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22. VS.NET 2005 SP1 설치 도중 오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16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S.NET 2005 관련한 서비스 팩들이 하나같이 ^^ 설치 시에 곤란을 겪게 만드는군요. Vista에 설치된 VS.NET 2005 Team Suite에는 정상적으로 SP1이 설치되었는데, 다른 테스트 PC의 VS.NET 2005 Team Suite에는 아래와 같은 설치 오류를 내면서 더 이상 진행이 안되었습니다.

teamsuite_install_error_1.png
"
The installation source for this product is not available. 
Verify that the source exists and that you can access it.
"

오류 메시지도 너무 평범해서 별다른 단서를 제공하지 못하더군요. 실제로 구글 검색을 해보았으나 TFS 관련한 오류가 아닌 일반 응용 프로그램들이 설치했을 때에 나타나는 오류 현상들이 검색되었습니다.

어허... 난감하군요. ^^; 또다시, MSI 오류 로그 파일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D:\Documents and Settings\[로그인 사용자 계정]\Local Settings\Temp\1\VS80sp1-KB926601-X86-ENU" 아래에 있는 "VS80sp1-KB926601-X86-ENU-msi.0.log"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어낼 수 있었습니다.

MSI (c) (68:08) [13:17:06:788]: SOURCEMGMT: Media enabled only if package is safe.
MSI (c) (68:08) [13:17:06:788]: SOURCEMGMT: Looking for sourcelist for product {D93F9C7C-AB57-44C8-BAD6-1494674BCAF7}
MSI (c) (68:08) [13:17:06:804]: Note: 1: 1706 2: {D93F9C7C-AB57-44C8-BAD6-1494674BCAF7} 3:  
MSI (c) (68:08) [13:17:06:804]: SOURCEMGMT: Failed to resolve source
The installation source for this product is not available.  Verify that the source exists and that you can access it.
D:\DOCUME~1\SAINTT~1.THE\LOCALS~1\Temp\1\ZNWE\VS80sp1-KB926601-X86-ENU.msp
MSI (c) (68:08) [13:17:06:929]: Note: 1: 1708 
MSI (c) (68:08) [13:17:06:929]: Note: 1: 2729 
MSI (c) (68:08) [13:17:06:929]: Note: 1: 2729 
MSI (c) (68:08) [13:17:06:991]: Product: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Premier Partner Edition - ENU -- Installation failed.

역시나 뚜렷하게 별다른 정보를 찾지 못했습니다. 그래도 혹시나 싶어서 "SOURCEMGMT: Failed to resolve source"로 검색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어차피 Team Suite SP1 업그레이드에 대한 예는 찾을 수 없을 거라 생각했고, 비슷한 사례라도 찾아보려고 했습니다.

그러자 다음의 토픽이 눈에 띄었습니다.

You receive error 1706 while you install Host Integration Server
; http://support.microsoft.com/kb/832482

내용 중에 건질 만한 것이 있다면, 설치 도중에 관련 제품의 CD-ROM을 찾는다는 것이었습니다. 당연히 지금의 PC에서는 VS.NET 2005 DVD가 CD-ROM에 없고 다른 CD-ROM 한 장이 끼워져 있었습니다. 그것을 제거하고 다시 SP1 설치 시도를 해보았으나 이번엔 아예 다음 화면과 같이 프로그램 종료가 되어 버립니다.

teamsuite_install_error_2.png

그나저나, 이것도 일이군요. 저는 그동안 CD-ROM으로 설치한 것이 아니라 Virtual Server에서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마운팅한 후 그것을 공유해서 설치를 해왔습니다. 당연히 실제 CD-ROM/DVD는 없고요. 더군다나 그 PC는 x64 운영체제가 설치되어져 있어서 제가 즐겨 사용하던 Virtual CD-ROM Control Panel for Windows XP는 x64를 지원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할 수 없이 또 한번 검색을 해서 freeware로 된 ISO 마운팅 유틸리티를 찾아보았습니다. x64 지원하는 조건인데, 아래의 프로그램이 그중에서 무난한 듯 보였습니다.

Mount ISO Files - MagicDisc Download - for Windows XP/2003/Vista x64 Edition
; http://www.magiciso.com/tutorials/miso-magicdisc-history.htm

자, 이제 새로운 기분으로 ^^ "en_vs_2005_vsts_dvd.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연결하고 다시 셋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도 안되는군요.

다시 한번 자세히 로그 파일을 봤습니다. "Product: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Premier Partner Edition - ENU -- Installation failed." 부분이 눈에 들어옵니다. 그러고 보니, 해당 PC에는 VSTS와 SQL Server 2005가 같이 설치된 컴퓨터였습니다. 그래서 SQL Server 2005 ISO 파일을 마운팅해 보았지만 그래도 같은 오류 메시지만 계속 나오면서 설치가 안되었습니다.

휴... 참을만큼 참았다. ^^;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Premier Partner Edition - ENU"를 아예 제거하고 SP1을 설치를 했습니다. 헉... 그래도 안됩니다. 이번에는 다음과 같은 오류 로그가 남았습니다.

