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이번 글은, 순전히 다음 블로그 글의 내용을 가져온 것에 불과합니다. (원래 이쪽 "아티클"란에는 가능한 제가 직접 쓴 내용을 다루고 싶은데... 많은 분들이 "외부 자원" 게시판을 상대적으로 덜 이용하기 때문에 여기에 실었습니다.)

1. New Crypto Algorithms in Orcas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shawnfa/new-crypto-algorithms-in-orcas

2. Elliptic Curve DSA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shawnfa/elliptic-curve-dsa

3. Elliptic Curve Diffie-Hellman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shawnfa/elliptic-curve-diffie-hellman

"1. New Crypto Algorithms in Orcas"
먼저, "1. New Crypto Algorithms in Orcas" 내용에서는 Orcas에서 소개되는 새로운 암호화 관련 클래스들을 소개해 주고 있습니다. 특히나 주의깊게 봐야 할 것은 "CNG" 접미사가 붙은 클래스들인데요. 이런 종류의 클래스들은 모두 "Vista", "Longhorn"에서만 동작되는 것임을 주의하십시오.

여기서는 Orcas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겠지만, 만약 C/C++ 개발자라면 다음과 같은 툴킷을 설치함으로써 VS.NET 2005에서도 컴파일을 할 수가 있습니다. (Windows SDK에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Microsoft® Windows® Cryptographic Next Generation Software Development Kit for Windows Vista - English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1EF399E9-B018-49DB-A98B-0CED7CB8FF6F&displaylang=en

"1. New Crypto Algorithms in Orcas"에서 소개된 "Hash / Symmetric / Asymmetric" 관련 클래스 중에서 오늘 소개해 드릴 것은 마지막 부분의 "Asymmetric Algorithms"에 추가된 "Elliptic Curve DSA", "Elliptic Curve Diffie-Hellman"입니다.




2. Elliptic Curve DSA
이미 이전 버전의 .NET 버전에서도 DSACryptoServiceProvider라는 이름의 해시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NET 3.5에서는 이보다 더 진화된 알고리즘을 적용시킨 "ECDsaCng" 클래스를 추가시켰습니다. 아래에 보시는 것처럼, 사용법도 상당히 간단합니다.

using System.Security.Cryptography; // System.Core.dll 참조 추가

ECDsaCng dsa = new ECDsaCng(); // 생성자에서 random-key 키가 생성됨.
dsa.HashAlgorithm = CngAlgorithm.Sha256;

byte[] data = new byte[] { 21, 5, 8, 12, 2007 };
byte[] signature = dsa.SignData(data);

if (dsa.VerifyData(data, signature))
    Console.WriteLine("Verified");
else
    Console.WriteLine("Not verified");

뭐... 별다른 설명의 여지가 필요 없겠지요. ^^




3. Elliptic Curve Diffie-Hellman
직접적인 암호화 클래스는 아니지만, "키 교환"을 위한 알고리즘으로 ECDiffieHellmanCng 클래스도 추가되었습니다. 사용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alice의 컴퓨터에 있는 A 프로그램 ====
ECDiffieHellmanCng alice = new ECDiffieHellmanCng();
alice.KeyDerivationFunction = ECDiffieHellmanKeyDerivationFunction.Hash;
alice.HashAlgorithm = CngAlgorithm.Sha256;

SendAliceKeyToBob(alice.PublicKey); // Bob에게 전달
ECDiffieHellmanPublicKey bob = GetKeyFromBob(); // Bob의 공개키를 수신
byte[] bobKey = alice.DeriveKeyMaterial(bob); // Bob의 공개키로부터 암호화 키를 생성

==== Bob의 컴퓨터에 있는 B 프로그램 ====
ECDiffieHellmanCng bob = new ECDiffieHellmanCng();
bob.KeyDerivationFunction = ECDiffieHellmanKeyDerivationFunction.Hash;
bob.HashAlgorithm = CngAlgorithm.Sha256;

SendBobKeyToAlice(bob.PublicKey); // Alice에게 전달
ECDiffieHellmanPublicKey aliceKey = GetKeyFromAlice(); // Alice의 공개키를 수신
byte[] aliceKey = bob.DeriveKeyMaterial(aliceKey);

위와 같이 서로에게 임의로 생성된 공개키를 전달해준 다음 아래와 같이 각자 상대방의 키로부터 실제 "암호화"에 사용될 키를 생성해서 사용합니다.

==== alice의 컴퓨터에 있는 A 프로그램 ====
AesCryptoServiceProvider aes = new AesCryptoServiceProvider();
aes.Key = bobKey;

==== Bob의 컴퓨터에 있는 B 프로그램 ====
AesCryptoServiceProvider aes = new AesCryptoServiceProvider();
aes.Key = aliceKey;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는데요. 보시는 것처럼, 위와 같은 "Diffie-Hellman"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적용되어 공개키를 서로 교환해 봤자 "man-in-the-middle 공격"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바로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PKI를 사용해야 한다고 언급이 되어져 있는데요. 이렇게 되면 결국, 위의 "Diffie-Hellman" 알고리즘을 사용한다고 해도 기존처럼 인증서 등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는 변함이 없게 됩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5/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03-14 11시48분
kevin25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61정성태2/8/202215122.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7]파일 다운로드1
12960정성태2/8/202214335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12959정성태2/7/202215431.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2958정성태2/6/202216216.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2]파일 다운로드1
12957정성태2/6/202215177개발 환경 구성: 636. ffmpeg.exe를 이용해 planar 포맷의 데이터를 packed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2956정성태2/4/202214720.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2]파일 다운로드1
12955정성태2/4/202214103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12954정성태2/4/202213373VS.NET IDE: 173. 비주얼 스튜디오 - Output 창에 색상이 지정된 출력 결과가 "[39m[22m" 식의 문자로 나오는 문제
12953정성태2/2/202213413Linux: 48. Windows 11 + WSL 우분투 GUI 환경에서 한글 출력
12952정성태2/2/202214325.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1정성태2/2/202213781.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0정성태2/1/202214034.NET Framework: 1146. .NET 6에 추가되지 않은 Generic Math (예: INumber<T>)
12949정성태2/1/202213360.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파일 다운로드1
12948정성태1/30/202214034.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947정성태1/30/202215245개발 환경 구성: 634.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12946정성태1/28/202213911오류 유형: 792. .NET Core - 로컬 개발 중에 docker 호스팅으로 바꾸는 경우 SQL 서버 접근 방법
12945정성태1/28/202214013오류 유형: 791. SQL 서버 로그인 시 localhost는 되고, 127.0.0.1로는 안 되는 문제
12944정성태1/28/202217393.NET Framework: 1143. C# - Entity Framework Core 6 개요
12943정성태1/27/202216690.NET Framework: 1142. .NET 5+로 포팅 시 플랫폼 호환성 경고 메시지(SYSLIB0006, SYSLIB0011, CA1416) [1]파일 다운로드1
12942정성태1/27/202216155.NET Framework: 1141. XmlSerializer와 Dictionary 타입파일 다운로드1
12941정성태1/26/202217395오류 유형: 790. AKS/k8s - pod 상태가 Pending으로 지속되는 경우
12940정성태1/26/202213848오류 유형: 789. AKS에서 hpa에 따른 autoscale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12939정성태1/25/202214980.NET Framework: 114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3 오디오 파일 인코딩/디코딩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2938정성태1/24/202218179개발 환경 구성: 633. Docker Desktop + k8s 환경에서 local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
12937정성태1/24/202215763.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2]파일 다운로드1
12936정성태1/22/202215357.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