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Orcas 2007년 1월 CTP 버전 설치 Orcas CTP 버전을 설치해봤습니다. 물론, "side by side" 설치가 가능하다고 되어 있긴 하지만 혹시나 싶어서 테스트용 VPC (VS.NET 2005가 설치되어져 있다.)에 한번 설치해 본 다음,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 제 노트북에 설치해 봤습니다. (참고로, 설치 시작해 놓고 TV 보고 싶으시면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모두 종료하십시오. 그리고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는 "재부팅"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뭐... 별다른 주의 사항이 없어 보이지만, 그래도 현재 프로젝트 진행 중이신 분이라면 조심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는 여차하면, 다시 설치할 생각으로 주말에 설치하고 있는 것입니다. ^^;) 마이크로소프트도 다음과 같은 경고문을 잊지 않고 써놓고 있으니... We strongly recommend that you install the self extracting version of this CTP on a non-production machine. While the CTP should work with previous versions of Visual Studio installed it is still pre-release software. After installing this CTP you may find the machine in an unknown state and require a complete reinstall (operating system and applications) to return it to a known state. 설치 시작 화면부터 보면 아시겠지만, 전반적으로 설치 작업에서는 기존 VS.NET 2005 의 것을 그대로 재사용하고 있는 식이었습니다. 거의 "Orcas" 관련 타이틀만 바뀐 식입니다. 용량은, 2GB 조금 넘게 요구되고 있습니다. 아래의 화면은 제 노트북에 설치할 때의 용량 구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폴더명이 "Visual Studio 9.0" 으로 된 것도 볼 수 있고. 아래 화면에서 보는 것처럼, 설치되는 구성요소도 딱히 눈에 띄는 것이 없어 보입니다. 설치 후 실행되는 Orcas 실행화면도 그다지 특별해 보이진 않습니다. "GAC"에 설치된 어셈블리들도 VS.NET IDE 와 관련된 것들은 새롭게 "9.0.0.0" 버전들이 추가된 것 뿐 ".NET 3.5.0.0" 와 같은 식의 어셈블리들은 눈에 띄지 않습니다. 단지 기존 어셈블리 모듈에서 확장한 것들이 추가된 정도입니다. (예를 들면, "System.Data.Linq 2,0,0,0") 오늘은 여기 까지. ^^ 나머지 기능들은 차차 탐구해 나가야 겠지요. 참고로, 버그 및 피드백은, 다음의 사이트를 방문해서 나오는 "Submit a Bug or Suggestion" 링크를 누르면 가능합니다. Submit a Bug or Suggestion - Visual Studio and .NET Framework Feedback ; http://connect.microsoft.com/VisualStudio/Feedback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Windows: 16. 개발자를 위한 UAC 환경 설정[이전 글] 기타: 17. 베타 제품과 최종 제품은 다르다 [최초 등록일: 1/17/2007] [최종 수정일: 7/10/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7-01-17 02시15분 안녕하세요!다름 아니라 용어때문에...Orcas코드명은 .NET 3.0의 비주얼스트디오 2005에 add되는 프로젝트 템플릿(WPF,WCF)로 그동안 보아왔는데요현재, Orcas Jan CTP버젼은 C#3.0에 대한 이야기 였습니다.차기 .NET 3.5라고 성태님에게 제목으로 보았는데요Orcas라는 코드명이 왜 이렇게 혼재해서 쓰는지 헷갈립니다?...ㅠ,.ㅠ;그리고, C#3.0은 .NET 3.5로 이제 정해진 것인가요?정확히 2년마다 C#과 .NET Framework버젼이 올라가고, 1년마다 차기 CTP버젼이 나오니배우고 익히기도 전에 저멀리 너무 앞서가기만 하는 것이 아닌지...쩝....새로운것에 대해 전투력이 생기다가도 이렇게 너무 빨리 나오다 보니 혼란스럽네요...물론 실무에서는 적용되는 것이 좀 늦긴하지만..^^늘 좋은 소식과 글에 감사하며.. unbinara 2007-01-17 02시36분 Orcas는, 차기 VS.NET 2007의 코드명입니다. 이전에 WPF 관련해서 add-in이 있었지만, 원래 그것은 Orcas에 들어가기로 되어 있던 것을 .NET 3.0의 릴리스 일정과 맞추기 위해 VS.NET 2005로의 플러그인을 제공해 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그리고, C# 3.0 == .NET 3.5 정도는 아니고, .NET 3.5의 일부이죠.