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64bit 운영체제에 VMWare Server 설치 시 기존 웹 애플리케이션 모두 서비스 중지.



난리가 났습니다. 64bit Guest OS 설치와 2-way Virtual SMP 설정에 혹해서 VMWare Server ^^; 설치를 했더니만, 서버의 모든 IIS 웹 애플리케이션들이 전부 중단되었습니다. 모두 다, "Service Unavailable"이라는 글자만 웹 브라우저에 대문짝만하게 찍힙니다.

이벤트 로그의 "System" 카테고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벤트 오류 로그가 연달아 5번 찍힌 다음에는 서비스를 결국 중지해버린다고 나옵니다.(왜 5번인지는 아시죠? ^^)

Event Type:	Error
Event Source:	W3SVC
Event Category:	None
Event ID:	1039
Date:		7/14/2006
Time:		10:38:49 PM
User:		N/A
Computer:	THEONE
Description:
A process serving application pool 'App20' reported a failure. The process id was '2480'.  
The data field contains the error number.

For more information, 
see Help and Support Center at http://go.microsoft.com/fwlink/events.asp.

Application 메뉴 쪽이 좀 나은 오류를 전달합니다. 아래는 그 로그입니다.

Event Type:	Error
Event Source:	W3SVC-WP
Event Category:	None
Event ID:	2274
Date:		7/14/2006
Time:		10:38:49 PM
User:		N/A
Computer:	THEONE
Description:
ISAPI Filter 'D:\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aspnet_filter.dll' could not be loaded due to a configuration problem. 
The current configuration only supports loading images built for a x86 processor architecture. 
The data field contains the error number. 
To learn more about this issue, including how to troubleshooting this kind of processor architecture mismatch error, 
see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29349.

For more information, 
see Help and Support Center at http://go.microsoft.com/fwlink/events.asp.

오류 로그를 보니, 64bit .NET Framework이 어째서 x86 CPU 아키텍처로 맞춰져 있는지 이해가 안 됩니다. 멀쩡히 잘 되던 것인데, VMWare Server를 설치한 이후로 이 모양입니다.

작업 관리자에서 보니, 다음과 같은 VMWare 프로세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1: WOW64에서 활성화된 32bit VMWare 프로세스들]
WOW64에서 활성화된 32bit VMWare 프로세스들

세상에... ^^; 그러고 보니 VMWare는 순수 32bit S/W였던 것입니다. Wow64에서 활성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대체... VMWare나 Microsoft나 어찌 그리 딱 입맛에 맞는 제품을 내놓지 않는지...

VMWare : 32bit 프로세스이면서 쌩뚱맞게 64bit Guest 환경을 지원하고 가상 2-way SMP를 지원.
Microsoft : VM 환경을 호스트하는 프로세스 자체는 32/64 bit를 지원하면서, Guest 환경은 여전히 32bit만 지원.

참... 힘들군요. ^^;

암튼, IIS 관리자에 가보니, "VMWare Management Interface 1.0.0" 웹 사이트가 새로 생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국 정리해 보면, "Service Unavailable" 장애가 발생한 것은 32bit 환경의 VMWare 웹 사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IIS 전체 웹 사이트의 설정을 Wow64로 바꿔버린 것이었습니다.

정말 기가 차는 VMWare Server의 설치 프로그램이군요. 자기 혼자 살아남을려고 다른 웹 사이트를 모두 죽이다니.
아래의 화면은, VMWare Server 설치 이후, IIS Metabase Explorer로 확인한 최상위 AppPool의 "Enable32BitAppOnWin64" 플래그 설정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림 2: WOW64 설정이 되어 있는 최상위 AppPool 설정]
WOW64 설정이 되어 있는 최상위 AppPool 설정

진짜... ^^; 기가 막혀서 순간 입이 딱 벌어지더군요.

Enable32BitAppOnWin64 설정값을 다시 원래대로 "0"으로 해놓고 나서야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운영이 되었습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9-05-13 11시13분
[짱~~] 저기 질문이 있습니다.
windows7(64bit)에서 vmware server2.0을 설치했는데 관리하기위한 톰캣서버 서비스가 실행되지 않는군요
어떻게 해야 가능할 까요? 혹시 방법이 있나요 ?
[guest]
2009-05-13 11시23분
아쉽게도 ^^ 위의 글을 쓴 이후로는 더 이상 VMWare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kevin25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60정성태8/19/201818675사물인터넷: 33. 세라믹 커패시터의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1659정성태8/19/201818669사물인터넷: 32.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PN2222A 트랜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1658정성태8/18/201822069사물인터넷: 31. 커패시터와 RC 회로파일 다운로드3
11657정성태8/18/201820128사물인터넷: 30. 릴레이(Relay) 제어파일 다운로드3
11656정성태8/16/201815823사물인터넷: 29.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한 LED파일 다운로드1
11655정성태8/16/201818034사물인터넷: 28. 저항과 병렬로 연결한 LED파일 다운로드1
11654정성태8/15/201819339사물인터넷: 27. 병렬 회로의 저항, 전압 및 전류파일 다운로드1
11653정성태8/14/201820182사물인터넷: 26. 입력 전압에 따른 LED의 전압/저항 변화 [1]파일 다운로드1
11652정성태8/14/201817637사물인터넷: 25. 컬렉터 9V, 베이스에 5V와 3.3V 전압으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1651정성태8/14/201822697사물인터넷: 24.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 [1]파일 다운로드3
11650정성태8/14/201817127사물인터넷: 23. 가변저항으로 분압파일 다운로드1
11649정성태8/12/201819474사물인터넷: 22. 저항에 따른 전류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48정성태8/12/201820894사물인터넷: 21. 퓨즈를 이용한 회로 보호파일 다운로드3
11647정성태8/8/201821017오류 유형: 476. 음수의 음수는 여전히 음수가 되는 수(절대값이 음수인 수)
11646정성태8/8/201817031오류 유형: 475. gacutil.exe 실행 시 "Failure initializing gacutil" 오류 발생
11645정성태8/8/201819282오류 유형: 474. 닷넷 COM+ - Failed to load the runtime. [1]
11644정성태8/6/201822150디버깅 기술: 118. windbg - 닷넷 개발자를 위한 MEX Debugging Extension 소개
11643정성태8/6/201821844사물인터넷: 20. 아두이노 레오나르도 R3 호환 보드의 3.3v 핀의 LED 전압/전류 테스트 [1]파일 다운로드1
11642정성태8/3/201820545Graphics: 20. Unity - LightMode의 ForwardBase에 따른 _WorldSpaceLightPos0 값 변화
11641정성태8/3/201826065Graphics: 19.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0) - 빌보드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1640정성태8/3/201822315Graphics: 18.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Position, Rotation, Scale 값을 복원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9정성태8/2/201819867디버깅 기술: 117.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을 참조하는 방법
11638정성태8/2/201818253오류 유형: 47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 참조 시 "Resolved file has a bad image, no metadata, or is otherwise inaccessible." 빌드 오류
11637정성태8/1/201822709Graphics: 17.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TRS(이동/회전/크기) 행렬로 복원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6정성태8/1/201830075Graphics: 16. 3D 공간에서 두 점이 이루는 각도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11635정성태8/1/201818762오류 유형: 472. C# 컴파일 오류 - Your project is not referencing the ".NETFramework,Version=v3.5" framework.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