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신규 프로젝트는, 어찌 보면 정말 편한 작업입니다. ^^
모든 것을 새로 시작한다는 것은, 모든 것이 "임의 재량"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기존 프로젝트는 그렇지 못하죠.

소스 제어를 바꾸는 것만 해도, 기존 프로젝트는 그다지 자유롭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 소스 제어 간의 명시적인 변환 방법이 존재해야 하고,
- 변환 간에 충돌이 없어야 하며,
- 현재 팀 단위로 엮어져 있는 경우, 모든 팀원들의 소스 제어를 정상적으로 바꿔야 하는 데다,
    ; 이런 경우, 스스로 알아서 소스 제어를 바꿔주는 "착한" 팀원은 많지 않습니다. ^^
    ; 대개 팀장이 그 팀원 자리에 가서 이러이러하게 하라고 알려줘야 하지요.
    ; 팀장 대행으로 누군가를 시키면... 꼭 도중에 물어보러 옵니다. "어... 팀장님... 저 팀원 자리에서는 뭔가 잘 안 되는데요."
    ; 그럼, 팀장이라고 무슨 뾰족한 수가 있겠습니까... 찬찬히 살펴보고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가지 시도를 해보고... 그러다 수정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 그런데... 그런 것을 팀장 대행은 하려 하지 않습니다. ^^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라면 더더욱 문제가 됩니다. (프로젝트 중요도에 따라서 신중하게 생각하고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사실 신기술을 처음 부터 사용하는 사람보다, 기존 기술을 신기술에 맞춰서 하는 경우가 드물어 질 수밖에 없을 텐데요.

저 역시, 이제서야 VSS 2005에서 TFS SourceControl로 마이그레이션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상세한 마이그레이션 작업은 MSDN 도움말에 잘 나와 있기 때문에 생략하고. ^^
저는 일의 순서만을 나열해 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다음에 이 게시물을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

1. 우선, 현재의 VSS 2005의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합니다. 모든 개발자들이 체크인 및 최종 빌드를 완료하고, 해당 VSS DB를 폴더 통째로 다른 곳에 복사를 해 둡니다.

2. 이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할 VSS DB에 결함이 없는 지를 체크합니다. 이를 위해, VSS 2005에서는 "ANALYZE Utility"를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의 토픽을 참조하십시오.

Visual SourceSafe - ANALYZE Utility
; http://msdnwiki.microsoft.com/en-us/mtpswiki/ysxsfw4x.aspx

대강 내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은 데요.
- Analyzes and repairs the complete database and generates verbose output: 
C:\>analyze -C -D -F -V4 C:\VSS\Data 

- Analyzes the database, but does not repair it, and creates a list of corrupted files in C:\Temp:
C:\>analyze -BC:\Temp C:\VSS\Data 

Repairs any problems in the files listed in the Analyze.bad file generated by the preceding example:
C:\>analyze -F -C -D @C:\VSS\Data\Backup\Analyze.bad C:\VSS\Data

우선, "-B" 옵션을 이용해서 검사만 해봅니다. 만약 문제 보고가 심각하다면 해당 사항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를 해봐야 겠지만. 아마도 대부분 사소한 결함만이 있을 텐데, "-C -D -F -V4" 옵션으로 문제 수정을 해줍니다.

3. "테스트"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토픽을 참조하십시오.
Visual Studio Team System - Walkthrough: Preparing to Migrate from Visual SourceSafe to Team Foundation
; http://msdnwiki.microsoft.com/en-us/mtpswiki/ms181246.aspx

이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마이그레이션 대상 VSS DB를 지정하는 XML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대강 예제 XML 파일 - (일례로, settings.xml)은 다음과 같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ourceControlConverter>
      <ConverterSpecificSetting>
            <Source name="VSS">
                  <VSSDatabase name="c:\VSSDatabase"></VSSDatabase>
            </Source>
            <ProjectMap>
            <Project Source="$/FolderA"></Project>
            <Project Source="$/FolderB"></Project>
            </ProjectMap>
      </ConverterSpecificSetting>
</SourceControlConverter>

"테스트" 마이그레이션은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VSSConverter Analyze settings.xml

테스트 결과와 함께, 해당 VSS DB에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에 대한 목록을 담은 usermap.xml 파일이 생성됩니다.

4. "Analyze" 옵션을 주어서 실행한 "VSSConverter.exe" 결과가 정상이면, 이제서야 실제적인 마이그레이션을 해볼 수가 있습니다. 역시 구제적인 작업은 다음의 토픽을 참조하십시오.

Visual Studio Team System
Walkthrough: Migrating from Visual SourceSafe to Team Foundation
; http://msdnwiki.microsoft.com/en-us/mtpswiki/ms181247.aspx

이 단계에서는 기존에 작성했던 settings.xml 파일과 "Analyze" 결과로 생성된 usermap.xml 파일을 약간 편집해야 합니다. settings.xml의 경우에는, 대상 TFS 서버에 대한 정보와 마이그레이션 중에 사용될 임시 SQL Server DB를 지정해 주어야 하고, usermap.xml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사용자 계정이 있거나, 대상 TFS 서버의 AD에 없는 계정이 있다면 적절하게 생성/삭제를 해줍니다.

