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ET Framework 4.6이 설치된 경우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가 설치 안 되는 문제

현재 시점에서는 아직 RC 버전이지만, .NET Framework 4.6을 설치한 컴퓨터에서는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 프로그램이,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
; https://downloadcenter.intel.com/product/55005/Intel-Rapid-Storage-Technology-Intel-RST-

13.6.0.1002 버전의 경우 SetupRST.exe 파일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 오류가 발생합니다.

rst_setup_failed_0.png

The setup program ended prematurely because of the following error:

The following application requires Microsoft .NET Framework 4.5: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로그를 살펴보면 이런데요.

2015:05:07 20:52:30:105:   OS check passed
2015:05:07 20:52:30:108: E .NET version check failed. Needed v4.5\Client v4.5\Full
2015:05:07 20:52:30:111: E Win32 exception occurred!!
2015:05:07 20:52:30:113:     Error code: 0x4E23 (20003)
2015:05:07 20:52:30:116:     Error text: ''
2015:05:07 20:52:30:119:     Extended error text: '.NET version check failed'
2015:05:07 20:52:30:121:     Debug info: 'Configuration.cpp (179)'

구체적으로 어떤 동작인지는 알 수 없지만, 대충 메시지를 보아 하니 레지스트리로부터 버전 판단을 하는 듯 싶습니다. 좀 더 원인 파악을 위해 "Process Monitor"를 통해 레지스트리 접근을 확인해 보니, 답이 나왔습니다. ^^ 바로 다음의 레지스트리로부터 버전 판단을 하고 있었습니다.

rst_setup_failed_1.png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NET Framework Setup\NDP\v4\Full
Name: Version
Value: 4.6.00057

"4.6.00057"은 .NET Framework 4.6 RC 설치로 인해 버전이 4.6.xxxx으로 바뀐 것입니다. 혹시나 싶어, .NET 4.5가 설치된 컴퓨터의 버전 번호를 보니 "4.5.51641"로 되어 있습니다. 오호~~~ 그렇다면 버전 번호를 임시로 바꿔주면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 프로그램이 제대로 설치된다는 의미인데요.

문제는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NET Framework Setup\NDP\v4\Full" 키가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편집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다음의 글에 설명한 방법에 따라,

레지스트리 권한 오류 - Cannot edit [Registry key name]: Error writing the value's new contents.
; https://www.sysnet.pe.kr/2/0/2916

레지스트리 값을 바꾼 이후, 예상했던 대로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습니다. ^^

(아마도, .NET 4.6 정식 버전이 나오면 인텔 측도 그에 맞게 RST 프로그램을 내놓을 것입니다. 단지, 그 때까지는 이런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10-18 04시54분
[q77] 안녕하세요! 여러가지 삽질을 하다가 우연하게 좋은글 보게되었습니다 ㅎㅎ

저도 비슷한 상황에서 오류가 나서 따라 해보았더니 전 영 효과가 없네요 .ㅜㅜ

지금 구형 q77보드에 3세대 i5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아무래도 아이비브릿지용 보드가 정식으로 윈도우 10을 지원하지않는 상황에서

윈 10을 사용하니 막상 이 보드에 지원하는 드라이버가 rst경우 버전 13.xx 까지인걸로 알고있느데 넷프레임 워크 4.7이 깔려 있다보니 4.5가 필요한 드라이버 오류나 나타나는걸로 보이는데 전 글에 방법대로 버전 을 속이기를 해봐도 소용이 없었습니다 ..ㅜㅜ 12.xx버전 같은경우는 깔리는데

무리하게라도 정식 버전인 13번대 rst를 사용하려고 하니 오류가 계속나네요 ... 혹시 버전 변경후 재부팅이 필요한 처치인가요 ?

제가 그나마 최신 rst를 사용하려는 이유는 이상하게 ssd를 장착하였느데 일반적인 벤치 수준 보다 유독 4k 쓰기 부분이 반토막이 나는 증상 떄문입니다

ssd문제라기 보다는 여러번 윈도우 제설치과 구형 드라이버 그나마 신형인 12번대 드라이버 사용 간에 속도 차이가 발생 하고있어서 그나마 최신인 13번대를 사용하면 해결이 될 수 있겠다 싶어 입니다.

2세대 까지는 sata2까지고 3세대부터 sata 2, 3 이 섞여서 나오게 된걸로 보이는데 왠지 과도기적인 보드나 칩셋이라 발생하는것 같다 괜히 찜찜 하네요 ..

