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4. VS.NET 빌드 오류 -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87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웹 사이트 빌드 시,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 오류 발생

오류 환경:
  • 웹 사이트 유형의 프로젝트를 빌드
  • Visual SourceSafe 또는 TFS Version Control 을 사용


개인적으로, FxCop 을 이용한 "Code Analysis" 기능을 가능한 켜놓고 사용을 하는데요. 소스 컨트롤 하에서의 웹 사이트 모델에서는 이 부분이 문제가 되어집니다.

웹 사이트 모델의 특성상, 해당 웹 사이트 폴더 이하의 모든 파일 및 폴더는 프로젝트에 포함되게 됩니다. 그래서 포함시킬 필요가 없는 것조차도 자동으로 포함시켜 버리는 바람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Code Analysis 기능을 사용할 때가 바로 그런 상황입니다.

실제로 빌드를 해보시면, 해당 웹 사이트 폴더 하위에 GUID 값 유형의 폴더가 하나 생기게 되고, 그 폴더에 Code Analysis 를 한 결과물인 "CodeAnalysisLog.xml", "WebProject.lastcodeanalysissucceeded" 파일이 생성됩니다. 일례로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처럼.

Code Analysis 후에 새로 추가된 폴더

소스 제어 하에 있게 되면, 위에 생성된 "{777FFD55-E4E1-4272-A6D8-02A9413893A9}" 폴더와 그 하위에 있는 내용들은 소스 제어에 포함되게 되고 read-only 로 되어 check-in 상태로 됩니다. 그렇다면, 다음번에 빌드할 때는 어떻게 될까요? 그렇습니다. read-only 파일이기 때문에 빌드 중에 업데이트 할 수가 없어서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당 파일에 대해서 "Exclude from project" 조치를 취해 주시면 됩니다.

프로젝트에서 제외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8/200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33정성태11/29/20247312개발 환경 구성: 737. Azure Web App에서 Scale-out으로 늘어난 리눅스 인스턴스에 SSH 접속하는 방법
13832정성태11/27/20246874Windows: 274. Windows 7부터 도입한 conhost.exe
13831정성태11/27/20245774Linux: 111. eBPF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BPF_MAP_TYPE_RINGBUF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
13830정성태11/25/20248031개발 환경 구성: 736. 파이썬 웹 앱을 Azure App Service에 배포하기
13829정성태11/25/20248112스크립트: 67. 파이썬 - Windows 버전에서 함께 설치되는 py.exe
13828정성태11/25/20246138개발 환경 구성: 735. Azure - 압축 파일을 이용한 web app 배포 시 디렉터리 구분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827정성태11/25/20247166Windows: 273. Windows 환경의 파일 압축 방법 (tar, Compress-Archive)
13826정성태11/21/20247495닷넷: 2313. C# - (비밀번호 등의) Console로부터 입력받을 때 문자열 출력 숨기기(echo 끄기)파일 다운로드1
13825정성태11/21/20248760Linux: 110. eBPF / bpf2go - BPF_RINGBUF_OUTPUT / BPF_MAP_TYPE_RINGBUF 사용법
13824정성태11/20/20246073Linux: 109. eBPF / bpf2go - BPF_PERF_OUTPUT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사용법
13823정성태11/20/20247889개발 환경 구성: 734. Ubuntu에 docker, kubernetes (k3s) 설치
13822정성태11/20/20247893개발 환경 구성: 733. Windbg - VirtualBox VM의 커널 디버거 연결 시 COM 포트가 없는 경우
13821정성태11/18/20247466Linux: 108. Linux와 Windows의 프로세스/스레드 ID 관리 방식
13820정성태11/18/20248135VS.NET IDE: 195. Visual C++ - C# 프로젝트처럼 CopyToOutputDirectory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
13819정성태11/15/20245844Linux: 107. eBPF - libbpf CO-RE의 CONFIG_DEBUG_INFO_BTF 빌드 여부에 대한 의존성
13818정성태11/15/20248224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3817정성태11/14/20246880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8330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6343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7280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8269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11944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6890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8461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7731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8348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