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4.1. Vista 설치 후기 - 두 번째 이야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13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비스타에 관련되어 잡담 몇 가지 해보겠습니다. ^^

1. 비스타 탐색기는 타이틀 바의 좌측에 닫기 버튼이 없나요?

그냥, 아이콘만 없을 뿐 ^^ 기능은 동일하게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아이콘이 있을 법한 영역을 마우스 좌측 버튼으로 눌러 주면 메뉴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지요. ^^ 따라서 두 번 클릭을 하는 것도 예전처럼 동작해서 탐색기가 닫히게 됩니다.

misc_about_vista_1.png




2. 여러 가지 "윈도우즈 체험 지수".

ㄱ. 아래는 제 D800 노트북(램 2GB)의 수치입니다.

misc_about_vista_2.png

ㄴ. 아래는 우리 집에 있는 두 번째 데스크톱 PC의 수치입니다.
(ATI Radeon 9100으로 인해 1.0 수치로 되어 버렸습니다.)

misc_about_vista_3.png

ㄷ. 아래는 우리 집에 있는 첫 번째 데스크톱 PC의 VPC에 설치된 경우의 수치입니다.
(가상 그래픽 카드로 인한 것만 제외한다면 훌륭한 수치입니다.^^)

misc_about_vista_4.png




3. 비스타를 설치했더니 Aero가 기본적으로 안 됩니다. 수동으로 직접 설정해 줄 수 있을까요?

예. 가능합니다. "제어판" / "Personalization" / "Window Color and Appearance"를 선택하면 다음 화면과 같이 대화창이 뜹니다. 좌측 하단의 "Color scheme"에서 "Windows Aero"를 수동으로 직접 선택해 줄 수 있습니다. (그래픽 카드에 대한 WDDM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Windows Aero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misc_about_vista_5.png

하지만, 기본적으로 비스타를 설치할 때 Aero가 설정되어져 있지 않다면, 거의 성능 문제일 수 있으므로 그것을 수동으로 직접 지정하게 되면, 불편할 정도로 시스템이 느리기 때문에 다시 돌려놓게 될 것입니다.

아래의 화면은 ^^ 제 컴퓨터에서 Aero를 설정한 경우의 화면입니다. 캡쳐를 위해 잠시 켜둔 것일 뿐 평소에는 끄고 지냅니다. ^^; (정말 멋있긴 합니다. ^^)

misc_about_vista_6.png




4. 한글 비스타는 "K" 버전?

한글 비스타를 설치하고 나니 아래 화면과 같이 "K"라는 것이 눈에 띄더군요. K 버전의 차이가 뭘까요? 혹시 아시는 분 계신지? 일단, 미디어 플레이어 11은 정상적으로 설치되어져 있었습니다.

hangul_vista_k_version.png




5. Ready-boost를 사용하기 위한 USB 디바이스에 대해서?

우선, 다음의 Q&A를 참조하십시오.

영문 - Windows Vista ReadyBoost Q&A
; http://hwspirit.com/forum/viewtopic.php?t=398

한글 번역 - 윈도우 비스타 레디부스트 FAQ
; http://www.betanews.net/article/355383

중요한 것은 "Random"으로 읽기 쓰기에 대해서 각각 2.5MB/sec, 1.75MB/sec 속도를 지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여러분들이 구매하고 있는, 또는 구매할 예정인 USB 메모리가 "Random" 속도를 만족하는지 꼭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실제로 제가 가지고 있는 "SELF I&C"의 "Turbo II 2GB" 제품은 읽기 12.MB/sec, 쓰기 5.9MB/sec라고 그들의 홈페이지에서 선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ready-boost 기능에 사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그 속도는 random이 아닌, sequential인 듯 합니다.)

