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33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마침, COM 관련한 자료를 보고 나니 생각이 나는군요.

이번 토픽은 "문제"와 함께 풀어나가는 식으로 구성을 해보겠습니다.(음... 이런 식으로 토픽 쓰는 시간을 벌 수도 있군요. ^^;)
참고로, 이 문제를 푸실 수 있는 자격은, 저에게 최초로 ^^ "ATL 강의"를 들었던 "L" 업체분들을 제외하고 모두 가능합니다.

제 사이트에 오시는 분들이 대부분 .NET만을 하시는 분들임을 감안하면, 거의 답변이 안 달릴 것 같은데... ^^;



[Q1] COM의 Apartment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STA, MTA가 대표적인 예이지요.
그럼, 다음과 같은 STA에서 생성된 STA COM 개체를 전역 변수에 보관했다가 다른 STA 스레드에서 호출하면 어떨까요? 이 코드는 "예외 없이" 동작할까요?

환경:	SimpleObject COM 개체 - STA
		Console Application

ISimpleObjectPtr g_ptr;

int _tmain(int , char** )
{
	// STA 스레드에서 STA COM 개체를 생성
	CoInitializeEx( NULL, COINIT_APARTMENTTHREADED );
	{
		g_ptr = ISimpleObjectPtr( __uuidof( SimpleObject ) );
		g_ptr->MyMethod();
		
		DWORD dwAnotherThreadID;
		HANDLE hHandle = ::CreateThread( NULL, 0, AnotherThread, 0, 0, &dwAnotherThreadID );
		CloseHandle( hHandle );		
	}
	
	getchar();
	g_ptr = 0;
	CoUninitialize();
}

DWORD WINAPI AnotherThread( LPVOID lpParameter )
{
	// STA 스레드에서 전역 변수로 존재하는 STA COM 개체를 직접 호출
	CoInitializeEx( NULL, COINIT_APARTMENTTHREADED );
	g_ptr->MyMethod();
	CoUninitialize();

	return 0;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6-10-10 11시33분
저도 문제에 도전해보고 싶은데, C++ 을 거의 몰라서... ^_^;;; 혹시 Thread Local Storage (TLS) 관련 문제인가요?
songgun
2006-10-10 11시58분
흔히들, "STA 개체는 스레드 간에 호출하려면 인터페이스 포인터를 마샬링해서 전달해야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바로 이 문구가 정확한지 않은지 곱씹어 보는 의미에서 질문을 드리는 것입니다. ^^
kevin25
2006-10-12 09시49분
[텨텨텨] 예외란게 Exception을 말씀하시는 것인지 "항상" 이란 뜻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위 코드 조각만 봐서는 일단 '호출'을 하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죠.
다만 다중 쓰레드의 동기화 관점에서 보면 오류 가능성을 가지고 있겠지요?
STA의 sematics 상 MyMethod()는 단일 쓰레드에 의해 호출된다고 스스로 가정할 수 있지만
위 코드는 동시에 두 쓰레드가 MyMethod() 호출이 가능한 상황이 연출 됩니다.
(마샬링 된 인터페이스 포인터를 전역 변수에 기록해 두어야만 오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거 너무 어려운 토픽을 잡으신듯....
저도 몇번 STA, MTA 토픽에 덤비려다 설명할게 너무 많아 포기했었다는...
(누구게? -_-;)
텨~텨~텨~~~
[guest]
2006-10-13 08시00분
유수석님... ^^ 예. 맞습니다. 제가 원하던 답이었습니다.
왜 이런 문제를 냈냐면요... ^^; "STA 개체는 스레드 간에 마샬링이 필요하다"라는 책의 내용만을 읽어온 분들이 "호출"조차도 안 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직접 확인해 보시라고 내본 것입니다. 역시나 말씀하신 것처럼 동기화에 문제가 발생하지만요... ^^

솔직히 저도 사실 아직도 STA/MTA에 대한 메카니즘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 해서 완벽하게 쓸 예정은 아닙니다. 단지 내부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실용적인" 수준으로만 써보려고 합니다. ^^
kevin25
2006-10-13 08시24분
문제랑은 전현 상관없지만... ^_^;;;

