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ET Framework 4.6이 설치된 경우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가 설치 안 되는 문제

현재 시점에서는 아직 RC 버전이지만, .NET Framework 4.6을 설치한 컴퓨터에서는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 프로그램이,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
; https://downloadcenter.intel.com/product/55005/Intel-Rapid-Storage-Technology-Intel-RST-

13.6.0.1002 버전의 경우 SetupRST.exe 파일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 오류가 발생합니다.

rst_setup_failed_0.png

The setup program ended prematurely because of the following error:

The following application requires Microsoft .NET Framework 4.5: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로그를 살펴보면 이런데요.

2015:05:07 20:52:30:105:   OS check passed
2015:05:07 20:52:30:108: E .NET version check failed. Needed v4.5\Client v4.5\Full
2015:05:07 20:52:30:111: E Win32 exception occurred!!
2015:05:07 20:52:30:113:     Error code: 0x4E23 (20003)
2015:05:07 20:52:30:116:     Error text: ''
2015:05:07 20:52:30:119:     Extended error text: '.NET version check failed'
2015:05:07 20:52:30:121:     Debug info: 'Configuration.cpp (179)'

구체적으로 어떤 동작인지는 알 수 없지만, 대충 메시지를 보아 하니 레지스트리로부터 버전 판단을 하는 듯 싶습니다. 좀 더 원인 파악을 위해 "Process Monitor"를 통해 레지스트리 접근을 확인해 보니, 답이 나왔습니다. ^^ 바로 다음의 레지스트리로부터 버전 판단을 하고 있었습니다.

rst_setup_failed_1.png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NET Framework Setup\NDP\v4\Full
Name: Version
Value: 4.6.00057

"4.6.00057"은 .NET Framework 4.6 RC 설치로 인해 버전이 4.6.xxxx으로 바뀐 것입니다. 혹시나 싶어, .NET 4.5가 설치된 컴퓨터의 버전 번호를 보니 "4.5.51641"로 되어 있습니다. 오호~~~ 그렇다면 버전 번호를 임시로 바꿔주면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 프로그램이 제대로 설치된다는 의미인데요.

문제는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NET Framework Setup\NDP\v4\Full" 키가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편집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다음의 글에 설명한 방법에 따라,

레지스트리 권한 오류 - Cannot edit [Registry key name]: Error writing the value's new contents.
; https://www.sysnet.pe.kr/2/0/2916

레지스트리 값을 바꾼 이후, 예상했던 대로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습니다. ^^

(아마도, .NET 4.6 정식 버전이 나오면 인텔 측도 그에 맞게 RST 프로그램을 내놓을 것입니다. 단지, 그 때까지는 이런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10-18 04시54분
[q77] 안녕하세요! 여러가지 삽질을 하다가 우연하게 좋은글 보게되었습니다 ㅎㅎ

저도 비슷한 상황에서 오류가 나서 따라 해보았더니 전 영 효과가 없네요 .ㅜㅜ

지금 구형 q77보드에 3세대 i5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아무래도 아이비브릿지용 보드가 정식으로 윈도우 10을 지원하지않는 상황에서

윈 10을 사용하니 막상 이 보드에 지원하는 드라이버가 rst경우 버전 13.xx 까지인걸로 알고있느데 넷프레임 워크 4.7이 깔려 있다보니 4.5가 필요한 드라이버 오류나 나타나는걸로 보이는데 전 글에 방법대로 버전 을 속이기를 해봐도 소용이 없었습니다 ..ㅜㅜ 12.xx버전 같은경우는 깔리는데

무리하게라도 정식 버전인 13번대 rst를 사용하려고 하니 오류가 계속나네요 ... 혹시 버전 변경후 재부팅이 필요한 처치인가요 ?

제가 그나마 최신 rst를 사용하려는 이유는 이상하게 ssd를 장착하였느데 일반적인 벤치 수준 보다 유독 4k 쓰기 부분이 반토막이 나는 증상 떄문입니다

ssd문제라기 보다는 여러번 윈도우 제설치과 구형 드라이버 그나마 신형인 12번대 드라이버 사용 간에 속도 차이가 발생 하고있어서 그나마 최신인 13번대를 사용하면 해결이 될 수 있겠다 싶어 입니다.

