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이 기능을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참에 한번 소개를 드려 보겠습니다.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이 언제 필요한지에 대해서 말하면 이해가 더욱 빠를 것 같은데요. 예를 들어서, 클라이언트 / 서버 프로그램을 만드는 경우에 양쪽 모두 디버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기존에는, 클라이언트 측 모듈을 테스트하려면 서버 exe를 따로 실행시킨 다음에 기능을 테스트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해왔을 것입니다. 물론,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 측 코드를 동시에 디버깅 하는 것은 생각도 못했지요. ^^ 하지만, VS.NET 2003/2005에서는 그것이 가능해졌습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측 exe 모듈에 Break Point(이하, BP)를 설정하고, 그와 함께 서버 측 모듈에도 BP를 설정한 다음 "F5" 키를 누르면 2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모두 실행되어서 디버깅이 가능하게 됩니다. 방법은 ^^ 무지 간단합니다. Solution Explorer에서 해당 솔루션의 등록정보 창을 띄우고 다음과 같이 "Startup Project" 노드를 선택합니다. 보시는 것처럼, 우측의 "Multiple startup projects:"에서 현재 솔루션에 있는 프로젝트 목록중에서 "F5" 키를 통해 같이 실행되어져야 할 프로젝트의 "Action"을 "Start"로 바꿔줍니다. 이제부터는, 편하게 "F5" 디버깅으로 서버/클라이언트의 코드에서 동시에 디버깅을 하실 수 있습니다. ^^ 한 가지 더 감동적인 것은... ^^ "Attach to Process"로도 다중 EXE에 대해서 한꺼번에 디버거를 붙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이전 글] 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연관 글] 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NET Framework: 1019. Microsoft.Tye 기본 사용법 소개개발 환경 구성: 601.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최초 등록일: 8/20/2006] [최종 수정일: 6/22/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66정성태2/22/200725394Windows: 23. 롱혼 서버 코어 버전 [2]465정성태2/21/200724239오류 유형: 29. TFS 관련 스케줄 작업 실패464정성태2/25/200725588오류 유형: 28. TF10217, TF53010, TF14105 오류463정성태2/21/200718106Team Foundation Server: 15. 포탈 사이트의 보고서 주소를 도메인 명으로 적용462정성태2/13/200745951.NET Framework: 83. 라이브러리에 다국어 리소스 추가 방법 [4]1461정성태2/13/200723197오류 유형: 27. DLinq 예제 오류 : error: 26 - Error Locating Server/Instance Specified460정성태2/13/200723546.NET Framework: 82. Orcas 1월 CTP에서 Linq 소스 컴파일 방법459정성태2/17/200727793오류 유형: 26.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3]458정성태2/12/200724281.NET Framework: 81. LINQ 개발 환경 설정 [1]457정성태2/8/200728833.NET Framework: 80. LINQ 관련 용어 정리 및 리소스 소개 [2]456정성태2/6/200727076Windows: 22. 가상화에 대해서.455정성태2/4/200721761오류 유형: 25. 원격 데스크톱 환경에서의 Virtual Server 관리 환경 제어454정성태2/4/200719012오류 유형: 24. VPC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509손대성6/24/200721399 오류 유형: 24.1. [답변]: 오류 유형 : 23. VPC 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453정성태2/4/200727314개발 환경 구성: 21. 서버 측 SoapExtension을 클라이언트에 알리고 싶다452정성태1/31/200727348VC++: 31. 비스타에서 VS.NET 2005로 COM 프로젝트 빌드시 오류 [2]451정성태1/31/200726348Windows: 21. Preview Handler 소개450정성태1/30/200735005VS.NET IDE: 43. .NET에서의 필수 무결성 제어 조절하는 방법 - Manifest 파일 이용2449정성태2/4/200731419Windows: 20. UAC 이모저모 [2]448정성태1/28/200727337Windows: 19. 3가지 유형의 가젯 프로그램447정성태1/27/200724236Windows: 18. 비스타 도구 - 사양 정보 및 도구(Performance Information and Tools)446정성태1/27/200733295VC++: 30. 필수 무결성 제어를 조절하는 방법(2) - 직접 코딩1445정성태2/8/200732120VC++: 29. 필수 무결성 제어를 조절하는 방법(1) - Manifest 파일 이용2444정성태1/27/200725432VC++: 28. 비스타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VS.NET 2005 환경 설정443정성태1/26/200723732VC++: 27. COM 개체로 인해 IE 7 비스타 버전이 종료될 때 오류 화면이 뜬다면?1442정성태1/24/200726606.NET Framework: 79. 새로운 암호화 클래스 (ECDsaCng, ECDiffieHellmanCng) 소개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