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8.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164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 제 컴퓨터가 가끔씩 급격하게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되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니 그때마다 "svchost.exe" 작업이 CPU를 약 100% 점유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메모리 소비가 150MB까지 올라갔습니다.

process explorer로 확인을 해보니 해당 exe에서 서비스되는 것들이 다음과 같더군요.

"Automatic Updates"
"Windows Audio"
"Computer Browser"
"Cryptographic Services"
"COM+ Event System"
"HID Input Service"
"Server"
"Workstation"
"Network Connections"
"Network Location Awareness(NLA)"
"Remote Access Connection Manager"
"Task Scheduler"
"System Event Notification"
"Shell Hardware Detection"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Wireless Configuation"

상황이 이렇다 보니, ^^; 단서를 찾아낼 엄두를 못내고 포기하고 있었는데요. 오늘은 우연히 "Windows Update" 사이트를 방문하면서 "svchost.exe"가 동일하게 메모리와 CPU 점유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하다보니, 아래와 같은 토픽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FIX: When you run Windows Update to scan for updates that use Windows Installer, including Office updates, CPU utilization may reach 100 percent for prolonged periods
; http://support.microsoft.com/kb/916089

제 현상이랑 아주 똑같은 것 같습니다. 실제로 Windows Update 사이트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설치/삭제 시에도 msi 관련 프로세스들이 너무 느린 현상을 경험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 "Microsoft Product Support Services" 센터에 연락을 해서만 구할 수 있군요. 월요일까지 기다려서 Support 센터에 연락을 해서 해당 파일을 설치하는 것이 빠를까요? 그 안에 Vista가 MSDN Subscriber Downloads 센터에 릴리스되어 Vista를 설치하게 되는 시간이 빠를까요? ^^


[내용 추가: 2007-02-13]
다음의 토픽에 해결책이 제시됩니다.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459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50정성태2/8/202315042오류 유형: 843.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 Unable to configure HTTPS endpoint
13249정성태2/7/202316476오류 유형: 842. 리눅스 - You must wait longer to change your password
13248정성태2/7/202312060오류 유형: 841. 리눅스 - [사용자 계정] is not in the sudoers file. This incident will be reported.
13233정성태1/28/202317621오류 유형: 840. C# - WebClient로 https 호출 시 "The request was aborted: Could not create SSL/TLS secure channel" 예외 발생
13231정성태1/27/202312346오류 유형: 839. python - TypeError: '...' object is not callable
13223정성태1/20/202313213오류 유형: 838. RDP 연결 오류 - The two computers couldn't connect in the amount of time allotted
13220정성태1/19/202313989오류 유형: 837. NETSDK1045 The current .NET SDK does not support targeting .NET ...
13213정성태1/9/202313422오류 유형: 836. docker 이미지 빌드 시 "RUN apt install ..." 명령어가 실패하는 이유
13201정성태12/20/202216644오류 유형: 835. PyCharm 사용 시 C 드라이브 용량 부족
13200정성태12/19/202214272오류 유형: 834. 이벤트 로그 - SSL Certificate Settings created by an admin process for endpoint
13194정성태12/14/202214710오류 유형: 833. warning C4747: Calling managed 'DllMain': Managed code may not be run under loader lock파일 다운로드1
13193정성태12/14/202215375오류 유형: 832. error C7681: two-phase name lookup is not supported for C++/CLI or C++/CX; use /Zc:twoPhase-
13189정성태12/9/202218230오류 유형: 831. Visual Studio - Windows Forms 디자이너의 도구 상자에 컨트롤이 보이지 않는 문제
13186정성태12/6/202215308오류 유형: 831. The framework 'Microsoft.AspNetCore.App', version '...' was not found.
13183정성태12/4/202213716오류 유형: 830. MASM + CRT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정리 [1]
13177정성태11/30/202216202오류 유형: 829. uwsgi 설치 시 fatal error: Python.h: No such file or directory
13176정성태11/29/202212507오류 유형: 828. gunicorn -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flask'
13175정성태11/29/202217250오류 유형: 827. Python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html5lib' from 'pip._vendor'
13158정성태11/9/202214673오류 유형: 826. Workload definition 'wasm-tools' in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 [...] conflicts with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net7'
13149정성태10/27/202215000오류 유형: 825. C# - CLR ETW 이벤트 수신이 GCHeapStats_V1/V2에 대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148정성태10/26/202215917오류 유형: 824. msbuild 에러 - error NETSDK1005: Assets file '...\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net5.0'. Ensure that restore has run and that you have included 'net5.0' in the TargetFramew
13147정성태10/25/202215087오류 유형: 823. Visual Studio 2022 - Unable to attach to CoreCLR. The debugger's protocol is incompatible with the debuggee.
13145정성태10/21/202216279오류 유형: 822. db2 - Password validation for user db2inst1 failed with rc = -2146500508
13143정성태10/19/202217547오류 유형: 821. windbg/sos - Error code - 0x000021BE
13134정성태10/4/202213495오류 유형: 820. There is a problem with AMD Radeon RX 5600 XT device. For more information, search for 'graphics device driver error code 31'
13106정성태7/24/202215268오류 유형: 819. 닷넷 6 프로젝트의 "Conditional compilation symbols" 기본값 오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