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72. Visual Studio 2013에서의 sos.dll 사용 제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95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13에서의 sos.dll 사용 제한

분명히 예전에 Visual Studio에서 sos 확장을 로드하고 사용했었는데요.

Visual Studio의 .NET Disassembly 창의 call 호출에 사용되는 주소의 의미는?
; https://www.sysnet.pe.kr/2/0/1019

오랜만에 Visual Studio 2013에서 해봤더니, 오류의 연속입니다.

!load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SOS.dll"
End of expression expected

!load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SOS.dll"
Unrecognized escape sequence

.load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sos.dll
Unexpected character '\'

.load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sos.dll
Unexpected character '\'

.load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sos.dll"
Invalid expression term '.'

.load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sos.dll"
Unrecognized escape sequence

혹시나 해서 찾아봤더니,

sos.dll usage in visual studio 2013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4749213/sos-dll-usage-in-visual-studio-2013

What’s New for the Debugger in Visual Studio 2013
; https://msdn.microsoft.com/en-us/library/01xdt7cs.aspx

The SOS.dll (SOS Debugging Extension) that helps you debug managed programs in WinDbg, is not available from the Visual Studio IDE. See Debugging Managed Code Using the Windows Debugger


지원이 안된다고 하는군요. ^^ 좀 더 찾아보면,

SOS.dll (SOS Debugging Extension)
; https://docs.microsoft.com/ko-kr/dotnet/framework/tools/sos-dll-sos-debugging-extension

If you are using Visual Studio 2013, SOS.dll is supported in the Windows Debugger within Visual Studio, but not in the Immediate window of the Visual Studio debugger.


"Immediate window"에서는 지원하지 않지만, "Windows Debugger" 내에서는 된다고 나옵니다. 여기서 말하는 "in the Windows Debugger within Visual Studio" 환경이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 ^^ 이에 대한 힌트는 Visual Studio에 등록된 이슈에 보면 나옵니다.

".load sos" does not works - by Jegan Ravi
; https://connect.microsoft.com/VisualStudio/feedback/details/789971/-load-sos-does-not-works
Out current suggestion for SOS in VS is to use the WDK integration with VS.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debuggers-in-the-debugging-tools-for-windows-package
We will work on updating our documentation.

Debugging Environments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debuggers-in-the-debugging-tools-for-windows-package

Debugging Managed Code Using the Windows Debugger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debugging-managed-code

Starting with Windows Driver Kit (WDK) 8.0, the driver development environment and the Windows debugger are integrated into Microsoft Visual Studio.

You can use the windows debuggers (WinDbg, CDB, and NTSD) to debug target applications that contain managed code. To debug managed code, you must load the SOS debugging extension (sos.dll) and a data access component (mscordacwks.dll).


그렇습니다. WDK (Windows Driver Kit)을 설치하면, Visual Studio가 있는 경우 Windows debugger의 기능이 Visual Studio에 통합됩니다. 여러분의 컴퓨터에 WDK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는 "FILE" / "Open" / "Crash Dump..." 메뉴를 찾아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 메뉴가 없으면 WDK가 설치되지 않은 것이고, 있으면 설치된 것입니다.

하지만, WDK가 설치되었다고 해서 우리가 사용하는 .NET 응용 프로그램의 디버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Immediate window"에서는 더 이상 지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sos.dll을 로드할 수 있는 경우는 덤프 파일(.dmp)을 디버깅할 때입니다.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이 "Debugger Immediate Window"라는 별도의 창에서 하단에 명령어를 입력하는 텍스트 상자를 통해 sos를 로드할 수 있습니다.

vs2013_sos_1.png

위의 화면이 바로, 문서에서 말한 "in the Windows Debugger within Visual Studio" 환경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54정성태3/8/202120469.NET Framework: 1027. 닷넷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PDB 옵션 - full, pdbonly, portable, embedded
12553정성태3/5/202118775개발 환경 구성: 548. 기존 .NET Framework 프로젝트를 .NET Core/5+ 용으로 변환해 주는 upgrade-assistant, try-convert 도구 소개 [4]
12552정성태3/5/202119083개발 환경 구성: 547.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Visual Studio Marketplace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12551정성태3/5/202117949오류 유형: 702.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2)
12550정성태3/5/202117880오류 유형: 701. Live Share 1.0.3713.0 버전을 1.0.3884.0으로 업데이트 이후 ContactServiceModelPackage 오류 발생하는 문제
12549정성태3/4/202119603오류 유형: 700. VsixPublisher를 이용한 등록 시 다양한 오류 유형 해결책
12548정성태3/4/202120894개발 환경 구성: 546.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nuget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12547정성태3/3/202121319오류 유형: 699.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2546정성태3/3/202121682개발 환경 구성: 545.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빌드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Encrypted secrets
12545정성태3/2/202124075.NET Framework: 1026. 닷넷 5에 추가된 POH (Pinned Object Heap) [10]
12544정성태2/26/202124664.NET Framework: 1025. C# - Control의 Invalidate, Update, Refresh 차이점 [2]
12543정성태2/26/202121718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12542정성태2/20/202123394개발 환경 구성: 544. github repo의 Release 활성화 및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 방법 [1]
12541정성태2/18/202121212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12540정성태2/17/202122946.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22726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23393.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22080.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21324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20652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21736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19404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21914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20163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22896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22213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