참고로, Ready-boost 가능한 Device 목록은 다음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가장 확실한 것은 반드시, 구매하기 전에 해당 업체에 문의를 해서 Vista의 Ready-boost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꼭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ReadyBoost Compatibility - USB and other flash memory device
; http://www.grantgibson.co.uk/misc/readyboost/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2/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6-12-13 02시48분
[최인섭] "Windows XP Professional K는 Media Player Center 웹 사이트와 Messenger Center 웹 사이트에 대한 링크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Windows XP Professional과 기능이 동일합니다."이듯이 Vista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http://www.microsoft.com/korea/windowsxp/pro/k/default.mspx")
음..저는 일본에 사는 관계로 MSDN의 Vista Enterprise Edition을 설치해서 쓰고 있는데, Ultimate EE라고 나오더군요.
[guest]
2006-12-13 03시27분
그렇다면, 공정위의 반독점 심의 결과가 결국 웹 사이트 2개에 대한 링크를 포함시켰다는 것일 텐데요.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너무 약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예전에 한창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반독점 시비가 있었을 때, 미디어 플레이어가 없을 때에 대한 여러가지 시나리오를 누군가 써놨던 것이 기억이 나는데요.

오히려 비스타 같은 경우에는 OEM 제조업체들로 하여금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놨기 때문에, "K" 버전 같은 것이 붙을 필요는 없어보이는데, 있어서... 의아스러웠습니다. 물론, 가장 문제가 되었던 미디어 플레이어도 동일하게 설치되어져 있었고.

혹시... 아직은 RTM 버전이라 그런것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
kevin25
2006-12-13 04시44분
[최인섭] 네..역시 RTM이라서 그런것 같네요. 신뢰할수 있는 내용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아래의 링크에 관련되어 언급되어있네요.
; (broken) http://mywebpages.comcast.net/SupportCD/VistaRequirements.html#K
[guest]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63정성태2/11/202215634.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962정성태2/9/202215010오류 유형: 793.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 제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재고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12961정성태2/8/202215131.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7]파일 다운로드1
12960정성태2/8/202214347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12959정성태2/7/202215443.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2958정성태2/6/202216244.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2]파일 다운로드1
12957정성태2/6/202215196개발 환경 구성: 636. ffmpeg.exe를 이용해 planar 포맷의 데이터를 packed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2956정성태2/4/202214738.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2]파일 다운로드1
12955정성태2/4/202214114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12954정성태2/4/202213392VS.NET IDE: 173. 비주얼 스튜디오 - Output 창에 색상이 지정된 출력 결과가 "[39m[22m" 식의 문자로 나오는 문제
12953정성태2/2/202213436Linux: 48. Windows 11 + WSL 우분투 GUI 환경에서 한글 출력
12952정성태2/2/202214331.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1정성태2/2/202213792.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0정성태2/1/202214050.NET Framework: 1146. .NET 6에 추가되지 않은 Generic Math (예: INumber<T>)
12949정성태2/1/202213378.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파일 다운로드1
12948정성태1/30/202214058.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947정성태1/30/202215268개발 환경 구성: 634.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12946정성태1/28/202213929오류 유형: 792. .NET Core - 로컬 개발 중에 docker 호스팅으로 바꾸는 경우 SQL 서버 접근 방법
12945정성태1/28/202214048오류 유형: 791. SQL 서버 로그인 시 localhost는 되고, 127.0.0.1로는 안 되는 문제
12944정성태1/28/202217440.NET Framework: 1143. C# - Entity Framework Core 6 개요
12943정성태1/27/202216718.NET Framework: 1142. .NET 5+로 포팅 시 플랫폼 호환성 경고 메시지(SYSLIB0006, SYSLIB0011, CA1416) [1]파일 다운로드1
12942정성태1/27/202216173.NET Framework: 1141. XmlSerializer와 Dictionary 타입파일 다운로드1
12941정성태1/26/202217414오류 유형: 790. AKS/k8s - pod 상태가 Pending으로 지속되는 경우
12940정성태1/26/202213864오류 유형: 789. AKS에서 hpa에 따른 autoscale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12939정성태1/25/202214991.NET Framework: 114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3 오디오 파일 인코딩/디코딩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2938정성태1/24/202218190개발 환경 구성: 633. Docker Desktop + k8s 환경에서 local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