2세대 까지는 sata2까지고 3세대부터 sata 2, 3 이 섞여서 나오게 된걸로 보이는데 왠지 과도기적인 보드나 칩셋이라 발생하는것 같다 괜히 찜찜 하네요 ..

최근 컴퓨터가 있어서 연결해보고 정상속도가 나온다면 ssd문제가 아니 그냥 사용하면 되지만 그럴수 없는 상황이라 괜히 여러시도를 하고있는것 같아보입니다 ㅜㅜ

글쓴 분의 조언 해주실 부분 있으면 듣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17-10-18 05시15분
제 글을 보면 오류 로그 파일에 문제의 원인을 찾는 것이 나옵니다. 그 원인과 똑같은 건가요? 만약 똑같다면, 제 글에 쓰인대로 Process Monitor를 이용해 어떤 버전을 찾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그대로 버전 등록만 해주면 됩니다.
정성태
2017-10-18 06시04분
[q77] 네 오류 로그는 완전히 동일합니다 그래서 위방법데로 레지스트리의 4.7.xx 로 나온 부분을 위 글과 같이 변경후 rst 설치를 해도 동일안 에러메시지가 나옵니다 ..
[guest]
2017-10-18 08시10분
버전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런 오류 메시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Process Monitor를 이용해 어떤 버전을 찾고 있는지 알아내어 그 버전을 적용하면 됩니다.
정성태
2017-10-18 11시42분
[q77]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여전히 같은 방법으로 수정 하고 수정후 재부팅후 해도 같은 오류메세지가 뜨네요 포기해야될 것 같습니다 ..

귀찮으실 텐데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guest]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53정성태1/29/200921943.NET Framework: 122.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성능은 어떨까!파일 다운로드1
652정성태1/22/200922778.NET Framework: 121. WPF - PrintTicket provider failed to bind to printer.
651정성태1/20/200920052.NET Framework: 120. 타입이 다른 배열끼리의 변환
650정성태1/19/200931813COM 개체 관련: 21. C/C++ 프로젝트에 /clr 옵션 적용으로 인한 COM 개체 사용 오류
649정성태1/18/200929388Windows: 38. Q1U UMPC에 Windows 7 베타 설치하기
648정성태1/18/200928096Windows: 37. Windows PE를 USB 메모리에 적용
647정성태1/18/200938232Windows: 36. Windows PE ISO 이미지 만들기 [1]
646정성태1/18/200931163디버깅 기술: 23. COMPLUS_ZapDisable - JIT 최적화 코드 생성 제어 [1]
645정성태1/11/200929963Windows: 35.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로딩 방법
644정성태1/11/200921065Windows: 34. VPC 설치 후기 [2]
643정성태1/10/200926501Windows: 33. Windows 7 베타와 VMA 충돌 [1]
642정성태1/8/200925219개발 환경 구성: 34. Sysinternals의 모든 툴을 한번에 업데이트 하는 방법 [1]
641정성태1/7/200922364기타: 27. D820 - A09 바이오스 업데이트 프로그램 패치 [2]
640정성태1/4/200924014Team Foundation Server: 29. ClickOnce 응용 프로그램 배포를 Team Build에 추가.
639정성태1/4/200922017Team Foundation Server: 28. PFX 코드 서명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팀 빌드 실패 - MSB4018
638정성태1/3/200925079.NET Framework: 119. WPF - 의존 속성 정의에서 XamlParseException 발생하는 예 [2]
637정성태1/1/200927285기타: 26. 2008년 인기 순위 정리
636정성태12/31/200822408.NET Framework: 118. 2진 검색을 이용한 리스트 정렬 삽입파일 다운로드1
635정성태12/29/200824973오류 유형: 66. 파일 암호화 오류 - Recovery policy configured for this system contains invalid recovery certificate
634정성태12/29/200839340기타: 25. 가상 키보드 관련 정리 [4]
633정성태12/20/200824843기타: 24. RMClock for x64 [2]
632정성태12/19/200833480기타: 23. D820 - 배터리 없이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631정성태12/10/200842129VC++: 36.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3]
630정성태12/9/200822932.NET Framework: 117. WPF - TreeView에서 항목이 펼쳐질 때 Cursors.Wait 사용파일 다운로드1
629정성태12/7/200832088.NET Framework: 116. 소켓 연결 시간 제한
628정성태12/6/200821000.NET Framework: 115. Marshal 타입 관련 2가지 자원 해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