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DDK: 6. ZwTerminateProcess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Device Driver 프로그램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05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DDK: 3. NT Legacy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C#에서 Port 입출력
; https://www.sysnet.pe.kr/2/0/932

DDK: 5. NT Legacy 드라이버: 프로세스(EXE) 생성/제거 모니터링
; https://www.sysnet.pe.kr/2/0/937

DDK: 6. ZwTerminateProcess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Device Driver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2904

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103

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12104




ZwTerminateProcess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Device Driver 프로그램

예전에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없었다는 글을 쓴 적이 있는데요.

윈도우 8 - WmiPrvSE.exe 프로세스가 CPU 소비하는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474

이번에도 또 그런 현상이 발생했는데, 지난 번과는 달리 taskhost.exe로 바뀐 차이만 있습니다. Process Explorer로 보니 명령행이 "C:\Windows\System32\taskhost.exe Time"로 되어 있습니다. 뭐... ^^; 별로 해볼게 없습니다.

어쨌든, 강제 종료가 안되니 답답하기만 한데 그래서 혹시나 있을 다음번 현상을 위해 ZwTerminateProcess를 호출하는 NT Legacy driver를 만들어 봤습니다. 일단, 뼈대는 예전에 만들어 둔 PortIo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NT Legacy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C#에서 Port 입출력
; https://www.sysnet.pe.kr/2/0/932

ZwTerminateProcess 호출 예제는 다음의 글에 있으니 이를 참고해서,

C++ Kernel Mode ZwTerminateProcess
; http://forum.sysinternals.com/c-kernel-mode-zwterminateprocess_topic21887.html

다음과 같이 IOCTL_WRITE_PROCESSID를 만들어 두었습니다.

    case IOCTL_WRITE_PROCESSID:
        if (inBufLength >= 4) 
        {
            DbgPrint("Write - 0x%x\n", LongBuffer[0]);
             
            HANDLE ProcessHandle = NULL;
            OBJECT_ATTRIBUTES ObjectAttributes;
            CLIENT_ID ClientId;

            ObjectAttributes.Length = sizeof(OBJECT_ATTRIBUTES);
            ObjectAttributes.RootDirectory = NULL;
            ObjectAttributes.ObjectName = NULL;
            ObjectAttributes.Attributes = OBJ_KERNEL_HANDLE | OBJ_CASE_INSENSITIVE;
            ObjectAttributes.SecurityDescriptor = NULL;
            ObjectAttributes.SecurityQualityOfService = NULL;

            ClientId.UniqueThread = 0;
            ClientId.UniqueProcess = (HANDLE)LongBuffer[0];

            NTSTATUS NtStatus = ZwOpenProcess(
                &ProcessHandle,
                PROCESS_ALL_ACCESS,
                &ObjectAttributes,
                &ClientId);

            if (NtStatus == STATUS_SUCCESS)
            {
                NtStatus = ZwTerminateProcess(
                    ProcessHandle,
                    STATUS_SUCCESS);

                if (NtStatus)
                    KdPrint((" [!] Could not to terminate process...\n"));
            }
        } 
        else 
        {
            ntStatus = STATUS_BUFFER_TOO_SMALL;
        }

        pIrp->IoStatus.Information = 0; /* Output Buffer Size */
        ntStatus = STATUS_SUCCESS;
        break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클라이언트 격인 C# 프로그램에서는 해당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변경해 줄 수 있습니다.

===== Program.cs =====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namespace PortIOSample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Version 1.4");

            Process[] notepadPids = Process.GetProcessesByName("notepad");
            using (PortIOLib portIoLib = new PortIOLib(true))
            {
                foreach (Process proc in notepadPids)
                {
                    Console.WriteLine(proc.Id.ToString("x") + ": " + portIoLib.Terminate(proc.Id));
                }
            }
        }
    }
}

===== PortIOLib.cs =====
public bool Terminate(int processId)
{
    if (fileHandle == null || fileHandle.IsInvalid == true)
    {
        return false;
    }

    byte[] inBuffer = BitConverter.GetBytes(processId);
    int pBytesReturned;

    return Kernel32.DeviceIoControl(fileHandle, IOCTL_WRITE_PROCESSID, inBuffer, inBuffer.Length, inBuffer, inBuffer.Length,
        out pBytesReturned, IntPtr.Zero);
}

자, 이제 준비가 되었군요. ^^ 다시 한번 종료되지 않는 프로세스가 나온다면 이걸로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




참고로, 설치는 되었지만 net start 명령에서 이렇게 오류가 발생한다면? (원래는 정식 소프트웨어 인증서로 서명하면 발생하지 않을 오류입니다.)

D:\TestApp>net start portio
System error 577 has occurred.

Windows cannot verify the digital signature for this file. A recent hardware or software change might have installed a file that is signed incorrectly or damaged, or that might be malicious software from an unknown source.

다음의 글을 참고만 하시고,

How to fix “Windows cannot verify the digital signature for this file” error in Windows 8.1, 8, 7 & Vista.
; http://www.wintips.org/how-to-fix-windows-cannot-verify-the-digital-signature-for-this-file-error-in-windows-8-7-vista/

아래의 명령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킨 후 재부팅해 주시면 됩니다. ^^

bcdedit /set testsigning on

그런데, 위의 명령도 이런 식으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D:\TestApp>bcdedit /set testsigning on
An error has occurred setting the element data.
The value is protected by Secure Boot policy and cannot be modified or deleted.

