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개인적으로 참 쓰고 싶었던 토픽인데,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이 쉽지 않은 주제여서 그동안 꽤나 망설였던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래도, 틈틈이 시간나는 데로 한번 써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시작합니다. ^^ 목차는 대강 다음과 같습니다. 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1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2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4. 사용자 인증서 발급 5.1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5.2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5.3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6.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7.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8.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9. https를 이용하여 Single-Sign 시스템 구축 10 ~ [x]. 미정 [부록 1] 인증서 오류 체크 목록 [부록 2] IIS 7에서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 사용시 주의점 [부록 3] Vista와 웹 인증 등록 서비스의 문제 [부록 4] AD CA에서 Code Signing 인증서 유형 추가 방법 [부록 5] CA 서비스 - 사용자 정의 템플릿 유형 추가 참고 자료: [Microsoft 관련 자료] How IT Works - Certificate Services ; http://www.microsoft.com/technet/technetmag/issues/2006/08/HowITWorks/ The .NET Developer's Guide to Identity ;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server-2003/aa480245(v=msdn.10) "PDB 이야기"도 아직 미처 끝내지 못했는데, 인증서 서비스에 대한 이야기를 또 쓰게 되는군요. ^^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6개 있습니다.) 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인증서를 활용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인증서 서비스가 있어야 합니다. 당연하겠지요. ^^ 여러 가지 인증서 서비스가 있을 수 있겠지만, 여기서는 Windows 2003 운영체제에 무료로 설치할 수 있는 "Certification Authority" 서비스를 가지고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이후의 모든 이야기들은 지금 설치하는 인증서 서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해 나갈 것입니다. 전체적으로 이야기 진행을 위해서는 Windows 2003 서버가 2대, 클라이언트 운영체제 1대가 필요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Windows 2003 서버 2대는 Virtual Server에 테스트 운영체제로 설치한 것이고, 클라이언트 운영체제는 제 노트북 컴퓨터로 지정할 것입니다. 그렇긴 해도, 일단 이번 주제를 소화하기 위해서는 Windows 2003 서버 1대만 필요합니다. 자, 그럼 ^^ 인증서 서비스를 설치해 볼까요 1.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를 실행합니다. 2. 다음 그림과 같이 "Windows 구성 요소 추가/제거" 에서 "인증서 서비스"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3. CA 종류를 선택합니다. 처음 하나는 반드시 "독립 실행형 루트 CA"를 선택해야 합니다. "독립 실행형 하위 CA"는 나중에 한 번 더 다룰 기회가 있습니다. (Active Directory에 참여된 컴퓨터라면 "엔터프라이즈 루트/하위 CA" 유형도 선택 가능하게 됩니다.) 4. "CA의 공통 이름"을 입력합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실제 서비스는 DNS를 사용해서 이뤄질 것이므로, 여기서도 비슷하게 CA 이름을 DNS 규격으로 입력합니다. 물론, DNS처럼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5. 기본 설정값 또는 여러분의 취향대로 설정합니다. "다음" 버튼을 누르면 이제 컴퓨터에 "인증서 서비스"를 설치합니다. 이 과정에서 "Windows 2003" 설치 CD가 필요합니다. 위와 같이 하시면, 여러분들은 이제 여러분들만의 "인증서 서비스"를 소유하게 되신 것입니다. ... 축하드립니다.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이전 글]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연관 글]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NET Framework: 75.2. "Windows CardSpace"와 "인증서 서비스"의 만남(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NET Framework: 74.8. WCF에 SSL 적용 (1) - Httpcfg.exe 도구를 이용한 SSL 설정.NET Framework: 75.8. 인증서/스마트 카드에 기반한 Managed Card - STS 구현(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최초 등록일: 10/23/2006] [최종 수정일: 6/25/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85정성태9/6/201818541사물인터넷: 40. 이어폰 소리를 capacitor로 필터링111684정성태9/6/201821151개발 환경 구성: 396. pagefile.sys를 비활성화시켰는데도 working set 메모리가 줄어드는 이유111683정성태9/5/201818785개발 환경 구성: 395.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11682정성태9/5/201817759오류 유형: 484. Fakes를 포함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빌드 시 CS1729 관련 오류 발생11681정성태9/5/201820445Windows: 149. 다른 컴퓨터의 윈도우 이벤트 로그를 구독하는 방법 [2]11680정성태9/2/201822638Graphics: 21. shader - _Time 내장 변수를 이용한 UV 변동 효과111679정성태8/30/201820631.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1]111678정성태8/29/201819075오류 유형: 483. 닷넷 -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1]11677정성태8/29/201816784오류 유형: 482. TFS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packages\Microsoft.AspNet.WebApi.5.2.5\.signature.p7s'.11676정성태8/29/201827628.NET Framework: 791. C# - ElasticSearch를 위한 Client 라이브러리 제작 [1]111675정성태8/29/201817807오류 유형: 481. The located assembly's manifest definition does not match the assembly reference.11674정성태8/29/201819775Phone: 12. Xamarin - 기존 리모컨 기능을 핸드폰의 적외선 송신으로 구현111673정성태8/28/201817071오류 유형: 480. Fritzing 실행 시 Ordinal Not Found 오류11672정성태8/28/201817492오류 유형: 479. 윈도우 - 시스템 설정에서 도메인 참가를 위한 "Change" 버튼이 비활성화된 경우11671정성태8/28/201823858사물인터넷: 39.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송신기 기본 사용법111670정성태8/28/201822091사물인터넷: 38.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수신기 기본 사용법 [1]111669정성태8/24/201820889개발 환경 구성: 394.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블로그 검색 인덱스 구성11668정성태8/24/201831931오류 유형: 478. 윈도우 업데이트(KB4458842) 이후 SQL Server 서비스 시작 오류11667정성태8/24/201818683오류 유형: 477.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옵션 설정 시 SQL Server 2016 설치 오류 [1]11666정성태8/22/201818574사물인터넷: 37. 아두이노 - 코딩으로 대신하는 오실레이터 회로의 소리 출력111665정성태8/22/201821271사물인터넷: 36. 오실레이터 회로 동작을 아두이노의 코딩으로 구현하는 방법111664정성태8/22/201820912개발 환경 구성: 393.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설치 [1]11663정성태8/22/201823653개발 환경 구성: 392. 윈도우 환경에서 curl.exe를 이용한 elasticsearch 6.x 기본 사용법11662정성태8/21/201817281사물인터넷: 35. 병렬 회로에서의 커패시터111661정성태8/21/201819570사물인터넷: 34. 트랜지스터 동작 - 컬렉터-이미터 간의 저항 측정111660정성태8/19/201818663사물인터넷: 33. 세라믹 커패시터의 동작 방식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