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8.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163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 제 컴퓨터가 가끔씩 급격하게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되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니 그때마다 "svchost.exe" 작업이 CPU를 약 100% 점유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메모리 소비가 150MB까지 올라갔습니다.

process explorer로 확인을 해보니 해당 exe에서 서비스되는 것들이 다음과 같더군요.

"Automatic Updates"
"Windows Audio"
"Computer Browser"
"Cryptographic Services"
"COM+ Event System"
"HID Input Service"
"Server"
"Workstation"
"Network Connections"
"Network Location Awareness(NLA)"
"Remote Access Connection Manager"
"Task Scheduler"
"System Event Notification"
"Shell Hardware Detection"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Wireless Configuation"

상황이 이렇다 보니, ^^; 단서를 찾아낼 엄두를 못내고 포기하고 있었는데요. 오늘은 우연히 "Windows Update" 사이트를 방문하면서 "svchost.exe"가 동일하게 메모리와 CPU 점유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하다보니, 아래와 같은 토픽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FIX: When you run Windows Update to scan for updates that use Windows Installer, including Office updates, CPU utilization may reach 100 percent for prolonged periods
; http://support.microsoft.com/kb/916089

제 현상이랑 아주 똑같은 것 같습니다. 실제로 Windows Update 사이트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설치/삭제 시에도 msi 관련 프로세스들이 너무 느린 현상을 경험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 "Microsoft Product Support Services" 센터에 연락을 해서만 구할 수 있군요. 월요일까지 기다려서 Support 센터에 연락을 해서 해당 파일을 설치하는 것이 빠를까요? 그 안에 Vista가 MSDN Subscriber Downloads 센터에 릴리스되어 Vista를 설치하게 되는 시간이 빠를까요? ^^


[내용 추가: 2007-02-13]
다음의 토픽에 해결책이 제시됩니다.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459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NoWriterDateCnt.TitleFile(s)
1635정성태2/14/201424166오류 유형: 221. SharePoint -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The farm is unavailable.
1633정성태2/13/201427303오류 유형: 220. 2014년 2월 13일 이후로 Visual Studio 2010 Macro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3]
1612정성태1/29/201424051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1609정성태1/26/201422633오류 유형: 218. wsDualHttpBinding + Windows Server 2003인 경우 발생하는 오류
1606정성태1/25/201426092오류 유형: 217. 델 베뉴 스타일러스 관련 업데이트 오류 - 5830_Firmware_X267N_WN_1.0.4.1_A01.EXE
1604정성태1/23/201423328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1정성태1/22/201429173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596정성태1/17/201424457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1769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4065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2469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2262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4897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5762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79정성태1/12/201423891오류 유형: 207. System.ArgumentException was unhandled - Message=[net_WebHeaderInvalidControlChars]
1577정성태1/11/201425831오류 유형: 206. WriteFile Win32API 사용 시 비정상 종료 현상 [3]
1575정성태1/11/201423630오류 유형: 205. Exception calling "Provision" with "0" argument(s): "The timer job did not complete running within the allotted time."
1574정성태1/11/201426072오류 유형: 204. An unhandled exception ('System.Security.Cryptography.CryptographicException') occurred in OWSTIMER.EXE
1573정성태1/11/201424136오류 유형: 203. 이벤트 로그 에러 - MsiInstaller에서 Chart Controls 설치 관련 오류 발생
1568정성태1/8/201424914오류 유형: 202. Hyper-V 서비스 시작 오류 - Not enough storage is available to complete this operation.
1563정성태1/3/201430015오류 유형: 201. ASP.NET 웹 사이트를 IIS 7 이상의 환경에서 호스팅할 때 500 오류 발생
1561정성태1/1/201444356오류 유형: 200. 카카오톡 PC 버전 실행 시 개발자 컴퓨터에서 Themida 오류 나는 문제 [2]
1560정성태1/1/201422870오류 유형: 199. Hyper-V - Checkpoint 생성 오류
1548정성태12/10/201323035오류 유형: 198. C# - 제네릭 covariance/contravariance 사용할 때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면?
1543정성태11/27/201331678오류 유형: 197. error MSB8008: Specified platform toolset (v120) is not installed or invalid. [1]
1542정성태11/27/201337284오류 유형: 196. The procedure entry point InitializeCriticalSectionEx could not be located in the dynamic link library KERNEL32.dll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