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S로부터 답변을 들은 사항입니다.

한번 테스트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직접 따라해 보세요.

1. ATL DLL 프로젝트를 만들고
2. Insert New Object로 해서 "ATL Object Wizard"를 부릅니다.
3. 거기서 "Controls" 범주의 "HTML Control"을 선택해서 생성시킵니다.
4. 해당 컨트롤이 생성되면 "...UI.htm" 파일이 하나 생기게 되는데, 그 파일을 편집해서 <input type=text>를 하나 추가시킵니다.
5. 이제 컴파일을 하고, 해당 개체가 <OBJECT/>로 해서 삽입된 HTML 파일을 Internet Explorer에서 불러들입니다.
6. Control 영역에 물론, <input type=text>에 해당하는 입력박스가 보일 것입니다. 그 안에서 약간의 텍스트를 추가하고 화살표 키, DELETE 키 등을 입력해 보세요.

아마, 그런 키들이 통하지 않을 것입니다.

MS 측의 답변에서는, 그것이 ATL Wizard의 실수라고 합니다.
Wizard에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빼먹고 Template 파일들을 생성하는 것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STDMETHOD(TranslateAccelerator)(LPMSG pMsg)
   {
    CComPtr<IOleInPlaceActiveObject> spIOleInPlaceActiveObject;
    
    HRESULT hr = m_spBrowser->QueryInterface(&spIOleInPlaceActiveObject);
    if (SUCCEEDED(hr))
     hr = spIOleInPlaceActiveObject->TranslateAccelerator(pMsg);
    if (hr != S_OK)
     hr = IOleInPlaceActiveObjectImpl<CCTestKey>::TranslateAccelerator(pMsg);

    return hr;
   }

위의 코드를 HTML Control 헤더 파일 안에 추가한 후, 다시 컴파일해서 키보드 입력을 해보십시오.
이번에는 잘 통할 것입니다.

MS 측의 실수라고 하는 것이 어느 정도 수긍이 가는 이유가, 실제로 VS.NET의 ATL 7.0에서 HTML Control을 생성시키면 위의 코드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MS 관련 COM 구조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피상적으로만 사용하는 개발자들의 오류도 빼놓을 수는 없습니다. 관련 Interface들을 정확히 이해하고만 있어도 위의 코드 정도는 개발자 스스로가 알아내서 써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요즘 들어서야, ATL의 내부도 조금 눈에 익어서 이해가 가는 듯 싶은데... .NET의 출현 때문에 깊이있게 맘먹고 공부를 못하고 있답니다.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64정성태2/5/200923100Windows: 42. Concurrency Runtime
663정성태2/5/200927675.NET Framework: 123. WPF - Arial Narrow 폰트 문제
662정성태2/3/200923183VS.NET IDE: 59. HyperAddin 도구 사용 설명 [1]
661정성태2/3/200926876오류 유형: 68. msxml6r.dll 설치 오류
660정성태2/3/200925695Windows: 41. UAC 보안 취약 [2]
659정성태2/2/200936827오류 유형: 67. ClickOnce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을 때.
658정성태2/1/200929126Team Foundation Server: 30. 소스 서버 보안
657정성태2/1/200932136Windows: 40. Q1 Ultra + Windows 7 베타
656정성태2/1/200933248디버깅 기술: 24. .NET JIT 최적화 코드 생성 제어
655정성태1/31/200929832Windows: 39. IE8 표준 모드 [4]
653정성태1/29/200924643.NET Framework: 122.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성능은 어떨까!파일 다운로드1
652정성태1/22/200925206.NET Framework: 121. WPF - PrintTicket provider failed to bind to printer.
651정성태1/20/200923022.NET Framework: 120. 타입이 다른 배열끼리의 변환
650정성태1/19/200934787COM 개체 관련: 21. C/C++ 프로젝트에 /clr 옵션 적용으로 인한 COM 개체 사용 오류
649정성태1/18/200932399Windows: 38. Q1U UMPC에 Windows 7 베타 설치하기
648정성태1/18/200930937Windows: 37. Windows PE를 USB 메모리에 적용
647정성태1/18/200941200Windows: 36. Windows PE ISO 이미지 만들기 [1]
646정성태1/18/200934275디버깅 기술: 23. COMPLUS_ZapDisable - JIT 최적화 코드 생성 제어 [1]
645정성태1/11/200932786Windows: 35.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로딩 방법
644정성태1/11/200923667Windows: 34. VPC 설치 후기 [2]
643정성태1/10/200929058Windows: 33. Windows 7 베타와 VMA 충돌 [1]
642정성태1/8/200927754개발 환경 구성: 34. Sysinternals의 모든 툴을 한번에 업데이트 하는 방법 [1]
641정성태1/7/200924776기타: 27. D820 - A09 바이오스 업데이트 프로그램 패치 [2]
640정성태1/4/200926472Team Foundation Server: 29. ClickOnce 응용 프로그램 배포를 Team Build에 추가.
639정성태1/4/200924512Team Foundation Server: 28. PFX 코드 서명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팀 빌드 실패 - MSB4018
638정성태1/3/200927475.NET Framework: 119. WPF - 의존 속성 정의에서 XamlParseException 발생하는 예 [2]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