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Visual Studio는 64비트 버전이 없습니다! 가끔씩, 비주얼 스튜디오 제품에 대해 64비트 버전이 있는지 묻는 글들을 보게 되는데요. Visual Studio 2013 Community 64Bit OS 설치 관련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ko-KR/06c7f151-2f10-4449-a99f-9b6294a826be/visual-studio-2013-community-64bit-os-?forum=vsko 결론부터 말하면, 64비트용 비주얼 스튜디오는 없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측 직원이 아주 상세하게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Visual Studio: Why is there no 64 bit version? (yet) ; http://blogs.msdn.com/b/ricom/archive/2009/06/10/visual-studio-why-is-there-no-64-bit-version.aspx ; http://web.archive.org/web/20100619130358/http://blogs.msdn.com/b/ricom/archive/2009/06/10/visual-studio-why-is-there-no-64-bit-version.aspx 몇몇 측면에서 봤을 때 (적어도 저 글을 쓰는 2009년 당시에는) 64비트 운영체제에서라도 32비트 비주얼 스튜디오가 적합하다고... 하는 글입니다. 하지만 64비트용 비주얼 스튜디오가 없다는 것이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64비트용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는 32비트용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32/64비트 응용 프로그램을 모두 개발/디버깅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32비트용 비주얼 스튜디오로 인한 제약이 있다면 단 하나! 비주얼 스튜디오의 실행 프로세스인 devenv.exe가 여전히 4GB 메모리 공간만을 가진다는 점입니다. 그 외에는, 32비트용 비주얼 스튜디오를 64비트 용 비주얼 스튜디오라고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리고, Visual Studio 2015 ~ 2019에서도 그 정책은 변하지 않아 32비트 버전만 출시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274. CoreFx, CoreCLR 빌드 시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Object' is not defined or imported" 오류 해결 방법[이전 글] .NET Framework: 506. .NETCore = CoreFX + CoreCLR [최초 등록일: 3/13/2015] [최종 수정일: 3/25/2025]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6-02-02 11시53분 [misspiece] 좋은 글 감사합니다. [guest] 2021-04-20 08시27분 드디어 64비트 버전의 비주얼 스튜디오가 나오는군요. ^^Visual Studio 2022; https://devblogs.microsoft.com/visualstudio/visual-studio-2022/ 정성태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19정성태8/30/201040790DDK: 1. Visual Studio 2010 - Device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3]1918정성태8/28/201026948개발 환경 구성: 87.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3)917정성태8/26/201021941개발 환경 구성: 86. "Routing and Remote Access"의 "Routing" 기능 활성화 방법916정성태8/25/201021139개발 환경 구성: 85. 가상 네트워크에 LAN 어댑터 보이거나 감추는 방법915정성태8/24/201039268개발 환경 구성: 84.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2)913정성태8/22/201028396오류 유형: 104. Hyper-V 관리자 - VM 생성 오류 (VHD 생성 오류)912정성태8/20/201030330.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1911정성태8/19/201027169오류 유형: 103. System.Reflection.TargetException1910정성태8/19/201037989개발 환경 구성: 83.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1)909정성태8/18/201033346오류 유형: 102. System.MissingMethodException908정성태8/17/201024394개발 환경 구성: 82.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3)907정성태8/14/201021923개발 환경 구성: 81.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2)906정성태8/13/201030799개발 환경 구성: 80.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1)905정성태8/8/201032951Team Foundation Server: 39. 배치 파일로 팀 빌드 구성 [2]1904정성태8/8/201035717오류 유형: 101.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2]903정성태8/6/201032581Team Foundation Server: 38.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4) - Branch902정성태8/5/201024925Team Foundation Server: 37. TFS 2010의 소스 서버 수작업 구성901정성태8/4/201024221Team Foundation Server: 36.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3) - Label900정성태8/3/201026901Team Foundation Server: 35.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2) - Shelveset899정성태8/2/201028931Team Foundation Server: 34.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1) - Changeset898정성태7/31/201028469.NET Framework: 182. WCF의 InactivityTimeout [1]1897정성태7/26/201129681.NET Framework: 181. AssemblyVersion, AssemblyFileVersion, AssemblyInformationalVersion [4]896정성태7/25/201036475.NET Framework: 180. C# Singleton 인스턴스 생성 [2]895정성태7/25/201020333VS.NET IDE: 68. Visual Studio 2010 - .NET 1.1 원격 디버깅894정성태7/25/201026244오류 유형: 100. Could not find the Database Engine startup handle. [1]893정성태7/25/201027404오류 유형: 99. .NET 4.0 설치된 윈도우 7에서 SQL Server 2008 R2 설치 오류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