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6. STS Communication faile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50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제어판에 가서, "Windows CardSpace"를 실행했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An error occurred accessing the Windows CardSpace. Please check the event log for more details.

오류 메시지와는 달리, Event Log에는 아무런 오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 혹시나 다른 동작에서는 이벤트 로그가 발생할 수 있을까 싶어서 "Windows CardSpace로의 첫걸음"에서 제공되는 실습 페이지인 "Sample Exercise 1"을 방문했더니, 드디어 다음과 같은 오류가 이벤트 로그에 남았습니다.

Event Type:	Error
Event Source:	CardSpace 3.0.0.0
Event Category:	General 
Event ID:	273
Date:		10/23/2006
Time:		8:25:01 AM
User:		SEDONA\xxxxxxxxxx
Computer:	SEDONA
Description:
There was a failure making a WS-Trust exchange with an external application.  
STS Communication failed..

Inner Exception: Exception of type 'Microsoft.InfoCards.UIAgentCrashedException' was thrown.


Additional Information:
Microsoft.InfoCards.TrustExchangeException: STS Communication failed.. 
	---> Microsoft.InfoCards.UIAgentCrashedException: Exception of type 'Microsoft.InfoCards.UIAgentCrashedException' was thrown.
	
   at Microsoft.InfoCards.ClientUIRequest.StartAndWaitForUIAgent()
   at Microsoft.InfoCards.GetBrowserTokenRequest.OnProcess()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For more information, see Help and Support Center at http://go.microsoft.com/fwlink/events.asp.

구글에서 검색을 해보니, 위와 같은 오류의 시행착오가 한 건도 없더군요. ^^;
그래서, 찬찬히 오류 메시지를 뜯어 보았습니다. "UIAgentCrashedException"이라... 윈도우가 뜨려다 오류가 발생했다는 것인데. 그렇게 보니 뭔가 감이 잡히는 것이 있습니다.

제 컴퓨터는 델 D800 노트북인데요. Windows 2003이 설치되어져 있습니다. 아쉽게도 D800에는 Windows 2003용 비디오 드라이버가 없어서 XP용 드라이버로 대체한 상태인데, 이것이 GDI 리소스 관리에 문제가 있어서 GDI 핸들을 대량으로 사용하는 VS.NET 2005와 같은 프로그램을 몇 개만 띄워 놓으면, 그 시점부터는 타이틀 바가 안 나오거나 화면의 일부가 갱신이 안 되거나 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결국 그런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이런 희귀한 경우이니, 당연히 검색 결과가 없겠지요.

그래서, 프로그램 몇 개 죽이고 하니 잘 됩니다.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18정성태1/9/202410454닷넷: 2197. C# - ClientWebSocket의 Ping, Pong 처리
13517정성태1/8/20249613스크립트: 63. Python - 공개 패키지를 이용한 위성 이미지 생성 (pystac_client, odc.stac)
13516정성태1/7/20249750닷넷: 2196.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의 부작용
13515정성태1/6/20249673닷넷: 2195. async 메서드 내에서 C# 7의 discard 구문 활용 사례 [1]
13514정성태1/5/20249549개발 환경 구성: 702.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
13513정성태1/5/20249673닷넷: 2194. C# - WebActivatorEx / System.Web의 PreApplicationStartMethod 특성
13512정성태1/4/20249968개발 환경 구성: 701. IIS - w3wp.exe 프로세스의 ASP.NET 런타임을 항상 Warmup 모드로 유지하는 preload Enabled 설정
13511정성태1/4/20249675닷넷: 2193. C# - ASP.NET Web Application + OpenAPI(Swashbuckle) 스펙 제공
13510정성태1/3/20249431닷넷: 2192. C# - 특정 실행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Linux)
13509정성태1/3/202410599오류 유형: 887. .NET Core 2 이하의 프로젝트에서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Unsafe doesn't support netcoreapp2.0.
13508정성태1/3/202410064오류 유형: 886. ORA-28000: the account is locked
13507정성태1/2/202411158닷넷: 2191. C# - IPGlobalProperties를 이용해 netstat처럼 사용 중인 Socket 목록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06정성태12/29/202310306닷넷: 2190. C# - 닷넷 코어/5+에서 달라지는 System.Text.Encoding 지원
13505정성태12/27/202312139닷넷: 2189. C# -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닷넷으로 구현하는 예제 (System.Net.WebSockets)파일 다운로드1
13504정성태12/27/202311280닷넷: 2188. C# - ASP.NET Core SignalR로 구현하는 채팅 서비스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3정성태12/27/202310437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13502정성태12/26/202310977닷넷: 2187. C# - 다른 프로세스의 환경변수 읽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1정성태12/25/202310315개발 환경 구성: 700.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13500정성태12/24/202310818디버깅 기술: 194.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13498정성태12/23/202312487닷넷: 2186.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의 C# 래퍼 버전 - eFriendOpenAPI NuGet 패키지
13497정성태12/22/202310672오류 유형: 885. Visual Studiio - error : Could not connect to the remote system. Please verify your connection settings, and that your machine is on the network and reachable.
13496정성태12/21/202310578Linux: 66.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gdb)
13495정성태12/20/202310836Linux: 65. clang++로 공유 라이브러리의 -static 옵션 빌드가 가능할까요?
13494정성태12/20/202310920Linux: 64.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두 번째 이야기
13493정성태12/19/202311030닷넷: 2185. C# - object를 QueryStr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
13492정성태12/19/202310415개발 환경 구성: 699. WSL에 nopCommerce 예제 구성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