아래의 XML 내용은 실제로 제가 사용했던 settings.xml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ourceControlConverter>
      <ConverterSpecificSetting>
            <Source name="VSS">
                  <VSSDatabase name="D:\db\VSS"></VSSDatabase>
                  <UserMap name="D:\db\migration\UserMap.xml"></UserMap>
		  <SQL Server="sedona2"></SQL>
            </Source>
            <ProjectMap>
            	<Project Source="$/DxInfoViewerSolution" Destination="$/InfoScope"></Project>
            </ProjectMap>
      </ConverterSpecificSetting>
      <Settings>
		<TeamFoundationServer name="dxtfs" port="8080" protocol="http"></TeamFoundationServer>
      </Settings>
</SourceControlConverter>

자,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났으니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합니다.
VSSConverter Migrate settings.xml

2007.01.19: 내용 추가
만약, 계정명이 바뀌었거나 없는 계정이라면?... 다음의 토픽을 참조.

How to handle VSSConverter UserMap.xml files for users who no longer exist
; http://blogs.msdn.com/roberthorvick/archive/2007/01/18/how-to-handle-vssconverter-usermap-xml-files-for-users-who-no-longer-exist.aspx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0-11-24 03시52분
[달봉이] 시간 기아에 허덕이던 차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10-11-24 06시50분
^^ 오랜만입니다. 요즘 너무 자취를 감추셔서 ^^ 블로그에서도 뵐 수가 없네요.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41정성태2/3/202310691디버깅 기술: 188. ASP.NET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의 숨겨진 예외 -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13240정성태2/1/202311399디버깅 기술: 187. ASP.NET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의 숨겨진 예외 - System.Web.HttpException
13239정성태2/1/202310740디버깅 기술: 186. C# - CacheDependency의 숨겨진 예외 - System.Web.HttpException
13238정성태1/31/202315062.NET Framework: 2092. IIS 웹 사이트를 TLS 1.2 또는 TLS 1.3 프로토콜로만 운영하는 방법
13237정성태1/30/202314334.NET Framework: 2091. C# - 웹 사이트가 어떤 버전의 TLS/SSL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13236정성태1/29/202313131개발 환경 구성: 663. openssl을 이용해 인트라넷 IIS 사이트의 SSL 인증서 생성
13235정성태1/29/202312614개발 환경 구성: 662. openssl - 윈도우 환경의 명령행에서 SAN 적용하는 방법
13234정성태1/28/202315039개발 환경 구성: 661. dnSpy를 이용해 소스 코드가 없는 .NET 어셈블리의 코드를 변경하는 방법 [1]
13233정성태1/28/202316179오류 유형: 840. C# - WebClient로 https 호출 시 "The request was aborted: Could not create SSL/TLS secure channel" 예외 발생
13232정성태1/27/202312079스크립트: 43. uwsgi의 --processes와 --threads 옵션
13231정성태1/27/202311305오류 유형: 839. python - TypeError: '...' object is not callable
13230정성태1/26/202312058개발 환경 구성: 660. WSL 2 내부로부터 호스트 측의 네트워크로 UDP 데이터가 1개의 패킷으로만 제한되는 문제
13229정성태1/25/202313968.NET Framework: 2090. C# - UDP Datagram의 최대 크기
13228정성태1/24/202314515.NET Framework: 2089. C# - WMI 논리 디스크가 속한 물리 디스크의 정보를 얻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227정성태1/23/202313416개발 환경 구성: 659. Windows - IP MTU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 [1]
13226정성태1/23/202312363.NET Framework: 2088. .NET 5부터 지원하는 GetRawSocketOption 사용 시 주의할 점
13225정성태1/21/202311719개발 환경 구성: 658. Windows에서 실행 중인 소켓 서버를 다른 PC 또는 WSL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13224정성태1/21/202312196Windows: 221. Windows - Private/Public/Domain이 아닌 네트워크 어댑터 단위로 방화벽을 on/off하는 방법
13223정성태1/20/202312103오류 유형: 838. RDP 연결 오류 - The two computers couldn't connect in the amount of time allotted
13222정성태1/20/202311959개발 환경 구성: 657. WSL - DockerDesktop.vhdx 파일 위치를 옮기는 방법
13221정성태1/19/202312166Linux: 57. C# - 리눅스 프로세스 메모리 정보파일 다운로드1
13220정성태1/19/202311926오류 유형: 837. NETSDK1045 The current .NET SDK does not support targeting .NET ...
13219정성태1/18/202311480Windows: 220.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13218정성태1/17/202311348VS.NET IDE: 178. Visual Studio 17.5 (Preview 2) - 포트 터널링을 이용한 웹 응용 프로그램의 외부 접근 허용
13217정성태1/13/202312064디버깅 기술: 185. windbg - 64비트 운영체제에서 작업 관리자로 뜬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sos로 디버깅하는 방법
13216정성태1/12/202311932디버깅 기술: 184. windbg - 32비트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인 경우 !peb 명령어로 나타나지 않는 환경 변수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