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283. WCF 연결 오류 - Expected record type 'PreambleAck'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78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CF 연결 오류 - Expected record type 'PreambleAck'

결과부터 말씀드리면, WCF 서비스 측에서 http 포트로 8000번, net.tcp 포트를 8001번으로 열고 있었는데, WCF 클라이언트 측에서 net.tcp 접속을 8000번으로 시도하는 경우 이런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erver Error in '/' Application.

Expected record type 'PreambleAck', found '72'. 
  Description: An unhandled exception occurr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urrent web request. Please review the stack trace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error and where it originated in the code. 

 Exception Details: System.IO.InvalidDataException: Expected record type 'PreambleAck', found '72'.

Source Error: 


 An unhandled exception was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urrent web request. Information regarding the origin and location of the exception can be identified using the exception stack trace below.  

Stack Trace: 
[InvalidDataException: Expected record type 'PreambleAck', found '72'.]

[ProtocolException: You have tried to create a channel to a service that does not support .Net Framing. It is possible that you are encountering an HTTP endpoint.]
   System.Runtime.Remoting.Proxies.RealProxy.HandleReturnMessage(IMessage reqMsg, IMessage retMsg) +307
   System.Runtime.Remoting.Proxies.RealProxy.PrivateInvoke(MessageData& msgData, Int32 type) +1291
   TestWcfLib.ITestWcf.HelloWorld(String connectionString) +0
   WebSiteTest.Test.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in d:\...\Test.aspx.cs:98
   System.Web.Util.CalliHelper.EventArgFunctionCaller(IntPtr fp, Object o, Object t, EventArgs e) +25
   System.Web.Util.CalliEventHandlerDelegateProxy.Callback(Object sender, EventArgs e) +52
   System.Web.UI.Control.OnLoad(EventArgs e) +117
   System.Web.UI.Control.LoadRecursive() +98
   System.Web.UI.Page.ProcessRequestMain(Boolean includeStagesBeforeAsyncPoint, Boolean includeStagesAfterAsyncPoint) +2503

에러메시지가 PreambleAck라니... ^^; 오묘한 이 오류 때문에 한참을 헤맸다는!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9/201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28정성태8/20/200639516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6289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30157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4971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44590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5408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3226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3225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3446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3344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3064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728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3224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630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4115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4241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862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3174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3033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3195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341정성태9/16/20062426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5. [내용 예약]
342정성태9/16/20064214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6.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 [1]파일 다운로드1
306정성태2/13/200721291기타: 15. .NET 이 생산성이 높다는 증거(!)
304정성태7/21/200623576VS.NET IDE: 4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305정성태7/21/200623316    답변글 VS.NET IDE: 41.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1]
303정성태7/20/200621211Team Foundation Server: 12. 사용자 계정 재생성에 따른 Version Control 영향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