MSI (c) (3C:00) [15:11:48:172]: Product: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Team Suite - ENU -- Installation failed.

이쯤 되면 오만가지 생각이 교차합니다. ^^





다시 생각을 가다듬고,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어떤 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정말... 테스트 PC라고 해서 어지간히 많은 것들을 설치했더군요. 그중에서 "Visual C# 2005 Express Edition - ENU"가 눈에 띄었습니다. '음... 이것 먼저 SP1을 설치해 볼까?' 그래서 Express Edition용의 SP1을 설치를 해보았습니다. 그런데, 도중에 다음과 같은 오류 상자가 나왔습니다.

teamsuite_install_error_3.png

"
Microsoft Visual C# 2005 Express Edition - ENU Service Pack 1 (KB926749) 
includes the release version of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Web Application Projects.
You must uninstall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Web Application Projects before
you install Microsoft Visual C# 2005 Express Edition - ENU Service Pack 1 (KB926749).
"

정말 ^^ 테스트 PC가 맞지요? 그래서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Web Application Projects"를 설치 제거했습니다. 일단은 Express Edition은 위의 과정을 거친 후에는 정상적으로 SP1이 설치되었으나, 여전히 Team Suite SP1은 설치가 안되었습니다.




다시, 모든 것이 원점으로 돌아왔습니다. 지금까지의 시도는 일단 물거품이 되었습니다. 음... 흥분하지 말고, 다시 차분하게 ^^ "VS80sp1-KB926601-X86-ENU-msi.0.log" 파일의 내용을 보았습니다. 위에서 보았던 로그 내용보다 조금 위로 올라가 보니, 다음과 같은 로그 내용이 눈에 띄었습니다.

SOFTWARE RESTRICTION POLICY: Verifying object --> 'D:\DOCUME~1\[로그인 사용자 계정]\LOCALS~1\Temp\1\ZNW3D6\VS80sp1-KB926601-X86-ENU.msp' against software restriction policy
SOFTWARE RESTRICTION POLICY: D:\DOCUME~1\[로그인 사용자 계정]\LOCALS~1\Temp\1\ZNW3D6\VS80sp1-KB926601-X86-ENU.msp has a digital signature
SOFTWARE RESTRICTION POLICY: SaferIdentifyLevel reported failure. Assuming untrusted. . . (GetLastError returned 5)
The installation of D:\DOCUME~1\[로그인 사용자 계정]\LOCALS~1\Temp\1\ZNW3D6\VS80sp1-KB926601-X86-ENU.msp is not permitted due to an error in software restriction policy processing. The object cannot be trusted.

오호... 이것도 단서가 될 수 있겠군요. 이번에도 좀 평범한 단어들이긴 하지만 "is not permitted due to an error in software restriction policy processing"와 같은 내용으로 검색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아래의 내용이 눈에 띄었습니다.

Size does Matter
; http://blogs.msdn.com/heaths/archive/2006/08/23/715558.aspx

와... ^^ 이제야 해결책을 찾았습니다.

관리 도구에서 "Local Security Policy" MMS 콘솔을 띄우고, "Software Restriction Policies" 노드의 "Enforcement" 설정에서 "All users except local administrators"를 선택하는 것이었습니다. 위의 글에서는 재부팅이 필요하다고 씌여져 있지만, 그러지 않고도 SP1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정말이지... 컴퓨터로 작업한다는 것은 가끔 알게 모르게 시간을 빼앗기는 요소가 많다는 것을 다시 한번 체험하게 됩니다. ^^


[내용 추가: 2007-06-10]
Windows Server 2003 또는 Windows XP에서 큰 Windows Installer 패키지 또는 Windows Installer 패치 패키지를 설치하려고 하면 "오류 1718. 디지털 서명 정책이 파일을 거부했습니다."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 http://support.microsoft.com/kb/925336/ko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6-12-18 04시41분
[이방은] 저도 한글판을 사용하고 있는데 위와 같은 오류가 나더군요..
처음 발견 했으면 얼마나 고생을 했을까 생각이 들었지만
다행이 성태님 덕분에..한방에 해결을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06-12-18 04시42분
[이방은] 참고로..
OS는 windows 2003 standard 이고
vs team 입니다..
[guest]
2006-12-18 05시02분
다행입니다. ^^ 개인적으로, 이런 유의 문제를 검색하면 국내 블로거들의 글이 거의 없어서 참 씁쓸합니다. 다들, 이런 오류 상황에 대한 것들을 잘 정리해서 공개하면, 다른 분들이 시간을 다시 빼앗기는 일은 없을 텐데. ^^

