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64bit 운영체제에 VMWare Server 설치 시 기존 웹 애플리케이션 모두 서비스 중지.



난리가 났습니다. 64bit Guest OS 설치와 2-way Virtual SMP 설정에 혹해서 VMWare Server ^^; 설치를 했더니만, 서버의 모든 IIS 웹 애플리케이션들이 전부 중단되었습니다. 모두 다, "Service Unavailable"이라는 글자만 웹 브라우저에 대문짝만하게 찍힙니다.

이벤트 로그의 "System" 카테고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벤트 오류 로그가 연달아 5번 찍힌 다음에는 서비스를 결국 중지해버린다고 나옵니다.(왜 5번인지는 아시죠? ^^)

Event Type:	Error
Event Source:	W3SVC
Event Category:	None
Event ID:	1039
Date:		7/14/2006
Time:		10:38:49 PM
User:		N/A
Computer:	THEONE
Description:
A process serving application pool 'App20' reported a failure. The process id was '2480'.  
The data field contains the error number.

For more information, 
see Help and Support Center at http://go.microsoft.com/fwlink/events.asp.

Application 메뉴 쪽이 좀 나은 오류를 전달합니다. 아래는 그 로그입니다.

Event Type:	Error
Event Source:	W3SVC-WP
Event Category:	None
Event ID:	2274
Date:		7/14/2006
Time:		10:38:49 PM
User:		N/A
Computer:	THEONE
Description:
ISAPI Filter 'D:\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aspnet_filter.dll' could not be loaded due to a configuration problem. 
The current configuration only supports loading images built for a x86 processor architecture. 
The data field contains the error number. 
To learn more about this issue, including how to troubleshooting this kind of processor architecture mismatch error, 
see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29349.

For more information, 
see Help and Support Center at http://go.microsoft.com/fwlink/events.asp.

오류 로그를 보니, 64bit .NET Framework이 어째서 x86 CPU 아키텍처로 맞춰져 있는지 이해가 안 됩니다. 멀쩡히 잘 되던 것인데, VMWare Server를 설치한 이후로 이 모양입니다.

작업 관리자에서 보니, 다음과 같은 VMWare 프로세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1: WOW64에서 활성화된 32bit VMWare 프로세스들]
WOW64에서 활성화된 32bit VMWare 프로세스들

세상에... ^^; 그러고 보니 VMWare는 순수 32bit S/W였던 것입니다. Wow64에서 활성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대체... VMWare나 Microsoft나 어찌 그리 딱 입맛에 맞는 제품을 내놓지 않는지...

VMWare : 32bit 프로세스이면서 쌩뚱맞게 64bit Guest 환경을 지원하고 가상 2-way SMP를 지원.
Microsoft : VM 환경을 호스트하는 프로세스 자체는 32/64 bit를 지원하면서, Guest 환경은 여전히 32bit만 지원.

참... 힘들군요. ^^;

암튼, IIS 관리자에 가보니, "VMWare Management Interface 1.0.0" 웹 사이트가 새로 생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국 정리해 보면, "Service Unavailable" 장애가 발생한 것은 32bit 환경의 VMWare 웹 사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IIS 전체 웹 사이트의 설정을 Wow64로 바꿔버린 것이었습니다.

정말 기가 차는 VMWare Server의 설치 프로그램이군요. 자기 혼자 살아남을려고 다른 웹 사이트를 모두 죽이다니.
아래의 화면은, VMWare Server 설치 이후, IIS Metabase Explorer로 확인한 최상위 AppPool의 "Enable32BitAppOnWin64" 플래그 설정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림 2: WOW64 설정이 되어 있는 최상위 AppPool 설정]
WOW64 설정이 되어 있는 최상위 AppPool 설정

진짜... ^^; 기가 막혀서 순간 입이 딱 벌어지더군요.

Enable32BitAppOnWin64 설정값을 다시 원래대로 "0"으로 해놓고 나서야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운영이 되었습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9-05-13 11시13분
[짱~~] 저기 질문이 있습니다.
windows7(64bit)에서 vmware server2.0을 설치했는데 관리하기위한 톰캣서버 서비스가 실행되지 않는군요
어떻게 해야 가능할 까요? 혹시 방법이 있나요 ?
[guest]
2009-05-13 11시23분
아쉽게도 ^^ 위의 글을 쓴 이후로는 더 이상 VMWare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kevin25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16정성태1/7/20249726닷넷: 2196.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의 부작용
13515정성태1/6/20249672닷넷: 2195. async 메서드 내에서 C# 7의 discard 구문 활용 사례 [1]
13514정성태1/5/20249544개발 환경 구성: 702.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
13513정성태1/5/20249669닷넷: 2194. C# - WebActivatorEx / System.Web의 PreApplicationStartMethod 특성
13512정성태1/4/20249959개발 환경 구성: 701. IIS - w3wp.exe 프로세스의 ASP.NET 런타임을 항상 Warmup 모드로 유지하는 preload Enabled 설정
13511정성태1/4/20249674닷넷: 2193. C# - ASP.NET Web Application + OpenAPI(Swashbuckle) 스펙 제공
13510정성태1/3/20249419닷넷: 2192. C# - 특정 실행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Linux)
13509정성태1/3/202410593오류 유형: 887. .NET Core 2 이하의 프로젝트에서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Unsafe doesn't support netcoreapp2.0.
13508정성태1/3/202410058오류 유형: 886. ORA-28000: the account is locked
13507정성태1/2/202411157닷넷: 2191. C# - IPGlobalProperties를 이용해 netstat처럼 사용 중인 Socket 목록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06정성태12/29/202310305닷넷: 2190. C# - 닷넷 코어/5+에서 달라지는 System.Text.Encoding 지원
13505정성태12/27/202312137닷넷: 2189. C# -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닷넷으로 구현하는 예제 (System.Net.WebSockets)파일 다운로드1
13504정성태12/27/202311270닷넷: 2188. C# - ASP.NET Core SignalR로 구현하는 채팅 서비스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3정성태12/27/202310433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13502정성태12/26/202310970닷넷: 2187. C# - 다른 프로세스의 환경변수 읽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1정성태12/25/202310314개발 환경 구성: 700.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13500정성태12/24/202310814디버깅 기술: 194.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13498정성태12/23/202312481닷넷: 2186.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의 C# 래퍼 버전 - eFriendOpenAPI NuGet 패키지
13497정성태12/22/202310664오류 유형: 885. Visual Studiio - error : Could not connect to the remote system. Please verify your connection settings, and that your machine is on the network and reachable.
13496정성태12/21/202310577Linux: 66.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gdb)
13495정성태12/20/202310824Linux: 65. clang++로 공유 라이브러리의 -static 옵션 빌드가 가능할까요?
13494정성태12/20/202310911Linux: 64.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두 번째 이야기
13493정성태12/19/202311027닷넷: 2185. C# - object를 QueryStr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
13492정성태12/19/202310410개발 환경 구성: 699. WSL에 nopCommerce 예제 구성
13491정성태12/19/20239405Linux: 63. 리눅스 - 다중 그룹 또는 사용자를 리소스에 권한 부여
13490정성태12/19/202310136개발 환경 구성: 698. Golang - GLIBC 의존을 없애는 정적 빌드 방법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