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의 토픽을 읽어보시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NET: 14. 1.0/1.1/2.0/3.0/3.5; http://www.sysnet.pe.kr/1/0/349사실... 지금 시기가 가장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NET과 함께 운영체제까지 major 업그레이드가 되었으니.음... 그리고... ^^ 업무에 맞게 변화하십시오. 그렇게 생각하면 마음이 편합니다. ^^ kevin25 2007-01-17 02시40분 unbinara == 이재원 님이신가요? 혹시 블로그 주소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 구글에 안 나오네요. kevin25 2007-01-17 07시48분 명쾌한설명 감사합니다..^^;http://blog.naver.com/unbimanse별내용도 없는데 ....쩝..ㅠ,.ㅠ;; unbinara 2007-01-17 10시05분 역시... 네이버여서... 구글 검색이 안되었네요. ^^;(이래서 네이버가 시려요. 다른 콘텐츠를 막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블로그까지 막는다는 것은 좀...) kevin25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24정성태12/5/200824592.NET Framework: 114. WPF 이벤트에 속한 핸들러 확인 [2]1623정성태12/4/200828962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2]1622정성태12/1/200831180오류 유형: 63. WPF - XamlParseException 대응 방법 [2]621정성태11/30/200823390Team Foundation Server: 27. TeamBuild + VDPROJ 셋업 프로젝트 [1]620정성태11/30/200822240디버깅 기술: 21. 올바른 이벤트 예외 정보 출력619정성태11/30/200822317디버깅 기술: 20. 예외 처리를 방해하는 WPF Modal 대화창1618정성태11/29/200822850.NET Framework: 113. 이벤트에 속한 이벤트 핸들러 확인1617정성태11/26/200828357.NET Framework: 112. How to Interop DISPPARAMS [2]2616정성태11/26/200822135디버깅 기술: 19. C++/CLI - F11 디버깅 시의 변수 초기화1615정성태11/9/200831834.NET Framework: 111. WPF - Window, UserControl 클래스 상속 [1]614정성태11/9/200831783.NET Framework: 110. WPF - 전역 예외 처리 [4]1613정성태11/8/200821379.NET Framework: 109. WPF - SystemColors 색상표1612정성태11/1/200826624.NET Framework: 108. WPF + WCF 환경에서는 DataContract를 권장 [1]611정성태10/31/200821012오류 유형: 62. WPF - Visual Studio 2008 비정상 종료610정성태10/24/200823198Team Foundation Server: 26. TFS 2008 SP1 + SQL Server 2008 설치609정성태10/24/200826937.NET Framework: 107. WPF - RadioButton 데이터 바인딩 해제 현상2608정성태10/23/200821664오류 유형: 61. TFS 연결 오류: TF31003, TF30331 오류607정성태10/18/200819548Windows: 32. 자동 실행 경로에 ".." 가 포함된 경우606정성태10/18/200821531.NET Framework: 106. WCF - 다중 서비스 호스트1605정성태10/18/200824996.NET Framework: 105. WPF - 닫기 버튼을 없애려면.604정성태10/18/200825558오류 유형: 60. System.Management.ManagementException - Generic failure [1]602정성태10/15/200827461오류 유형: 59. WPF - XAML 로딩 시 Visual Studio 비정상 종료 [1]600정성태10/9/200832168디버깅 기술: 18. TFS Team Build + Source Server = 소스 코드 디버깅 [3]603정성태10/15/200824079 디버깅 기술: 18.1. 소스 서버 구성, 그 외의 이야기599정성태10/5/200830041디버깅 기술: 17. TFS Team Build + Symbol Server [1]598정성태10/3/200820021VS.NET IDE: 57. VS.NET 2008 - 다중 프로젝트에서 단일 SNK를 사용하는 방법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