최근 컴퓨터가 있어서 연결해보고 정상속도가 나온다면 ssd문제가 아니 그냥 사용하면 되지만 그럴수 없는 상황이라 괜히 여러시도를 하고있는것 같아보입니다 ㅜㅜ

글쓴 분의 조언 해주실 부분 있으면 듣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17-10-18 05시15분
제 글을 보면 오류 로그 파일에 문제의 원인을 찾는 것이 나옵니다. 그 원인과 똑같은 건가요? 만약 똑같다면, 제 글에 쓰인대로 Process Monitor를 이용해 어떤 버전을 찾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그대로 버전 등록만 해주면 됩니다.
정성태
2017-10-18 06시04분
[q77] 네 오류 로그는 완전히 동일합니다 그래서 위방법데로 레지스트리의 4.7.xx 로 나온 부분을 위 글과 같이 변경후 rst 설치를 해도 동일안 에러메시지가 나옵니다 ..
[guest]
2017-10-18 08시10분
버전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런 오류 메시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Process Monitor를 이용해 어떤 버전을 찾고 있는지 알아내어 그 버전을 적용하면 됩니다.
정성태
2017-10-18 11시42분
[q77]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여전히 같은 방법으로 수정 하고 수정후 재부팅후 해도 같은 오류메세지가 뜨네요 포기해야될 것 같습니다 ..

귀찮으실 텐데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guest]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074정성태10/20/201629285Windows: 126. Windows Server 2016 평가판을 정식 버전으로 라이선스 변경하는 방법
11073정성태10/20/201625282.NET Framework: 613. 윈도우 데스크톱 응용 프로그램(예: Console)에서 알림 메시지(Toast notifications) 띄우기 [1]파일 다운로드1
11072정성태10/20/201621840VC++: 102. 새로 추가한 ATL COM 객체가 regsvr32.exe로 등록이 안 되는 문제
11071정성태10/20/201625379.NET Framework: 612. UWP(유니버설 윈도우 플랫폼) 앱에서 콜백 함수 내에서의 UI 요소 접근 방법 [1]
11070정성태10/20/201619615Windows: 125. 윈도우 서버 2016 마이그레이션
11069정성태10/19/201627308.NET Framework: 611. C++ 개발자들을 위한 C# Thread 동작 방식 [2]
11068정성태10/19/201630503Windows: 124.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5) - TSC(Time Stamp Counter)와 QueryPerformanceCounter [12]파일 다운로드1
11067정성태10/18/201626821Windows: 123.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4) - RTC, TSC, PM Clock, HPET Timer [2]
11066정성태10/17/201624473Windows: 122.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3) - QueryInterruptTimePrecise, QueryInterruptTime 함수파일 다운로드1
11065정성태10/15/201629886Windows: 121.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2) - Sleep 함수의 동작 방식 [1]
11064정성태10/14/201621592.NET Framework: 610. C# - WaitOnAddress Win32 API 사용파일 다운로드1
11063정성태10/14/201637707Windows: 120.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1) - GetTickCount와 timeGetTime의 차이점 [5]파일 다운로드1
11062정성태10/12/201618307오류 유형: 361. WCF .svc 호출 시 Could not find a base address that matches scheme net.tcp 예외
11061정성태10/12/201630456오류 유형: 360. IIS - 500.19 오류 (0x80070021)
11060정성태10/12/201622921오류 유형: 359. WCF - .svc 요청시 404 Not Found
11059정성태10/11/201627159.NET Framework: 609. WPF -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 데이터 바인딩의 INotifyPropertyChanged.PropertyChanged에 대한 배려 [1]파일 다운로드1
11058정성태10/8/201622486개발 환경 구성: 303. Windows 10 Bash Shell - 한글 환경을 영문으로 바꾸고 싶다면?
11057정성태10/8/201617856오류 유형: 358. Windows 10 bash shell - sudo: unable to resolve host ...
11056정성태10/8/201620749개발 환경 구성: 302. Windows 10 bash shell 시작 시 [...] packages can be updated.
11055정성태10/8/201621791.NET Framework: 608. double 값을 구할 때는 반드시 피연산자를 double로 형변환! [6]
11054정성태10/5/201625786개발 환경 구성: 301. "Let's Encrypt" SSL 인증서를 Azure Cloud Services(classic)에 업데이트하는 방법
11053정성태10/5/201620538.NET Framework: 607. C# try/catch/finally의 IL 코드 표현
11052정성태9/27/201634677개발 환경 구성: 300.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11051정성태9/25/201621853개발 환경 구성: 299. docker - c:\programdata\docker\windowsfilter 폴더 정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050정성태9/24/201626560VC++: 101. 반올림하지 않고 double 변수 값 출력하는 방법 [3]
11049정성태9/24/201621022오류 유형: 357.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1000037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