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92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91.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48

.NET Framework: 494. 값(struct) 형식의 제네릭(Generic) 타입이 박싱되는 경우의 메타데이터 토큰 값
; https://www.sysnet.pe.kr/2/0/1857

.NET Framework: 495. CorElementType의 요소 값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860

.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 https://www.sysnet.pe.kr/2/0/2894

.NET Framework: 510. 제네릭(Generic) 인자에 대한 메타데이터 등록 확인
; https://www.sysnet.pe.kr/2/0/2907

.NET Framework: 844. C# - 박싱과 언박싱
; https://www.sysnet.pe.kr/2/0/11943

.NET Framework: 955.  .NET 메서드의 Signature 바이트 코드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2379

.NET Framework: 1130. C# - ELEMENT_TYPE_INTERNAL 유형의 사용 예
; https://www.sysnet.pe.kr/2/0/12903

.NET Framework: 1174. C# - ELEMENT_TYPE_FNPTR 유형의 사용 예
; https://www.sysnet.pe.kr/2/0/12998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ELEMENT_TYPE_MODIFIER 조합을 알다가도 모르겠군요. ^^;

지난 글에서는 SNINativeMethodWrapper.MarshalConsumerInfo 메서드의 signature가 "SIG: 00 02 01 12 20 20 45 0f 11 30" 값이었고, 그중 0x45가 ELEMENT_TYPE_MODIFIER | ELEMENT_TYPE_PINNED의 조합인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NET 2.0에 정의된 SNINativeMethodWrapper.MarshalConsumerInfo는 signature가 다릅니다.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MarshalConsumerInfo(class SNINativeMethodWrapper/ConsumerInfo consumerInfo,
                                                           valuetype SNI_CONSUMER_INFO* modopt([mscorlib]System.Runtime.CompilerServices.IsImplicitlyDereferenced) native_consumerInfo) cil managed
// SIG: 00 02 01 12 1C 20 39 0F 11 28

00 IMAGE_CEE_CS_CALLCONV_DEFAULT (static method)
02 # of arg(s)
01 ELEMENT_TYPE_VOID (return)
12 ELEMENT_TYPE_CLASS (1st arg type)
  1C (1byte - type token)
  20 ELEMENT_TYPE_CMOD_OPT
  39 ????
  0F ELEMENT_TYPE_PTR
11 ELEMENT_TYPE_VALUETYPE (2nd arg type)
  28 (1byte - type token) 

0x39라니...? ELEMENT_TYPE_MODIFIER의 값이 0x40이기 때문에 .NET 2.0 시절에는 ELEMENT_TYPE_MODIFIER로 분류되지도 않았다는 의미가 됩니다. 알수는 없지만, 억지로 조합해보면 다음과 같이 0x39를 만들 수 있습니다.

ELEMENT_TYPE_VALUETYPE = 0x11
ELEMENT_TYPE_PTR = 0x0f
                 == 20
ELEMENT_TYPE_U == 0x19

ELEMENT_TYPE_VALUETYPE | ELEMENT_TYPE_PTR | ELEMENT_TYPE_U

그런데, ".NET 4.0 (x64)"에서는 또 다른 조합이 나옵니다.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MarshalConsumerInfo(class SNINativeMethodWrapper/ConsumerInfo consumerInfo,
                                                           valuetype Sni_Consumer_Info* modopt([mscorlib]System.Runtime.CompilerServices.IsImplicitlyDereferenced) native_consumerInfo) cil managed
SIG: 00 02 01 12 20 20 49 0F 11 38

0x49입니다.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을 corhdr.h에서 보면,

ELEMENT_TYPE_MODIFIER       = 0x40,
ELEMENT_TYPE_SENTINEL       = 0x01 | ELEMENT_TYPE_MODIFIER, // sentinel for varargs
ELEMENT_TYPE_PINNED         = 0x05 | ELEMENT_TYPE_MODIFIER,
ELEMENT_TYPE_R4_HFA         = 0x06 | ELEMENT_TYPE_MODIFIER, // used only internally for R4 HFA types
ELEMENT_TYPE_R8_HFA         = 0x07 | ELEMENT_TYPE_MODIFIER, // used only internally for R8 HFA types

0x49는 도저히 나올 수 없는 조합입니다. 게다가, 이번에 공개된 .NET 4.6 Preview의 corhdr.h에 보면 ELEMENT_TYPE_R4_HFA, ELEMENT_TYPE_R8_HFA는 아예 삭제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NETFXSDK\4.6\Include\um\corhdr.h

ELEMENT_TYPE_MODIFIER       = 0x40,
ELEMENT_TYPE_SENTINEL       = 0x01 | ELEMENT_TYPE_MODIFIER, // sentinel for varargs
ELEMENT_TYPE_PINNED         = 0x05 | ELEMENT_TYPE_MODIFIER,

도대체 어떻게 0x49가 나올 수 있을까 싶어 무작위로 검색해 보니, coreclr에 힌트가 나옵니다.

// https://github.com/dotnet/coreclr/blob/master/src/vm/compactlayoutwriter.h

178     enum CorElementTypeMDIL 
179     { 
180         ELEMENT_TYPE_NATIVE_VALUETYPE = 0x08 | ELEMENT_TYPE_MODIFIER 
181     }; 

위의 값을 기반으로 만들어 보면, 0x49를 이렇게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0x49 == ELEMENT_TYPE_MODIFIER | 0x08 | 0x01
     == ELEMENT_TYPE_NATIVE_VALUETYPE | ELEMENT_TYPE_SENTINEL

00 IMAGE_CEE_CS_CALLCONV_DEFAULT (static method)
02 # of arg(s)
01 ELEMENT_TYPE_VOID (return)
12 ELEMENT_TYPE_CLASS (1st arg type)
  20 (1byte - type token)
  20 ELEMENT_TYPE_CMOD_OPT
  49 ELEMENT_TYPE_NATIVE_VALUETYPE | ELEMENT_TYPE_SENTINEL 
  0F ELEMENT_TYPE_PTR
11 ELEMENT_TYPE_VALUETYPE (2nd arg type)
  38 (1byte - type token)

물론, 위의 가정은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가정입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4/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989정성태2/1/201134580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988정성태1/30/201130319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987정성태1/29/201143770디버깅 기술: 33.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 [2]
986정성태1/26/201135318.NET Framework: 204. 분리된 ThreadPool 사용 - Smart Thread Pool
985정성태1/25/201131612디버깅 기술: 32. 인증서로 서명된 닷넷 어셈블리의 실행 지연 현상
984정성태1/25/201126301개발 환경 구성: 101. SharePoint 2010 - Form Design
983정성태1/23/201132052제니퍼 .NET: 15.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1]
982정성태1/22/201128029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
981정성태1/19/201125003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980정성태1/19/201136715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
979정성태1/18/201129430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
978정성태1/16/201136776.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
977정성태1/12/201135056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
976정성태1/11/201158249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975정성태1/10/201131477.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974정성태1/8/201130918.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973정성태1/7/201130004.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972정성태1/7/201128100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7963.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8354.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4377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30534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32233.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9655.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31795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7800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