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40. FxCop - IDE 에서 제공해 주는 SuppressMessage 코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92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ET 에서의 Code Analysis 툴인 FxCop.
잘들 사용하고 계신가요? ^^

솔직히, 저도 .NET 1.1 시절에는 그다지 잘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NET 2.0이 되면서, VS.NET IDE에 통합이 되어 있어서 이젠 좀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요.
그래서, 신규 프로젝트는 모두 FxCop을 Enable 시켜놓고 진행하고 있습니다. (Debug 모드에서는 Disable 시켜 놓고, Release 모드에서 Enable 시켜 놓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FxCop 규칙을 적용하다 보면 부득이하게 해당 규칙에 위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나오는데요.
그런 경우,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프로젝트 규모로 해당 규칙을 Disable.
다음과 같이 "프로젝트 속성" 창에서, "Code Analysis" 부분을 통해서 특정 규칙에 대한 Enable/Disbale 설정이 가능합니다.

Code Analysis

2. 코드 단위로 해당 규칙을 Disable.
규칙을 위반하는 .NET 코드에 대해서 SuppressMessage 특성을 설정해서 예외적으로 벗어납니다.
예를 들어서,

[System.Diagnostics.CodeAnalysis.SuppressMessage("Microsoft.Naming", "CA1705:LongAcronymsShouldBePascalCased")]
public partial class DDDPanel : UserControl
{

개인적으로는, 위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CA2210" 규칙을 제외하고는 가능한 FxCop 규정에 맞춰주고 부득이한 경우, 위와 같이 특성을 제공해서 컴파일을 하고 있습니다. 즉, 프로젝트 규모로 규칙을 disable 시키는 설정은 거의 하지 않는 다는 것이지요.



그나저나, 코드로 하는 것을 보니 상당히 귀찮습니다. 첫째로 너무 길죠. ^^;
게다가 중간에 "CA1705" 다음에 나오는 규칙의 타입명에 해당하는 "LongAcronymsShouldBePascalCased"까지 주어야 합니다. 더욱 문제는 바로 그 타입명 "LongAcronymsShouldBePascalCased"이 컴파일 경고 메시지에는 전혀 안 나온다는 것입니다.

일례로, 위의 구문에서 SuppressMessage를 제거하면.
Output 출력에는 다음과 같이 경고가 나오고,

D:\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8\Team Tools\Static Analysis Tools\FxCop\FxCopCmd.exe  
/o:"..\..\Output\Release\Test.dll.CodeAnalysisLog.xml" 
;
/r:D:\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8\Team Tools\Static Analysis Tools\FxCop\\rules /rid:-Microsoft.Design#CA2210
MSBUILD : warning : CA1705 : Microsoft.Naming : Correct the capitalization of type name 'DDDPanel'.

Eror List에는 다음과 같이 경고가 나옵니다.

Warning	1 CA1705 : Microsoft.Naming : Correct the capitalization of type name 'DDDPanel'.	D:\workshop\Test\DDDPanel.cs	15	

그래서, ^^; 제가 선택했던 방법은, "Error List"에서 해당 항목을 선택한 다음 "F1" 도움말을 호출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면, 온라인 도움말에서 타입명이 나오기 때문인데요.

오호...~~~ ^^;
오늘 새로운 것을 배웠습니다. Code Snippet과 비슷한 개념인데요. 자동으로 SuppressMessage 특성을 생성하도록 하는 방법이 MSDN Wiki 사이트에 댓글로 달려져 있었습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Error List"에서 해당 항목을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눌러서 나오는 메뉴의 "SuppressMessage(s)"를 선택하는 것이었습니다. 다음 화면과 같이.

SuppressMessage 적용
훌륭하군요. ^^ 위의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코드의 바로 윗부분에 자동으로 SuppressMessage 특성이 추가됩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989정성태2/1/201134636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988정성태1/30/201130358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987정성태1/29/201143804디버깅 기술: 33.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 [2]
986정성태1/26/201135350.NET Framework: 204. 분리된 ThreadPool 사용 - Smart Thread Pool
985정성태1/25/201131668디버깅 기술: 32. 인증서로 서명된 닷넷 어셈블리의 실행 지연 현상
984정성태1/25/201126321개발 환경 구성: 101. SharePoint 2010 - Form Design
983정성태1/23/201132070제니퍼 .NET: 15.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1]
982정성태1/22/201128044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
981정성태1/19/201125030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980정성태1/19/201136732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
979정성태1/18/201129501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
978정성태1/16/201136795.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
977정성태1/12/201135082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
976정성태1/11/201158286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975정성태1/10/201131511.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974정성태1/8/201130952.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973정성태1/7/201130057.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972정성태1/7/201128156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8009.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8401.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4408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30597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32304.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9772.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31902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7916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