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5. VMWare - VM 생성 화면 캡쳐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93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MWare Server 가 어떤 환경의 VM 를 지원하는지, 아래의 화면에서 실제로 제가 생성했던 것을 보시면 한눈에 알아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Virtual Server 를 해당 서버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PC 에서도 Virtual Server 웹 사이트를 방문해서 모든 VM 제어/생성을 할 수 있는 데요.
VMWare 같은 경우에는 독립 실행형 Application 인 VMWare Console 까지 같이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아래의 화면은 VMWare Server 가 설치된 다른 서버를 제 노트북 컴퓨터에 설치된 VMWare Console 로 연결한 화면입니다.
주의할 것은, 이때 방화벽 설정에서 902 포트는 열어주어야만 정상적으로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1. 서버에 접속을 하면 다음과 같은 VMWare 콘솔 화면이 최초로 나타나게 됩니다. 왼쪽 패널의 "Inventory" 에는 설치된 VM 목록이 나오게 되는데, 아직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비어 있습니다. 이제, 새로운 VM 을 하나 설치하는데요. 오른쪽 패널의 "New Virtual Machine" 을 선택해 주면 됩니다.

VMWare 콘솔 화면

2. 그럼, 아래와 같이 마법사 화면이 시작됩니다.

VM 마법사 단계 1

3. 다음 화면에서, 어떠한 옵션들이 있는지 자세히 보기 위해서 저는 "Custom" 을 선택했습니다.

VM 마법사 단계 2

4. 어떤 OS 를 설치할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미지에는 잘렸지만, Vista 32bit/64bit 도 포함되어져 있습니다. 아쉽게도 Longhorn Server 는 포함되어져 있지 않지만, 대충 Vista 옵션으로 때워도 될 것 같습니다. ^^

VM 마법사 단계 3

5. VM 관련 파일들이 설치될 경로와 이름을 묻습니다. Virtual Server 에서의 설정과 별반 다른 것이 없습니다.

VM 마법사 단계 4

6. 어차피, 저만 사용할 것이므로. 보안을 위해서 체크했습니다.

VM 마법사 단계 5

7. 아쉽게도, Virtual Server 에서 볼 수 있었던 "Save State"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특이한 것은, Virtual Server 의 경우, 이와 같은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계정을 입력해야 했었는데, VMWare 는 Local System 계정까지도 제공을 해주는 군요. - 설치 이후, VM Settings 에 보니 "Snapshot" 기능이 있는데, 그것이 "Save State" 기능과 유사한 것 같습니다.

VM 마법사 단계 6

8. 기능 설명에 나와 있던 데로, Virtual SMP 지원 옵션이 제공됩니다. 당연히 ^^; 2-way 를 선택했습니다.

VM 마법사 단계 7

9. 메모리 설정입니다. Virtual Server 와 다른 면이 없어 보입니다.

VM 마법사 단계 8

10. 네트워크 설정입니다. 역시 Virtual Server 와 다른 면이 없어 보입니다.

VM 마법사 단계 9

11. Disk 설정 화면입니다. 이것도 Virtual Server 와 다른 것이 없습니다. 당연하겠지만, Microsoft 의 VPC 파일과 VMWare 의 vmdk 포맷은 다른 듯 합니다. 이 점이 가장 아쉽다고나 할까요. 마이그레이션 툴이라도 있으면 좋을 텐데. ^^ 이것 때문에 VMWare 사용에 대한 갈등이 생기게 됩니다. 어차피 MS 도 다음 버전의 Virtual Server 에서는 64bit 호스팅 환경 및 가상 SMP 를 지원할 수도 있을 텐데, 현재 그렇게 많이 만들어 놓은 VPC 이미지를 모두 버리고 VMWare 로 간다는 것은 다소 어려운 결정일 듯 싶습니다. 차라리 그 보다는, x64 2-way VM 하나만을 만들어 두고 테스트 서버로 두는 것이 더 낫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VM 마법사 단계 10

12. 오,,, SCSI 유형까지 지원하는 군요. 더군다나 SCSI 유형이 오히려 추천 항목이라고 합니다. 어차피 VM 이라 어느 정도의 성능일지는 모르지만. (200/07/23: Virtual Server 에도 SCSI 는 구현되어져 있었네요. ^^)

VM 마법사 단계 11

13. 디스크 용량 제한입니다. Virtual Server 보다 더 나은 옵션을 제공하는데요. 다름 아닌 디스크 용량 제한이 VPC 같은 경우에는 16GB 였는데, VMWare 는 호스트 측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용량이 허용하는 한도내에서 최대한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해주고 있습니다. 대신에, "Allocate all disk space now" 를 선택하면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초기화 작업을 하게 됩니다.

