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C++ 프로젝트 디버깅 시에 Step-Into(F11) 동작이 원치 않는 함수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방법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직접 한번 실습을 해볼까요? ^^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에서,

#include "stdafx.h"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void Output(wstring txt)
{
}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wstring txt = L"TEST";

    Output(txt);

    return 0;
}

Output 함수 실행 부분에 BP(Breakpoint)를 잡고는,

vcpp_breakpoint_0.png

F11(Step-into)키를 눌러 진행하면 어떻게 될까요? 원래 우리가 원하는 동작은 Output 함수로 디버거가 진입하는 것이지만, STL 클래스인 wstring 타입의 생성자로 인해 xstring 파일이 열리면서 basic_string 생성자로 진입하게 됩니다.

vcpp_breakpoint_1.png

함수에 여러 개의 STL 타입이 전달되는 경우면 이것이 여간 짜증나는 일이 아닐 수 없는데요. ^^; 바로 이럴 때 NatStepFilter 파일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How to Not Step Into Functions using the Visual C++ Debugger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andypennell/how-to-not-step-into-functions-using-the-visual-c-debugger

위의 글에 따라, 다음의 경로에 있는 파일을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2.0\Common7\Packages\Debugger\Visualizers\default.natstepfilter 

[Visual Studio 2015]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4.0\Common7\Packages\Debugger\Visualizers\default.natstepfilter

[Visual Studio 2017 - Enterpris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Common7\Packages\Debugger\Visualizers\default.natstepfilter

[Visual Studio 2019 - Enterpris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Common7\Packages\Debugger\Visualizers\default.natstepfilter 

[Visual Studio 2022 - Enterprise]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Common7\Packages\Debugger\Visualizers\default.natstepfilter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킨 notepad.exe"에 불러와서 다음과 같이 std 네임스페이스로 시작하는 모든 클래스 정의에 대해 디버거로 하여금 진입을 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epFilter xmlns="http://schemas.microsoft.com/vstudio/debugger/natstepfilter/2010">

  <Function><Name>std::.*</Name><Action>NoStepInto</Action></Function>


  <Function><Name>__security_check_cookie</Name><Action>NoStepInto</Action></Function>
  ...[생략: 기본적으로 포함된 내용]...
  <Function><Name>operator new</Name><Action>NoStepInto</Action></Function>
</StepFilter>

혹시나, ATL 관련 코드를 자주 만드는 분들이라면 다음의 항목도 추가해 주는 것도 편리할 것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epFilter xmlns="http://schemas.microsoft.com/vstudio/debugger/natstepfilter/2010">

  <Function><Name>std::.*</Name><Action>NoStepInto</Action></Function>
  <Function><Name>ATL::.*</Name><Action>NoStepInto</Action></Function>


  <Function><Name>__security_check_cookie</Name><Action>NoStepInto</Action></Function>
  ...[생략: 기본적으로 포함된 내용]...
  <Function><Name>operator new</Name><Action>NoStepInto</Action></Function>
</StepFilter>

물론, std/ATL 내부의 코드를 디버깅하고 싶은 코어 개발자라면 위의 설정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Navis 같은 파일은 프로젝트 레벨로 지원이 내려왔는데,

Project Support for Natvis 
; https://devblogs.microsoft.com/cppblog/project-support-for-natvis/

아쉽게도 natstepfilter 파일은 여전히 'Program Files' 폴더 하위에서만 지원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10-23 02시14분
정성태
2023-06-09 02시18분
Leverage native step filter files in your C++ project with Visual Studio 17.6!

We now provide added project-level support for .natstepfilter and .natjmc files, on top of the existing support for .natvis.

https://twitter.com/VS_Debugger/status/1666105167022833664?s=20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15정성태9/29/201730298기타: 68.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구매하신 분들을 위한 C# 7.0/7.1 추가 문법 PDF [8]
11314정성태9/28/201714459디버깅 기술: 98.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닷넷 버전 확인하는 방법
11313정성태9/25/201713012디버깅 기술: 97. windbg - 메모리 덤프로부터 DateTime 형식의 값을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12정성태9/25/201715406.NET Framework: 685. C# - 구조체(값 형식)의 필드를 리플렉션을 이용해 값을 바꾸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11정성태9/20/201711233.NET Framework: 684. System.Diagnostics.Process 객체의 명시적인 해제 권장
11310정성태9/19/201714078.NET Framework: 683. WPF의 Window 객체를 생성했는데 GC 수집 대상이 안 되는 이유 [3]
11309정성태9/13/201712117개발 환경 구성: 335. Octave의 명령 창에서 실행한 결과를 복사하는 방법
11308정성태9/13/201712967VS.NET IDE: 121.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일부 텍스트 파일을 무조건 메모장으로만 여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07정성태9/13/201715666오류 유형: 421. System.Runtime.InteropServices.SEHException - 0x80004005
11306정성태9/12/201713179.NET Framework: 682. 아웃룩 사용자를 위한 중국어 스팸 필터 Add-in
11305정성태9/12/201714939개발 환경 구성: 334. 기존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를 이용해 Github의 신규 생성된 repo에 올리는 방법 [1]
11304정성태9/11/201712163개발 환경 구성: 333. 3ds Max를 Hyper-V VM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03정성태9/11/201715367개발 환경 구성: 332. Inno Setup 파일의 관리자 권한을 제거하는 방법
11302정성태9/11/201712025개발 환경 구성: 331. SQL Server Express를 위한 방화벽 설정
11301정성태9/11/201711574오류 유형: 420. SQL Server Express 연결 오류 - A network-related or instance-specific error occurred while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SQL Server.
11300정성태9/10/201714142.NET Framework: 681. dotnet.exe - run, exec, build, restore, publish 차이점 [3]
11299정성태9/9/201712776개발 환경 구성: 330. Hyper-V VM의 Internal Network를 Private 유형으로 만드는 방법
11298정성태9/8/201715560VC++: 119. EnumProcesses / EnumProcessModules API 사용 시 주의점 [1]
11297정성태9/8/201712808디버깅 기술: 96.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닷넷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11296정성태9/8/201716159웹: 36. Edge - "이 웹 사이트는 이전 기술에서 실행되며 Internet Explorer에서만 작동합니다." 끄는 방법
11295정성태9/7/201713316디버깅 기술: 95. Windbg - .foreach 사용법
11294정성태9/4/201713075개발 환경 구성: 329.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1]
11293정성태9/4/201713513개발 환경 구성: 328. Visual Studio(devenv.exe)를 배치 파일(.bat)을 통해 실행하는 방법
11292정성태9/4/201712332오류 유형: 419. Cannot connect to WMI provider - Invalid class [0x80041010]
11291정성태9/3/201714313개발 환경 구성: 327. 아파치 서버 2.4를 위한 mod_aspdotnet 마이그레이션
11290정성태9/3/201716941개발 환경 구성: 326. 아파치 서버에서 ASP.NET을 실행하는 mod_aspdotnet 모듈 [2]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