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78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다음의 질문이 있군요.

.NET Framework 4.0 설치 문의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ko-KR/80e03dc0-f6f9-41df-ade5-37002539a3b4/net-framework-40-?forum=dotnetko

내용인 즉, .NET Framework 4.0을 설치해도 "C:\Program Files (x86)\MSBuild\Microsoft.Cpp\v4.0" 폴더가 없다는 것인데요. .NET Framework 4.0은 C++와는 무관하기 때문에 없는 것이 맞습니다.

그렇다면, Visual Studio 설치 없이 "\Microsoft.Cpp\v4.0" 폴더를 생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유일한 방법이라면, Windows SDK v7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Microsoft Windows SDK for Windows 7 and .NET Framework 4 
; http://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8279

이 버전의 SDK에는 아래와 같이 "Visual C++ Compilers", "Microsoft Visual C++ 2010"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설치 후에는 "C:\Program Files (x86)\MSBuild\Microsoft.Cpp\v4.0" 폴더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_sdk_install_1.png

그런데 웬일인지 Windows SDK v8부터는,

Windows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for Windows 8.1
;  https://developer.microsoft.com/en-us/windows/downloads/sdk-archive/

windows_sdk_install_2.png

Visual C++ 구성 요소가 누락되었습니다.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는 비주얼 스튜디오를 설치하지 않고 Visual C++ 컴파일러인 cl.exe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이전 버전인 Windows SDK v7을 설치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관련해서 좀 더 검색해 봤는데,

Fancy Standalone Visual C++ Compiler
; http://blog.httrack.com/blog/2014/02/21/fancy-standalone-visual-c-plus-plus-compiler/

Visual C++ 2012/2013부터는 어차피 무료 버전인 "Visual Studio Express"가 제공되기 때문에 Windows SDK에서는 중복 유지인 듯 싶어 뺀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어쩔 수 없이, C++ 최신 컴파일러를 원한다면 Visual Studio Express 버전을 통해 C/C++ 구성 요소를 설치해야 합니다.

참고로, 최신 C++ 표준을 준수하는 컴파일러를 현재 Visual C++ Compiler CTP 버전으로 무료 다운로드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Announcing the Visual C++ Compiler November 2013 CTP
; http://blogs.msdn.com/b/vcblog/archive/2013/11/18/announcing-the-visual-c-compiler-november-2013-ctp.aspx

아마도, C++ 기능을 필드 테스트 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정식 버전은 다시 Visual Studio에 포함되어 배포될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96정성태6/22/201423719.NET Framework: 444. clojure와 C#을 통해 이해하는 Sequence와 Vector 형식의 차이점 [1]
1695정성태6/21/201422978개발 환경 구성: 228. PowerShell ISE에서 (입력 기능이 있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방법
1694정성태6/21/201425071개발 환경 구성: 227. 닷넷 용 ClojureCLR 개발환경 설정
1693정성태6/20/201425566개발 환경 구성: 226. Clojure 언어의 윈도우 개발환경 설정
1692정성태6/19/201436055오류 유형: 231. Visual Studio 2013 한글 버전 설치 오류 - The form specified for the subject is not one supported or known by the specified trust provider
1691정성태6/18/201431478개발 환경 구성: 225. 유닉스 계열의 tail 명령어가 제공되는 PowerShell [1]
1690정성태6/18/201434339개발 환경 구성: 224. DirectShow 예제 구하는 방법 [3]
1689정성태6/18/201431134오류 유형: 230. C++ 가변 인자 사용시 va_start 파라미터 전달 방법 [2]
1688정성태6/15/201423093오류 유형: 229. 갤럭시 노트 3 환경에서 Xamarin 앱 배포 충돌
1687정성태6/15/201430405개발 환경 구성: 223. PowerShell로 Visual Studio 빌드 스크립트 작성파일 다운로드1
1686정성태6/12/201428992Windows: 96. 윈도우 8 - 그림 암호를 이용해 로그인 시 지연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 [1]
1685정성태6/10/201435378.NET Framework: 443. 자바 8과 C#의 람다(Lambda) 지원에 대한 비교 [12]
1684정성태6/9/201445755.NET Framework: 442. C# - 시스템의 CPU 사용량 및 프로세스(EXE)의 CPU 사용량 알아내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683정성태6/2/201425151오류 유형: 228. CLR4 보안 - yield 구문 내에서 SecurityCritical 메서드 사용 불가 [2]파일 다운로드1
1682정성태6/1/201431610.NET Framework: 441. .NET CLR4 보안 모델 - 3. CLR4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2
1681정성태6/1/201426093.NET Framework: 440. .NET CLR4 보안 모델 - 2. 샌드박스(Sandbox)을 이용한 보안 [2]파일 다운로드1
1680정성태6/1/201425721.NET Framework: 439. .NET CLR4 보안 모델 - 1. "Security Level 2"란?파일 다운로드1
1679정성태5/31/201424662.NET Framework: 438.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1678정성태5/31/201428388개발 환경 구성: 222. 라이브러리 개발자를 위한 보안 권한 테스트 - "Network Service" 계정 권한으로 실행
1677정성태5/30/201423773VS.NET IDE: 87. IIS Express - 웹 응용 프로그램의 .NET 버전에 맞는 CLR이 로드되지 않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676정성태5/27/201432531Windows: 95. 윈도우 8에서 Hyper-V 유무에 따른 듀얼 부트 설정하는 방법 [1]
1675정성태5/27/201434794Windows: 94. 윈도우 8.1에서 윈도우 체험 지수(Windows Experience Index, WEI) 확인 방법
1674정성태5/24/201427688VS.NET IDE: 86. 하나의 T4 템플릿으로 여러 개의 소스코드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73정성태5/19/201427641.NET Framework: 437. WACOM 태블릿 환경에서 WinForm 실행시 System.ArgumentException 예외 발생
1672정성태5/15/201428371기타: 46. Microsoft의 응용 프로그램을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서비스 - Azure RemoteApp 소개 [2]
1671정성태5/15/201428673.NET Framework: 436. XNA Content 리소스의 해제 후 다시 로드해서 사용하면 ObjectDisposedException 예외 발생 [2]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