VM 마법사 단계 12

14. VMDK 파일 이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VM 마법사 단계 13

15. "Finish" 버튼을 누르고 나면 다음과 같이 디스크 초기화 작업과 함께 VM 이 최종적으로 생성됩니다. 그런데, 16GB 초기화 작업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군요. 디스크 I/O 도 장난이 아닌 듯 싶습니다. Host OS 가 거의 완전히 그 작업 때문에 중지되었다고도 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급한 작업이 있을 때는 VM 생성을 미루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VM 마법사 단계 14



VMWare 는, 64bit PC 가 없는 경우에도 64bit VM 환경을 구성해 주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관련해서 유일한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 솔루션이라고 보입니다.
일례로, 차기 Exchange 버전의 경우 명시적으로 64bit 환경에서만 구동될 수 있도록 해놓았기 때문에 그것을 테스트 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는 별도의 물리 64bit PC 를 구입해서 설치를 했어야 했는데요. 이젠 VMWare Server로 인해 한가지 선택 사항이 더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암튼, ^^ 아주 좋군요.
MS 도 어서 빨리 64bit Guest OS 를 지원하는 VPC 를 내놓기를 바랍니다.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3/200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36정성태2/6/202017327Windows: 168.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135정성태2/6/202022589개발 환경 구성: 468. Nuget 패키지의 로컬 보관 폴더를 옮기는 방법 [2]
12134정성태2/5/202021003.NET Framework: 884. eBEST XingAPI의 C# 래퍼 버전 - XingAPINet Nuget 패키지 [5]파일 다운로드1
12133정성태2/5/202018415디버깅 기술: 161.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 두 번째 이야기
12132정성태1/28/202021255.NET Framework: 883. C#으로 구현하는 Win32 API 후킹(예: Sleep 호출 가로채기) [1]파일 다운로드1
12131정성태1/27/202020241개발 환경 구성: 467. LocaleEmulator를 이용해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한글이 깨지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1]
12130정성태1/26/202017498VS.NET IDE: 142. Visual Studio에서 windbg의 "Open Executable..."처럼 EXE를 직접 열어 디버깅을 시작하는 방법
12129정성태1/26/202023652.NET Framework: 882. C# - 키움 Open API+ 사용 시 Registry 등록 없이 KHOpenAPI.ocx 사용하는 방법 [3]
12128정성태1/26/202017999오류 유형: 591. The code execution cannot proceed because mfc100.dll was not found. Reinstalling the program may fix this problem.
12127정성태1/25/202017140.NET Framework: 881. C# DLL에서 제공하는 Win32 export 함수의 내부 동작 방식(VT Fix up Table)파일 다운로드1
12126정성태1/25/202018565.NET Framework: 880. C# - PE 파일로부터 IMAGE_COR20_HEADER 및 VTableFixups 테이블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125정성태1/24/202016053VS.NET IDE: 141. IDE0019 - Use pattern matching
12124정성태1/23/202017824VS.NET IDE: 140. IDE1006 - Naming rule violation: These words must begin with upper case characters: ...
12123정성태1/23/202019530웹: 39. Google Analytics - gtag 함수를 이용해 페이지 URL 수정 및 별도의 이벤트 생성 방법 [2]
12122정성태1/20/202015656.NET Framework: 879. C/C++의 UNREFERENCED_PARAMETER 매크로를 C#에서 우회하는 방법(IDE0060 - Remove unused parameter '...')파일 다운로드1
12121정성태1/20/202016354VS.NET IDE: 139. Visual Studio - Error List: "Could not find schema information for the ..."파일 다운로드1
12120정성태1/19/202018757.NET Framework: 878.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네 번째 이야기(IL 코드로 직접 구현)파일 다운로드1
12119정성태1/17/202018973디버깅 기술: 160. Windbg 확장 DLL 만들기 (3) - C#으로 만드는 방법
12118정성태1/17/202019985개발 환경 구성: 466.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1]
12117정성태1/15/202018843디버깅 기술: 159. C# - 디버깅 중인 프로세스를 강제로 다른 디버거에서 연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16정성태1/15/202019502디버깅 기술: 158. Visual Studio로 디버깅 시 sos.dll 확장 명령어를 (비롯한 windbg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2115정성태1/14/202019753디버깅 기술: 157. C# - PEB.ProcessHeap을 이용해 디버깅 중인지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14정성태1/13/202021536디버깅 기술: 156. C# - PDB 파일로부터 심벌(Symbol) 및 타입(Type) 정보 열거 [1]파일 다운로드3
12113정성태1/12/202021585오류 유형: 590. Visual C++ 빌드 오류 - fatal error LNK1104: cannot open file 'atls.lib' [1]
12112정성태1/12/202016815오류 유형: 589. PowerShell - 원격 Invoke-Command 실행 시 "WinRM cannot complete the operation" 오류 발생
12111정성태1/12/202020597디버깅 기술: 155. C# - KernelMemoryIO 드라이버를 이용해 실행 프로그램을 숨기는 방법(DKOM: Direct Kernel Object Modification) [16]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