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7개 있습니다.)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개인적으로 참 쓰고 싶었던 토픽인데,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이 쉽지 않은 주제여서 그동안 꽤나 망설였던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래도, 틈틈이 시간나는 데로 한번 써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시작합니다. ^^ 목차는 대강 다음과 같습니다. 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1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2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4. 사용자 인증서 발급 5.1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5.2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5.3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6.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7.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8.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9. https를 이용하여 Single-Sign 시스템 구축 10 ~ [x]. 미정 [부록 1] 인증서 오류 체크 목록 [부록 2] IIS 7에서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 사용시 주의점 [부록 3] Vista와 웹 인증 등록 서비스의 문제 [부록 4] AD CA에서 Code Signing 인증서 유형 추가 방법 [부록 5] CA 서비스 - 사용자 정의 템플릿 유형 추가 참고 자료: [Microsoft 관련 자료] How IT Works - Certificate Services ; http://www.microsoft.com/technet/technetmag/issues/2006/08/HowITWorks/ The .NET Developer's Guide to Identity ;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server-2003/aa480245(v=msdn.10) "PDB 이야기"도 아직 미처 끝내지 못했는데, 인증서 서비스에 대한 이야기를 또 쓰게 되는군요. ^^ [다음 글] 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이전 글]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연관 글] .NET Framework: 75.1. 개인 발행 카드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개발 환경 구성: 27. AD CA에서 Code Signing 인증서 유형 추가 방법개발 환경 구성: 28. CA 서비스 - 사용자 정의 템플릿 유형 추가개발 환경 구성: 74. 인증서 관련(CER, PVK, SPC, PFX) 파일 만드는 방법.NET Framework: 178. WCF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예제c# 으로 작성된 com+ 에 대한 문제입니다. [최초 등록일: 12/31/2006] [최종 수정일: 7/9/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7-06-19 06시11분 [귀뫄뉘] 큰도움이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 [guest] 2007-06-19 08시05분 ^^ kevin25 2008-02-26 05시33분 FAQ: How do I configure a certificate to use multiple subject names? ; (broken) http://blogs.msdn.com/ameltzer/archive/2008/02/26/faq-how-do-i-configure-a-certificate-to-use-multiple-subject-names.aspx kevin25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53정성태2/4/200724840개발 환경 구성: 21. 서버 측 SoapExtension을 클라이언트에 알리고 싶다452정성태1/31/200724548VC++: 31. 비스타에서 VS.NET 2005로 COM 프로젝트 빌드시 오류 [2]451정성태1/31/200723666Windows: 21. Preview Handler 소개450정성태1/30/200731981VS.NET IDE: 43. .NET에서의 필수 무결성 제어 조절하는 방법 - Manifest 파일 이용2449정성태2/4/200728813Windows: 20. UAC 이모저모 [2]448정성태1/28/200724464Windows: 19. 3가지 유형의 가젯 프로그램447정성태1/27/200721672Windows: 18. 비스타 도구 - 사양 정보 및 도구(Performance Information and Tools)446정성태1/27/200730564VC++: 30. 필수 무결성 제어를 조절하는 방법(2) - 직접 코딩1445정성태2/8/200729158VC++: 29. 필수 무결성 제어를 조절하는 방법(1) - Manifest 파일 이용2444정성태1/27/200722607VC++: 28. 비스타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VS.NET 2005 환경 설정443정성태1/26/200721107VC++: 27. COM 개체로 인해 IE 7 비스타 버전이 종료될 때 오류 화면이 뜬다면?1442정성태1/24/200724073.NET Framework: 79. 새로운 암호화 클래스 (ECDsaCng, ECDiffieHellmanCng) 소개 [1]441정성태1/23/200728777Windows: 17. 보안 데스크톱에서 활성화되지 않은 UAC 창이 안전할까?440정성태1/24/200722910.NET Framework: 78. C# 3.0 - Anonymous types [1]439정성태1/25/200723912.NET Framework: 77. C# 3.0 - Lambda 표현식 [1]438정성태1/24/200723424.NET Framework: 76. C# 3.0 - 확장 함수437정성태1/23/200730858Windows: 16. 개발자를 위한 UAC 환경 설정 [3]436정성태1/17/200720028VS.NET IDE: 42. Orcas 2007년 1월 CTP 버전 설치 [5]435정성태1/14/200719692기타: 17. 베타 제품과 최종 제품은 다르다 [2]434정성태2/4/200723254Windows: 15. MIC 환경 구성 - Windows XP와 유사한 보안 설정 [4]433정성태1/12/200732800Windows: 14. 보호 모드와 필수 무결성 제어(MIC: Mandatory Integrity Control) [3]1432정성태1/10/200723902Windows: 13. InitOnceExecuteOnce API 소개 [5]431정성태1/8/200721506Windows: 12. 비스타는 안전한 윈도우인가? [2]430정성태1/7/200727401웹: 6. IIS 7 마이그레이션 정리 - Sysnet427정성태12/30/200618111Team Foundation Server: 14. VS.NET IDE에 통합된 TFS Annotate [1]425정성태12/29/200622058Windows: 11. Vista IIS 7(Integrated mode)에서의 ASP.NET F5 디버깅 방법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