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TFVC(Team Foundation Version Control)에 참여시킨 프로젝트의 로컬 경로를 옮기는 방법.

사실, 가능한 이런 일이 없어야 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요.
이런 일은, 개인 PC에 저장된 "프로젝트"의 위치가 변경이 되는 것이므로, 이런 것은 전체적인 개발 방법론을 아무리 잘 세워도 소용없는 일입니다. 예를 들어, 개발자가 자신의 하드 디스크 폴더를 정리하다가, 지금까지의 모든 프로젝트 파일이 다소 산만하게 구성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새롭게 "D:\Workshop" 폴더를 만든 후 그 아래에 모두 옮기고 싶은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 일단 한번 그런 생각을 하고 나면,,, 반드시 하고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이 있을 텐데요.(이 분야의 사람들이 그런 면이 좀 심하지요. ^^)

이번 토픽에서는, TFVC에 참여시킨 프로젝트의 로컬 폴더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우선, (꼭 해야 하는 일이라기보다는.) 모든 파일을 깨끗하게 check-in 하시고요.
프로젝트의 폴더를 다른 폴더로 이동시킵니다. 그다음 Solution 파일을 더블 클릭을 하게 되면 ... (당연하게도) 다음과 같은 오류가 떨어지게 됩니다.

The solution appears to be under source control, but its binding information cannot be found.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recover this missing information automatically, 
the projects whose bindings are missing will be treated as not under source control.

뒤이어, 다음과 같이 선택하도록 하는 창이 나옵니다.

소스 제어 오류


자, 목표는 간단합니다. 위의 오류 화면이 안 나오면 그만입니다. ^^
방법도 참 간단합니다. ^^ 단지, 아래에 제시한 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1. VS.NET 2005 IDE를 실행시킵니다.

2. Team Explorer에서 해당 팀 프로젝트의 "Source Control"을 더블 클릭해서 "Source Control Explorer"를 실행시킵니다. (어떤 실행 경로를 거치든 상관없이 "Source Control Explorer"만 띄우면 됩니다.)

3.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처럼, "Workspaces..."를 선택합니다.

Workspaces... 선택

4. "Manage Workspaces"에서 해당 컴퓨터를 선택하고, "Edit..."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상태가 됩니다.

Edit Workspaces

5. "Working folders:"에서, 해당하는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Local Folder"를 바꿔줍니다.



이걸로 끝입니다. 이제 솔루션 폴더를 옮겼던 해당 폴더에 가서, 다시 Solution 파일을 더블클릭을 해서 실행시키면 정상적으로 소스 제어하에 열리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16정성태1/29/202117183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
12515정성태1/28/202118888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
12514정성태1/28/202119141.NET Framework: 1021. C# - 일렉트론 닷넷(Electron.NET) 소개 [1]파일 다운로드1
12513정성태1/28/202116183오류 유형: 698.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1]
12512정성태1/28/202116734오류 유형: 697. The program can't start because VCRUNTIME140.dll is missing from your computer. Try reinstalling the program to fix this problem.
12511정성태1/27/202116372Windows: 187. Windows - 도스 시절의 8.3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2510정성태1/27/202117203.NET Framework: 1020. .NET Core Kestrel 호스팅 - Razor 지원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9정성태1/27/202117082개발 환경 구성: 524. Jupyter Notebook에서 C#(F#, PowerShell) 언어 사용을 위한 환경 구성 [3]
12508정성태1/27/202116356개발 환경 구성: 523. Jupyter Notebook - Slide 플레이 버튼이 없는 경우
12507정성태1/26/202116860VS.NET IDE: 157. Visual Studio - Syntax Visualizer 메뉴가 없는 경우
12506정성태1/25/202119951.NET Framework: 1019. Microsoft.Tye 기본 사용법 소개 [1]
12505정성태1/23/202116618.NET Framework: 1018. .NET Core Kestrel 호스팅 - Web API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4정성태1/23/202118681.NET Framework: 1017.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2) - HTTP/2, HTTP/3 관련 [1]
12503정성태1/21/202117098오류 유형: 696. C# - HttpClient: Requesting HTTP version 2.0 with version policy RequestVersionExact while HTTP/2 is not enabled.
12502정성태1/21/202117678.NET Framework: 1016. .NET Core HttpClient의 HTTP/2 지원파일 다운로드1
12501정성태1/21/202116594.NET Framework: 1015. .NET 5부터 HTTP/1.1, 2.0 선택을 위한 HttpVersionPolicy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2500정성태1/21/202117434.NET Framework: 1014. ASP.NET Core(Kestrel)의 HTTP/2 지원 여부파일 다운로드1
12499정성태1/20/202118772.NET Framework: 1013. .NET Core Kestrel 호스팅 - 포트 변경, non-localhost 접속 지원 및 https 등의 설정 변경 [1]파일 다운로드1
12498정성태1/20/202117141.NET Framework: 1012. .NET Core Kestrel 호스팅 - 비주얼 스튜디오의 Kestrel/IIS Express 프로파일 설정
12497정성태1/20/202119786.NET Framework: 1011. C# - OWIN Web API 예제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2
12496정성태1/19/202117129.NET Framework: 1010. .NET Core 콘솔 프로젝트에서 Kestrel 호스팅 방법 [1]
12495정성태1/19/202119492웹: 40. IIS의 HTTP/2 지원 여부 - h2, h2c [1]
12494정성태1/19/202118823개발 환경 구성: 522.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2]
12493정성태1/18/202116873.NET Framework: 1009.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1) - HTTP 관련 [1]파일 다운로드1
12492정성태1/17/202115811오류 유형: 695. ASP.NET 0x80131620 Failed to bind to address
12491정성태1/16/202117778.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