'텨텨텨' 라는 아이디 보고 유경상님이라는 감이 바로 왔습니다.
아마 유경상님 블로그에 자주 가는 사람들은 말투만 보고서도 바로 눈치 채실듯...
songgun
2006-10-13 09시16분
[유경상] 단박에 알아내시다니... 너무 티를 냈나 보군요... -_-;
너무 버릇없이 글을 쓰지 않았나 걱정도 되고...
(실명을 밝히지 않고 장난한 거 죄송합니다... 너그러이 용서 해주세요... ^^)
[guest]
2006-10-13 10시11분
에이... ^^ 유수석님이라면 언제든지, 어떤 식으로든지 환영이옵니다.
kevin25
2015-10-21 12시38분
What is COM marshaling and how do I use it?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151020-00/?p=91321

What are the rules for CoMarshalInterThreadInterfaceInStream and CoGetInterfaceAndReleaseStream?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151021-00/?p=91311

What are the rules for CoMarshalInterface and CoUnmarshalInterface?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151022-00/?p=91301

CoGetInterfaceAndReleaseStream does not mix with smart pointer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151023-00/?p=91291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90정성태1/15/202116791.NET Framework: 1007. C# - foreach에서 열거 변수의 타입을 var로 쓰면 object로 추론하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12489정성태1/13/202118865.NET Framework: 1006. C# - DB에 저장한 텍스트의 (이모티콘을 비롯해) 유니코드 문자가 '?'로 보인다면? [1]
12488정성태1/13/202118168.NET Framework: 1005. C# - string 타입은 shallow copy일까요? deep copy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2487정성태1/13/202116593.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86정성태1/12/202118311.NET Framework: 1003. x64 환경에서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1]
12485정성태1/11/202118487Graphics: 38. C# - OpenCvSharp.VideoWriter에 BMP 파일을 1초씩 출력하는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2484정성태1/9/202120083.NET Framework: 1002. C# - ReadOnlySequence<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83정성태1/8/202116289개발 환경 구성: 521. dotPeek - 훌륭한 역어셈블 소스 코드 생성 도구
12482정성태1/8/202118053.NET Framework: 1001. C# - 제네릭 타입/메서드에서 사용 시 경우에 따라 CS8377 컴파일 에러
12481정성태1/7/202118132.NET Framework: 1000. C# - CS8344 컴파일 에러: ref struct 타입의 사용 제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2480정성태1/6/202120880.NET Framework: 999. C# - ArrayPool<T>와 Memor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9정성태1/6/202118059.NET Framework: 998. C# - OWIN 예제 프로젝트 만들기
12478정성태1/5/202120765.NET Framework: 997. C# - Arra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7정성태1/5/202121842기타: 79. github 코드 검색 방법 [1]
12476정성태1/5/202118225.NET Framework: 996. C# - 닷넷 코어에서 다른 스레드의 callstack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75정성태1/5/202121982.NET Framework: 995. C# - Span<T>와 Memory<T> [1]파일 다운로드1
12474정성태1/4/202118724.NET Framework: 994. C# - (.NET Core 2.2부터 가능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CLR ETW 이벤트 수신 [1]파일 다운로드1
12473정성태1/4/202117314.NET Framework: 993. .NET 런타임에 따라 달라지는 정적 필드의 초기화 유무 [1]파일 다운로드1
12472정성태1/3/202117309디버깅 기술: 178. windbg - 디버그 시작 시 스크립트 실행
12471정성태1/1/202118077.NET Framework: 992. C# - .NET Core 3.0 이상부터 제공하는 runtimeOptions의 rollForward 옵션 [1]
12470정성태12/30/202018201.NET Framework: 991. .NET 5 응용 프로그램에서 WinRT API 호출 [1]파일 다운로드1
12469정성태12/30/202022697.NET Framework: 990. C# - SendInput Win32 API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마우스 [1]파일 다운로드1
12468정성태12/30/202019074Windows: 186. CMD Shell의 "Defaults"와 "Properties"에서 폰트 정보가 다른 문제 [1]
12467정성태12/29/202019055.NET Framework: 989. HttpContextAccessor를 통해 이해하는 AsyncLocal<T> [1]파일 다운로드1
12466정성태12/29/202016654.NET Framework: 988. C# - 지연 실행이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singleton 패턴에서 DCLP보다는 static 초기화를 권장 [1]파일 다운로드1
12465정성태12/29/202020314.NET Framework: 987. .NET Profiler - FunctionID와 연관된 ClassID를 구할 수 없는 문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