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BHO 개체는 레지스트리에 등록이 되면, 이후로 탐색기와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실행될 때마다 해당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공간으로 로딩이 됩니다.
즉, 잠겨지게 되는 것이죠.

대부분의 경우, BHO 개발동기는 Internet Explorer 에 Plug-in 시키기 위해서인데, 쓸데없이 탐색기에 떠서 말썽이 일어나거나, 탐색기로 인해 컴파일이 안되어서 폴더확장까지 다 해놓은 탐색기를 종료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잠깐 머리를 써보았더니, 해답은 생각보다 간단하더군요.
다음과 같이 구현을 해놓으시면 됩니다.

extern "C"
BOOL WINAPI DllMain(HINSTANCE hInstance, DWORD dwReason, LPVOID /*lpReserved*/)
{
    if (dwReason == DLL_PROCESS_ATTACH)
    {
        char tempBuf[ 4096 ] = { 0 };
        ::GetModuleFileName( NULL, tempBuf, 4096 );
    
        if ( CStringEx::ciFind( tempBuf, "explorer.exe" ) != -1 )
        {
            //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것이라면.
            // FALSE 를 반환.
            return FALSE;
        }

        _Module.Init(ObjectMap, hInstance, &LIBID_IEXTENDER3Lib);
        DisableThreadLibraryCalls(hInstance);
    }
    else if (dwReason == DLL_PROCESS_DETACH)
        _Module.Term();
    return TRUE; // ok
}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3/200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4-12 10시45분
세상에나... NoExplorer 라는 레지스트리 설정이 존재하고 있었군요. 이 값을 1로 설정해주면 탐색기에서는 로딩이 되지 않습니다. DllMain 으로 제어하는 것보다 훨씬 낫군요. ^^

Browser Helper Objects for Windows Explorer
; http://blogs.msdn.com/b/ieinternals/archive/2011/04/12/10152315.aspx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96정성태12/30/201921596디버깅 기술: 149.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1]
12095정성태12/27/201924408VC++: 135. C++ - string_view의 동작 방식
12094정성태12/26/201922750.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12093정성태12/26/201921682.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092정성태12/25/201919570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12091정성태12/25/201923422디버깅 기술: 147.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1]
12090정성태12/24/201923102.NET Framework: 871. .NET AnyCPU로 빌드된 PE 헤더의 로딩 전/후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2089정성태12/23/201920831디버깅 기술: 146. gflags와 _CrtIsMemoryBlock을 이용한 Heap 메모리 손상 여부 체크
12088정성태12/23/201920422Linux: 28. Linux - 윈도우의 "Run as different user" 기능을 shell에서 실행하는 방법
12087정성태12/21/201920617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6정성태12/20/201924164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22382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22155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24675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23249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25757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21845.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24659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24505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22198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22119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23036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22376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2720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9264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3971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