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S로부터 답변을 들은 사항입니다.

한번 테스트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직접 따라해 보세요.

1. ATL DLL 프로젝트를 만들고
2. Insert New Object로 해서 "ATL Object Wizard"를 부릅니다.
3. 거기서 "Controls" 범주의 "HTML Control"을 선택해서 생성시킵니다.
4. 해당 컨트롤이 생성되면 "...UI.htm" 파일이 하나 생기게 되는데, 그 파일을 편집해서 <input type=text>를 하나 추가시킵니다.
5. 이제 컴파일을 하고, 해당 개체가 <OBJECT/>로 해서 삽입된 HTML 파일을 Internet Explorer에서 불러들입니다.
6. Control 영역에 물론, <input type=text>에 해당하는 입력박스가 보일 것입니다. 그 안에서 약간의 텍스트를 추가하고 화살표 키, DELETE 키 등을 입력해 보세요.

아마, 그런 키들이 통하지 않을 것입니다.

MS 측의 답변에서는, 그것이 ATL Wizard의 실수라고 합니다.
Wizard에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빼먹고 Template 파일들을 생성하는 것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STDMETHOD(TranslateAccelerator)(LPMSG pMsg)
   {
    CComPtr<IOleInPlaceActiveObject> spIOleInPlaceActiveObject;
    
    HRESULT hr = m_spBrowser->QueryInterface(&spIOleInPlaceActiveObject);
    if (SUCCEEDED(hr))
     hr = spIOleInPlaceActiveObject->TranslateAccelerator(pMsg);
    if (hr != S_OK)
     hr = IOleInPlaceActiveObjectImpl<CCTestKey>::TranslateAccelerator(pMsg);

    return hr;
   }

위의 코드를 HTML Control 헤더 파일 안에 추가한 후, 다시 컴파일해서 키보드 입력을 해보십시오.
이번에는 잘 통할 것입니다.

MS 측의 실수라고 하는 것이 어느 정도 수긍이 가는 이유가, 실제로 VS.NET의 ATL 7.0에서 HTML Control을 생성시키면 위의 코드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MS 관련 COM 구조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피상적으로만 사용하는 개발자들의 오류도 빼놓을 수는 없습니다. 관련 Interface들을 정확히 이해하고만 있어도 위의 코드 정도는 개발자 스스로가 알아내서 써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요즘 들어서야, ATL의 내부도 조금 눈에 익어서 이해가 가는 듯 싶은데... .NET의 출현 때문에 깊이있게 맘먹고 공부를 못하고 있답니다.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2정성태3/1/201225342Windows: 55. 윈도우 8 베타 설치 과정 [1]
1251정성태2/27/201229294VC++: 60. C/C++ Native 스레드 콜 스택 덤프를 얻는 공개 라이브러리 [2]파일 다운로드1
1250정성태2/27/201231397VC++: 59. C/C++ 프로젝트 빌드 속도 개선 - UnityBuild를 아세요? [3]
1249정성태2/26/201231089.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2]파일 다운로드3
1248정성태2/25/201242585.NET Framework: 310. C#의 Shift 비트 연산 정리파일 다운로드1
1247정성태2/25/201225278.NET Framework: 309. .NET 응용 프로그램에 기본 생성되는 스레드들에 대한 탐구 [1]파일 다운로드1
1246정성태2/25/201224850개발 환경 구성: 145. 한영 변환은 되지만, 정작 한글 입력이 안되는 경우
1245정성태2/25/201235567개발 환경 구성: 144. 윈도우에서도 유닉스처럼 명령행으로 원격 접속하는 방법
1244정성태2/24/201232757.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1]파일 다운로드1
1243정성태2/23/201232709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1]
1242정성태2/20/201239565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7]파일 다운로드1
1241정성태2/20/201226384.NET Framework: 30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ILMerge
1240정성태2/19/201232668디버깅 기술: 48. C/C++ JNI DLL을 Visual Studio로 디버깅하는 방법 [2]
1239정성태2/19/201224294.NET Framework: 306. 컴퓨터에 실행된 프로세스 중에 닷넷 응용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는 방법 - C# [1]파일 다운로드1
1238정성태2/19/201228167.NET Framework: 305. GetPrivateProfileSection / WritePrivateProfileSection의 C# 버전파일 다운로드1
1237정성태2/18/201232491개발 환경 구성: 142. Windows Embedded POSReady 7 설치 [1]
1236정성태2/17/201228306개발 환경 구성: 141. Windows 2008 R2 RDP 라이선스 서버 설치하는 방법
1235정성태2/16/201226752.NET Framework: 304. Hyper-V의 가상 머신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4정성태2/16/201227159.NET Framework: 303. 원본 파일의 공백/라인을 유지한 체 XML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3정성태2/16/201233264.NET Framework: 302. supportedRuntime 옵션과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 [5]
1232정성태2/9/201229174VC++: 57.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3]파일 다운로드1
1231정성태2/8/201238716VC++: 56.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5]파일 다운로드1
1230정성태2/6/201224065개발 환경 구성: 140.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1229정성태2/4/201229083.NET Framework: 301. P/Invoke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C++/CLI가 선택되려면? [5]파일 다운로드1
1228정성태2/4/201278377.NET Framework: 300. C#으로 만드는 음성인식/TTS 프로그램 [47]파일 다운로드1
1227정성태2/3/201229266.NET Framework: 299.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