922. C# - .NET ThreadPool의 Local/Global Queue파일 다운로드1
12252정성태7/2/202021336.NET Framework: 921. C# - I/O 스레드를 사용한 비동기 소켓 서버/클라이언트파일 다운로드2
12251정성태7/1/202020116.NET Framework: 920. C# - 파일의 비동기 처리 유무에 따른 스레드 상황 [1]파일 다운로드2
12250정성태6/30/202022294.NET Framework: 919. C# - 닷넷에서의 진정한 비동기 호출을 가능케 하는 I/O 스레드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49정성태6/29/202017814오류 유형: 625. Microsoft SQL Server 2019 RC1 Setup - 설치 제거 시 Warning 26003 오류 발생
12248정성태6/29/202015668오류 유형: 624. SQL 서버 오류 - service-specific error code 17051
12247정성태6/29/202017532.NET Framework: 918. C# - 불린 형 상수를 반환값으로 포함하는 3항 연산자 사용 시 단축 표현 권장(IDE0075) [2]파일 다운로드1
12246정성태6/29/202018716.NET Framework: 917. C# - USB 관련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12245정성태6/24/202019195.NET Framework: 916. C# - Task.Yield 사용법 (2) [2]파일 다운로드1
12244정성태6/24/202019143.NET Framework: 91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1]파일 다운로드1
12243정성태6/23/202015625VS.NET IDE: 147. Visual C++ 프로젝트 - .NET Core EXE를 "Debugger Type"으로 지원하는 기능 추가
12242정성태6/23/202017131오류 유형: 623. AADSTS90072 - User account '...' from identity provider 'live.com' does not exist in tenant 'Microsoft Services'
12241정성태6/23/202020264.NET Framework: 914. C# - Task.Yield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240정성태6/23/202021834오류 유형: 622. 소켓 바인딩 시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오류 발생
12239정성태6/21/202019902Linux: 30. (윈도우라면 DLL에 속하는) .so 파일이 텍스트로 구성된 사례 [1]
12238정성태6/21/202018222.NET Framework: 9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라이브러리
12237정성태6/20/202017787.NET Framework: 912. 리눅스 환경의 .NET Core에서 "test".IndexOf("\0")가 0을 반환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