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저희 모임에 참석해 주신 분이, 질문을 해주신 것입니다.
근데, 별로 대단치도 않은 일에... 오늘도 여지없이 저녁시간이 날아가 버렸습니다.
아까버라. 요즘은 정말, 시간이 너무 아깝습니다.

암튼. 언젠가 한번은 부딪힐 만한 일이므로. ^^ 거기다가 그 분이 간단한 프로젝트까지 만들어서 보내주셨기 때문에.
저는 디버깅에만 열중할 수 있었습니다.

소스는 간단했습니다.
라이브러리 유형의 프로젝트가 하나 있고요.

다음과 같이 style 속성에 출력해 주는 cs 파일 하나가 있습니다. assembly 레벨의 WebResource 특성에 정상적으로 리소스를 연결했고, style 속성에도 역시 정상적으로 경로를 지정했습니다.

[assembly: System.Web.UI.WebResource("CustomControls1.Resource.control.htc", "text/javascript")]
namespace CustomControls1
{
    public class ExTextBox2 : System.Web.UI.WebControls.TextBox
    {
        protected override void AddAttributesToRender(System.Web.UI.HtmlTextWriter writer)
        {
            writer.AddAttribute("style", "behavior:url('" + Page.ClientScript.GetWebResourceUrl(this.GetType(), "CustomControls1.Resource.control.htc") + "')");
        }
    }
}

실제로, IE로 네비게이션을 해보니 다음과 같이 렌더링되어 나옵니다.

<input style="behavior:url('/HTC_Test/WebResource.axd?
d=_sFp7ULWG3RAUOWZIDPRQgOIgnJ8tIZo_x3fQCvij_VImjUjOE0JiaPb_Dus6a0AnM_pMY3jetdO-6YYlcHbrQ2
&t=632881705791912528')" 
/>

물론, ^^; 동작은 안되더군요.
IE 주소창에 "http://localhost//HTC_Test/WebResource.axd? d=_sFp7ULWG3RAUOWZIDPRQgOIgnJ8tIZo_x3fQCvij_VImjUjOE0JiaPb_Dus6a0AnM_pMY3jetdO-6YYlcHbrQ2 &t=632881705791912528"라고 치니, 정상적으로 파일은 다운로드가 됩니다.

혹시나, HTML 페이지를 네비게이션 할 때는 HTC에 대한 요청이 가지 않는가 해서 네트워크 모니터로 살펴보았으나, GET 요청은 정확히 2번(test.aspx, WebResource.axd)이 오고 갔으며, HTC 파일 내용도 정확히 전달되어져 왔습니다.

여기서부터, 땀나기 시작하더군요. 마침 날씨도 여름이군요. ^^;
짜증 나고. 이 별것도 아닌 일에 내 귀한 시간이 가는 걸 생각하니 앉아 있는 자세도 어느새 삐딱해지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구글을 검색해 보았습니다.
HTC와 WebResource.axd라는 검색어로 찾으니, 그나마 쓸만한 토픽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왔습니다.

Embedding Resources in ASP.NET 2.0 Assemblies - Part 2
; http://aspalliance.com/850

다음의 문구가 눈에 띕니다.

[assembly: WebResource("MyWebAppAssembly.MyComponent.htc","text/component")]

A colleague of mine was embedding a behavior for his server control 
and discovered that to get the .htc file to behave correctly he had to 
set the content type to text/component, as shown at the bottom of Listing 1.

반드시 text/component로 했을 때만 동작이 되었다고 하는군요. 똑똑한 동료를 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도 한번 "text/component"로 바꿔보았습니다.

안되는군요. 슬슬 기로에 서기 시작했습니다. 더할 것이냐 말 것이냐. 안 그래도 HTC 사용은 CSS 검사에서도 표준이 아니라고 튀어나오기 때문에 가뜩이나 눈에 거슬렸는데. 앞으로 잘 사용하지 않고 싶은 이 기술을 위해서 더 조사를 할 것이냐...? 고민이 무진장 되기 시작합니다. ^^;

그러다, 문득 들은 생각 하나. 레지스트리에 HKEY_CLASSES_ROOT 하위에 ".htc"가 어떤 Content-type으로 등록되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오호... 이게 웬일입니까?
뜻밖에도, ".htc"에 대해서 "text/x-component"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다시 소스 파일을 열어서 x-component로 수정을 한 후 네비게이션을 하니... ^^ 잘 되는군요.

근데... 어째 불안합니다. 구글에서 찾았던 그 토픽이 "text/component"에서 잘 되었다고 쓴 이유는, 곧 그들의 컴퓨터에 등록된 ".htc" 파일의 content-type이 그랬다는 얘기일 텐데요. 제가 가지고 있는 VPC의 Windows XP와 Windows 2003을 뒤져보니, 다행히 모두 "text/x-component"로 되어 있긴 합니다.