아래의 글을 보면,

An error has occurred setting the element data. The value is protected by Secure Boot policy and cannot be modified or deleted
; http://techibee.com/sysadmins/an-error-has-occurred-setting-the-element-data-the-value-is-protected-by-secure-boot-policy-and-cannot-be-modified-or-deleted/2058

BIOS에 "SecureBoot" 옵션이 켜져 있어서 그렇다고 하니, 이를 꺼둔 후 명령을 실행하고 다시 켜주시면 됩니다. (도대체 재부팅을 몇번이나???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8/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08-04 09시11분
Mattiwatti / PPLKiller (PPL: Protected Processes Light)
; https://github.com/Mattiwatti/PPLKiller
정성태
2020-08-04 09시56분
사용자 모드에서 설정할 수는 없지만, Windows 10 build 20161부터 EPROCESS에 DisallowUserTerminate 필드가 추가된다고 합니다.

Critical, Protected, DUT Processes in Windows 10
; https://windows-internals.com/dut-processes-in-windows-10/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40정성태5/13/202120940오류 유형: 716. RDP 연결 - Because of a protocol error (code: 0x112f), the remote session will be disconnected. [1]
12639정성태5/12/202117334오류 유형: 715. Arduino: Open Serial Monitor - The module '...\detection.node' was compiled against a different Node.js version using NODE_MODULE_VERSION
12638정성태5/12/202117576사물인터넷: 63. NodeMCU v1 ESP8266 - 펌웨어 내 파일 시스템(SPIFFS, LittleFS) 및 EEPROM 활용
12637정성태5/10/202117790사물인터넷: 62. NodeMCU v1 ESP8266 보드의 A0 핀에 다중 아날로그 센서 연결 [1]
12636정성태5/10/202118026사물인터넷: 61. NodeMCU v1 ESP8266 보드의 A0 핀 사용법 - FSR-402 아날로그 압력 센서 연동파일 다운로드1
12635정성태5/9/202116342기타: 81. OpenTabletDriver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지 않고도) 관리자 권한의 프로그램에서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12634정성태5/9/202114807개발 환경 구성: 572. .NET에서의 필수 무결성 제어 - 외부 Manifest 파일을 두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33정성태5/7/202117801개발 환경 구성: 571. UAC - 관리자 권한 없이 UIPI 제약을 없애는 방법
12632정성태5/7/202119000기타: 80. (WACOM도 지원하는) Tablet 공통 디바이스 드라이버 - OpenTabletDriver
12631정성태5/5/202117827사물인터넷: 60. ThingSpeak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ESP8266 NodeMCU v1 + 조도 센서 장비 연동파일 다운로드1
12630정성태5/5/202118559사물인터넷: 59. NodeMCU v1 ESP8266 보드의 A0 핀 사용법 - CdS Cell(GL3526) 조도 센서 연동파일 다운로드1
12629정성태5/5/202120312.NET Framework: 1057. C# - CoAP 서버 및 클라이언트 제작 (UDP 소켓 통신) [1]파일 다운로드1
12628정성태5/4/202118225Linux: 39. Eclipse 원격 디버깅 - Cannot run program "gdb": Launching failed
12627정성태5/4/202118319Linux: 38. 라즈베리 파이 제로 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Eclipse C/C++ 윈도우 환경 설정
12626정성태5/3/202118421.NET Framework: 1056.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 (2)파일 다운로드1
12625정성태5/3/202116928오류 유형: 714. error CS5001: Program does not contain a static 'Main' method suitable for an entry point
12624정성태5/2/202121394.NET Framework: 1055. C# - struct/class가 스택/힙에 할당되는 사례 정리 [10]파일 다운로드1
12623정성태5/2/202117696.NET Framework: 1054. C# 9 최상위 문에 STAThread 사용 [1]파일 다운로드1
12622정성태5/2/202113537오류 유형: 713. XSD 파일을 포함한 프로젝트 - The type or namespace name 'TypedTableBase<>' does not exist in the namespace 'System.Data'
12621정성태5/1/202118427.NET Framework: 1053. C# - 특정 레지스트리 변경 시 알림을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20정성태4/29/202121599.NET Framework: 1052. C# - 왜 구조체는 16 바이트의 크기가 적합한가? [1]파일 다운로드1
12619정성태4/28/202121561.NET Framework: 1051. C# - 구조체의 크기가 16바이트가 넘어가면 힙에 할당된다? [2]파일 다운로드1
12618정성태4/27/202119838사물인터넷: 58. NodeMCU v1 ESP8266 CP2102 Module을 이용한 WiFi UDP 통신 [1]파일 다운로드1
12617정성태4/26/202117091.NET Framework: 1050. C# - ETW EventListener의 Keywords별 EventId에 따른 필터링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16정성태4/26/202116794.NET Framework: 1049. C# - ETW EventListener를 상속받았을 때 초기화 순서파일 다운로드1
12615정성태4/26/202114045오류 유형: 712. Microsoft Live 로그인 - 계정을 선택하는(Pick an account) 화면에서 진행이 안 되는 문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