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Anonymous types"를 설명하기 전에, 예전에 RubyCLR을 소개해 드렸을 때 첨부했던 이미지를 한번 보겠습니다. 위의 구문 비교를 보고 있노라면 왠지, C# 사용자로서 오기가 발동합니다. 음... 아마도 이런 생각을 저만 한 것이 아니었나 봅니다. C# 3.0에 새로 추가된 "Anonymous type"에서 위의 Ruby와 유사한 문법을 지원해주고 있는 것입니다. 사용예를 한번 볼까요? C# 3.0: var Person = new { name = "", birthday = DateTime.MinValue, children = 0 }; Ruby : Person = Struct.new(:name, :birthday, :children) 사실, Anonymous type은 Ruby가 그 이유인 것은 아닌듯 합니다. 왜냐하면, 실제로 Linq를 표현하기 위해서도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SQL 테이블에서 특정 컬럼만을 선별하여 반환하는 구문이 빈번하게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바로 그런 면에서 anonymous type이 유용하게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Linq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다음의 토픽을 참조하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C# 3.0의 새로운 기능들!!! - 5. Anonymous types ; http://blogs.msdn.com/heejaechang/archive/2006/04/28/586568.aspx 그러니까... 정리해 보면, C# 3.0의 많은 기능들이, Linq를 위해서 탄생되었다고 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마치, CLR 2.0에서도 안정성을 위해 추가된 부분들이 SqlCLR을 위해서 탄생했던 것처럼.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Windows: 17. 보안 데스크톱에서 활성화되지 않은 UAC 창이 안전할까?[이전 글] .NET Framework: 77. C# 3.0 - Lambda 표현식 [연관 글] C# 언어 ... 좋은데... 정말 좋은데... 뭐라 표현할 말이 없네... ^^ [최초 등록일: 1/24/2007] [최종 수정일: 6/28/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7-05-15 09시01분 New "Orcas" Language Feature: Anonymous Types ; http://weblogs.asp.net/scottgu/archive/2007/05/15/new-orcas-language-feature-anonymous-types.aspx kevin25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436정성태11/7/202316202닷넷: 2155. C# - .NET 8 런타임부터 (Reflection 없이) 특성을 이용해 public이 아닌 멤버 호출 가능13435정성태11/6/202313706닷넷: 2154. C# - 네이티브 자원을 포함한 관리 개체(예: 스레드)의 GC 정리13434정성태11/1/202314920스크립트: 62. 파이썬 - class의 정적 함수를 동적으로 교체13433정성태11/1/202313286스크립트: 61. 파이썬 - 함수 오버로딩 미지원13432정성태10/31/202314835오류 유형: 878. 탐색기의 WSL 디렉터리 접근 시 "Attempt to access invalid address." 오류 발생13431정성태10/31/202314651스크립트: 60. 파이썬 - 비동기 FastAPI 앱을 gunicorn으로 호스팅13430정성태10/30/202315657닷넷: 2153. C# - 사용자가 빌드한 ICU dll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13429정성태10/27/202315570닷넷: 2152. Win32 Interop - C/C++ DLL로부터 이중 포인터 버퍼를 C#으로 받는 예제113428정성태10/25/202316020닷넷: 2151. C# 12 - ref readonly 매개변수13427정성태10/18/202313735닷넷: 2150. C# 12 - 정적 문맥에서 인스턴스 멤버에 대한 nameof 접근 허용(Allow nameof to always access instance members from static context)13426정성태10/13/202315148스크립트: 59. 파이썬 - 비동기 호출 함수(run_until_complete, run_in_executor, create_task, run_in_threadpool)13425정성태10/11/202315525닷넷: 2149. C# - PLinq의 Partitioner<T>를 이용한 사용자 정의 분할113423정성태10/6/202315192스크립트: 58. 파이썬 - async/await 기본 사용법13422정성태10/5/202313825닷넷: 2148. C# - async 유무에 따른 awaitable 메서드의 병렬 및 예외 처리 [1]13421정성태10/4/202314187닷넷: 2147. C# - 비동기 메서드의 async 예약어 유무에 따른 차이13420정성태9/26/202325814스크립트: 57. 파이썬 - UnboundLocalError: cannot access local variable '...' where it is not associated with a value13419정성태9/25/202315105스크립트: 56. 파이썬 - RuntimeError: dictionary changed size during iteration13418정성태9/25/202315771닷넷: 2146. C# - ConcurrentDictionary 자료 구조의 동기화 방식13417정성태9/19/202316267닷넷: 2145. C# - 제네릭의 형식 매개변수에 속한 (매개변수를 가진) 생성자를 호출하는 방법13416정성태9/19/202313116오류 유형: 877. redis-py - MISCONF Redis is configured to save RDB snapshots, ...13415정성태9/18/202315383닷넷: 2144. C# 12 - 컬렉션 식(Collection Expressions) [2]13414정성태9/16/202314560디버깅 기술: 193. Windbg - Thread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13413정성태9/14/202317128닷넷: 2143. C# - 시스템 Time Zone 변경 시 이벤트 알림을 받는 방법13412정성태9/14/202320301닷넷: 2142. C# 12 - 인라인 배열(Inline Arrays) [1]13411정성태9/12/202315446Windows: 252. 권한 상승 전/후 따로 관리되는 공유 네트워크 드라이브 정보 [1]13410정성태9/11/202316906닷넷: 2141. C# 12 - Interceptor (컴파일 시에 메서드 호출 재작성)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