암튼. 오늘도 이거 하나 해결하느라 저녁시간을 써버렸습니다.
아~~~흑... 공부해야 할 것도 많고, 구현해 보고픈 것도 많으나... 언제나 삶의 이러한 변수들이 가로막는군요. 물론, 그러한 변수가 있어서 더 즐거워지는 인생이겠지만. ^^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6-07-11 09시23분
[이방은] 저의 궁금증을 확 풀어 주셨군요..
생일 선물로 생각하고 감사히 받겠습니다..(오늘 생일입니다..온 세상에 자랑을..ㅡ.ㅡ;)
정말 고맙습니다..^^
[guest]
2006-07-11 09시42분
생일 축하드립니다. ^^
그동안 제가 답변을 하지 않고 이때를 맞춘 것도 다 인연이었나 보군요. (게을러서 지금 답변하게 되었다는 변명치고는 좀... ^^;)
kevin25
2006-07-11 10시00분
[이방은] ㅎㅎ
아무렴 어떻습니까..
암튼 감사합니다 ^^
[gues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68정성태1/17/20253119Windows: 277. Hyper-V - Windows 11 VM의 Enhanced Session 모드로 로그인을 할 수 없는 문제
13867정성태1/17/20254068오류 유형: 943. Hyper-V에 Windows 11 설치 시 "This PC doesn't currently meet Windows 11 system requirements" 오류
13866정성태1/16/20254272개발 환경 구성: 739. Windows 10부터 바뀐 device driver 서명 방법
13865정성태1/15/20253947오류 유형: 942. C# - .NET Framework 4.5.2 이하의 버전에서 HttpWebRequest로 https 호출 시 "System.Net.WebException" 예외 발생
13864정성태1/15/20253912Linux: 114. eBPF를 위해 필요한 SELinux 보안 정책
13863정성태1/14/20253362Linux: 113. Linux - 프로세스를 위한 전용 SELinux 보안 문맥 지정
13862정성태1/13/20253628Linux: 112. Linux - 데몬을 위한 SELinux 보안 정책 설정
13861정성태1/11/20253909Windows: 276. 명령행에서 원격 서비스를 동기/비동기로 시작/중지
13860정성태1/10/20253614디버깅 기술: 216. WinDbg - 2가지 유형의 식 평가 방법(MASM, C++)
13859정성태1/9/20253971디버깅 기술: 215. Windbg - syscall 이후 실행되는 KiSystemCall64 함수 및 SSDT 디버깅
13858정성태1/8/20254100개발 환경 구성: 738. PowerShell - 원격 호출 시 "powershell.exe"가 아닌 "pwsh.exe" 환경으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
13857정성태1/7/20254149C/C++: 187. Golang -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Linux 데몬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변경파일 다운로드1
13856정성태1/6/20253728디버깅 기술: 214. Windbg - syscall 단계까지의 Win32 API 호출 (예: Sleep)
13855정성태12/28/20244459오류 유형: 941. Golang - os.StartProcess() 사용 시 오류 정리
13854정성태12/27/20244558C/C++: 186. Golang -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NT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변경파일 다운로드1
13853정성태12/26/20244026디버깅 기술: 213. Windbg - swapgs 명령어와 (Ring 0 커널 모드의) FS, GS Segment 레지스터
13852정성태12/25/20244495디버깅 기술: 212. Windbg - (Ring 3 사용자 모드의) FS, GS Segment 레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3851정성태12/23/20244247디버깅 기술: 211. Windbg - 커널 모드 디버깅 상태에서 사용자 프로그램을 디버깅하는 방법
13850정성태12/23/20244741오류 유형: 940. "Application Information" 서비스를 중지한 경우, "This file does not have an app associated with it for performing this action."
13849정성태12/20/20244894디버깅 기술: 210. Windbg - 논리(가상) 주소를 Segmentation을 거쳐 선형 주소로 변경
13848정성태12/18/20244829디버깅 기술: 209. Windbg로 알아보는 Prototype PTE파일 다운로드2
13847정성태12/18/20244856오류 유형: 939. golang - 빌드 시 "unknown directive: toolchain" 오류 빌드 시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면?
13846정성태12/17/20245063디버깅 기술: 208. Windbg로 알아보는 Trans/Soft PTE와 2가지 Page Fault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845정성태12/16/20244531디버깅 기술: 207. Windbg로 알아보는 PTE (_MMPTE)
13844정성태12/14/20245219디버깅 기술: 206. Windbg로 알아보는 PFN (_MMPFN)파일 다운로드1
13843정성태12/13/20244393오류 유형: 938. Docker container 내에서 빌드 시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 to "...". Access to the path '...' is denie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