TFS 관련해서도 저와 같은 오류를 경험하고 있는 분들이 속속 나오고 있나 봅니다. 다음의 토픽이 MS blog 사이트에 떴네요. ^^

28002 Error Unknown with Team Foundation Server while installing SP1
; (broken) http://blogs.msdn.com/charles_sterling/archive/2006/12/18/28002-error-unknown-with-team-foundation-server-while-installing-sp1.aspx
kevin25
2006-12-22 04시54분
[WaterStone] 멋집니다... 저도 같은 오류가 발생해서 SQL Server Developer Edition 문제라고 생각했죠.
그러다가 Vista를 설치해야 했기 때문에 미련없이 놋북을 밀어 버려서... ^^
Vista에는 "소프트웨어 제한 정책"이 비어 있네요.
(고로 설치도 잘 됬겠죠? ^^)
그나 저나 Vista에 문제 없는 SQL Server 2005 SP2는 언제나 나오는겨... -_-
[guest]
2006-12-22 05시04분
[WaterStone] 성태씨 블로그에 퍼갑니다...
참... 소프트웨어 제한 정책(Software Restriction Policies)이 없는 경우는 새로 만든 다음에
강제(Enforcement) 설정을 바꾸어 주어야 하더군요.
근데 왜 Vista는 제한 정책 없이도 잘 수행되지?
암튼 보안 정책이 많이 바뀌긴 한 거 같다는...
[guest]
2007-01-14 01시07분
[한기현] 정성태님 , 안녕하세요. 오래만에 뵙네요. 언제 시간 되시면 뵙여. 김유철 책임님과 같이요^^
저는 같은 문제가 생겼는데, 저는 VS80sp1-KB926601-X86-ENU / quite 로 해서 설치 했어요.
[guest]
2007-01-14 01시32분
제가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그런데요... ^^ "인공지능" 쪽에 관심이 많으신 "한기현" 님 맞으신가요? ^^
kevin25
2007-01-19 03시29분
[박용준] 덕분에 해결봤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guest]
2007-01-19 03시31분
^^
kevin25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49정성태4/28/201619952.NET Framework: 575. SharedDomain과 JIT 컴파일파일 다운로드1
10948정성태4/28/201623911.NET Framework: 574. .NET - 눈으로 확인하는 SharedDomain의 동작 방식 [3]파일 다운로드1
10947정성태4/27/201621794.NET Framework: 573. .NET CLR4 보안 모델 - 4. CLR4 보안 모델에서의 조건부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10946정성태4/26/201624578VS.NET IDE: 106. Visual Studio 2015 확장 - INI 파일을 위한 사용자 정의 포맷 기능 (Syntax Highlighting)파일 다운로드1
10945정성태4/26/201618342오류 유형: 327. VSIX 프로젝트 빌드 시 The "VsTemplatePaths" task could not be loaded from the assembly 오류 발생
10944정성태4/22/201619566디버깅 기술: 80.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찾는 방법
10943정성태4/22/201624420디버깅 기술: 79.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NET DLL을 추출/저장하는 방법 [1]
10942정성태4/19/201619735디버깅 기술: 78. windbg 사례 - .NET 예외가 발생한 시점의 오류 분석 [1]
10941정성태4/19/201619646오류 유형: 326. Error MSB8020 - The build tools for v120_xp (Platform Toolset = 'v120_xp') cannot be found.
10940정성태4/18/201622943Windows: 116. 프로세스 풀 덤프 시간을 줄여 주는 Process Reflection [3]
10939정성태4/18/201623954.NET Framework: 572. .NET APM 비동기 호출의 Begin...과 End... 조합 [3]파일 다운로드1
10938정성태4/13/201623514오류 유형: 325. 파일 삭제 시 오류 - Error 0x80070091: The directory is not empty.
10937정성태4/13/201631699Windows: 115. UEFI 모드로 윈도우 10 설치 가능한 USB 디스크 만드는 방법
10936정성태4/8/201642450Windows: 114. 삼성 센스 크로노스 7 노트북의 운영체제를 USB 디스크로 새로 설치하는 방법 [3]
10935정성태4/7/201626720웹: 32. Edge에서 Google Docs 문서 편집 시 한영 전환키가 동작 안하는 문제
10934정성태4/5/201625410디버깅 기술: 77. windbg의 콜스택 함수 인자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 [1]
10933정성태4/5/201631043.NET Framework: 571. C# - 스레드 선호도(Thread Affinity) 지정하는 방법 [8]파일 다운로드1
10932정성태4/4/201623328VC++: 96. C/C++ 식 평가 - printf("%d %d %d\n", a, a++, a);
10931정성태3/31/201623626개발 환경 구성: 283. Hyper-V 내에 구성한 Active Directory 환경의 시간 구성 방법 [3]
10930정성태3/30/201621584.NET Framework: 570. .NET 4.5부터 추가된 CLR Profiler의 실행 시 Rejit 기능
10929정성태3/29/201631681.NET Framework: 569.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의 역할파일 다운로드1
10928정성태3/28/201637388.NET Framework: 568. ODP.NET의 완전한 닷넷 버전 Oracle ODP.NET, Managed Driver [2]파일 다운로드1
10927정성태3/25/201626583.NET Framework: 567. System.Net.ServicePointManager의 DefaultConnectionLimit 속성 설명
10926정성태3/24/201626152.NET Framework: 566. openssl의 PKCS#1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10]파일 다운로드1
10925정성태3/24/201620441.NET Framework: 565. C# - Rabin-Miller 소수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924정성태3/22/201621124오류 유형: 324. Visual Studio에서 Azure 클라우드 서비스 생성 시 Failed to initialize the PowerShell host 에러 발생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