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OM 개체로 인해 IE 7 비스타 버전이 종료될 때 오류 화면이 뜬다면?

My Toolbar or BHO is Causing IE7 on Vista to Crash on Close. Help!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tonyschr/my-toolbar-or-bho-is-causing-ie7-on-vista-to-crash-on-close-help

코딩에서도, "형식 안정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처럼, 점차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전반적인 제품군에서 "오류임에도 불구하고 덮어주던 방식"을 없애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위의 기사에서 언급하는 문제도 그와 같은 식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CoInitialize() / CoUninitialize()의 쌍이 맞지 않는 경우에 IE 6까지는 그러한 실수를 감안하여 문제가 없도록 되어 있었는데, IE 7부터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만약, 여러분들의 프로그램에서 - 사실 별도의 스레드를 만들지 않는 한 CoInitialize() / CoUninitialize()를 호출할 일은 거의 없지만, 만약 사용하고 있다면 반드시 그 부분에 대한 호출 쌍이 맞는지 확인하셔야 할 것입니다.

그러면서, "IInitializeSpy" 인터페이스를 소개해 주고 있습니다. 어허... 제가 그동안 많이 무심했습니다. 이런 인터페이스가 있었는 줄 처음 알았으니까요. (Windows XP SP1부터 지원되었다고 합니다.) 이 인터페이스는 CoInitialize / CoUninitialize 메서드들이 호출될 때마다 Pre/Post 콜백 함수를 불려지는 것을 목적으로 정의된 것입니다.

테스트 삼아서 간단한 예제를 한번 작성해 보았습니다. (참고로, 위의 기사를 쓴 사람은 절대로 ActiveX 개발자들이 자신들의 CoInitialize() / CoUninitialize() 호출 쌍을 보정하기 위해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지 말라고 당부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아래의 예제에 대해 컴파일 가능한 VC++ 8 프로젝트파일은 첨부파일에 넣어두었습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windows.h>
#include <objbase.h>
#include <objidl.h>

#pragma comment(lib, "ole32.lib")

class CInitializeSpy : public IInitializeSpy
{
public:
	CInitializeSpy()
	{
		dwCount = 0;
	}

	STDMETHOD(PreInitialize)(DWORD dwCoInit,DWORD dwCurThreadAptRefs)
	{
		::OutputDebugStr(L"PreInitialize\r\n");
		return S_OK;
	}

	STDMETHOD(PostInitialize)(HRESULT hrCoInit,DWORD dwCoInit,DWORD dwNewThreadAptRefs)
	{
		::OutputDebugStr(L"PostInitialize\r\n");
		return S_OK;
	}

	STDMETHOD(PreUninitialize)(DWORD dwCurThreadAptRefs)
	{
		::OutputDebugStr(L"PreUninitialize\r\n");
		return S_OK;
	}

	STDMETHOD(PostUninitialize)(DWORD dwNewThreadAptRefs)
	{
		::OutputDebugStr(L"PostUninitialize\r\n");
		return S_OK;
	}

	STDMETHOD(QueryInterface)(REFIID riid, void **ppvObject)
	{
		bool qied = false;

		if ( riid == IID_IUnknown)
		{
			*ppvObject = this;
			qied = true;
		}

		if ( riid == IID_IInitializeSpy)
		{
			*ppvObject = this;
			qied = true;
		}

		if ( qied == true )
		{
			dwCount ++;
			return S_OK;
		}

		return E_NOINTERFACE;
	}

	virtual ULONG STDMETHODCALLTYPE AddRef( void)
	{
		dwCount ++;
		return dwCount;
	}

	virtual ULONG STDMETHODCALLTYPE Release( void)
	{
		dwCount --;

		if ( dwCount == 0 )
		{
			delete this;
		}

		return dwCount;
	}

	DWORD dwCount;
};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CInitializeSpy *pSpy = new CInitializeSpy();
	ULARGE_INTEGER ulCookie;

	CoRegisterInitializeSpy(pSpy, &ulCookie);

	CoInitialize(NULL);
	CoUninitialize();

	CoRevokeInitializeSpy(ulCookie);
	return 0;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83정성태2/24/202219415.NET Framework: 1165. .NET Core/5+ 빌드 시 runtimeconfig.json에 설정을 반영하는 방법
12982정성태2/24/202219039.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12981정성태2/23/202216596VC++: 154. C/C++ 언어의 문자열 Literal에 인덱스 적용하는 구문 [1]
12980정성태2/23/202218858.NET Framework: 1163. C# - 윈도우 환경에서 usleep을 호출하는 방법 [2]
12979정성태2/22/202227603.NET Framework: 1162. C# - 인텔 CPU의 P-Core와 E-Core를 구분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2
12978정성태2/21/202220826.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12977정성태2/21/202224592.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
12976정성태2/21/202218942VS.NET IDE: 174. Visual C++ - "External Dependencies" 노드 비활성화하는 방법
12975정성태2/20/202219920.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74정성태2/20/202218621.NET Framework: 1158. C# - SqlConnection의 최소 Pooling 수를 초과한 DB 연결은 언제 해제될까요?
12973정성태2/16/202221899개발 환경 구성: 639. ffmpeg.exe - Intel Quick Sync Video(qsv)를 이용한 인코딩 [3]
12972정성태2/16/202219165Windows: 200. Intel CPU의 내장 그래픽 GPU가 작업 관리자에 없다면? [4]
12971정성태2/15/202224948.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7]파일 다운로드2
12970정성태2/15/202219483.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1]파일 다운로드1
12969정성태2/14/202218199개발 환경 구성: 638.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968정성태2/14/202218828오류 유형: 794. msbuild 에러 - error NETSDK1005: Assets file '...\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
12967정성태2/14/202217911VC++: 153. Visual C++ - C99 표준의 Compund Literals 빌드 방법 [4]
12966정성태2/13/202218837.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파일 다운로드1
12965정성태2/13/202217969.NET Framework: 1154.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12964정성태2/11/202218576.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63정성태2/11/202219694.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962정성태2/9/202218680오류 유형: 793.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 제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재고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12961정성태2/8/202217858.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7]파일 다운로드1
12960정성태2/8/202217021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12959정성태2/7/202218612.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2958정성태2/6/202221064.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2]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