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81. LINQ 개발 환경 설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60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LINQ 개발 환경 설정


지난 토픽에서 이미 개략적인 LINQ 소개를 드렸습니다. 그것을 읽고 혹시나 관심이 생기신 분들이 있을 거라 생각되는데요.

그럼, 이제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에 대한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사실, 웹 검색을 조금만 해도 아실 수 있는 사항이긴 하지만, ^^ 그래도 처음에는 막막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냥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현재(2007-02-10), LINQ를 공부하려면 아래에서 소개하는 2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VS.NET 2005 + Linq CTP 사용
기존 설치된 VS.NET 2005에서 Linq 관련한 CTP 설치 파일을 설치함으로써 Linq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단점이라면, Linq CTP 버전이 2006년 5월에 나온 것이 마지막이기 때문에, 지금도 그것을 가지고 공부하는 것이 가능하긴 하지만 많이 바뀐다는 것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C# 3.0과 DLinq, XLinq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CTP 버전을 설치해야 합니다.

  Microsoft Visual Studio Code Name “Orcas” Language-Integrated Query, May 2006 Community Technology Preview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1e902c21-340c-4d13-9f04-70eb5e3dceea&displaylang=en

정말 오래되었죠? ^^; 또한 거기에 "LINQ to Entities"를 공부하려면 다음을 설치하셔야 합니다.

 ADO.NET vNext CTP (Community Technology Preview) - August 2006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B68F6F53-EC87-4122-B1C8-EE24A043BF72&displaylang=en

위와 관련되어 EDM 디자이너도 프로토타입 버전이 공개되어 있는데 다음을 설치하시면 됩니다.

ADO.NET vNext Entity Data Model Designer Prototype, CTP (2006-09-27)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74BDA7B2-9CA9-4EEA-A33F-31942DDC9DBE&displaylang=en

BLINQ도 프로토타입 버전이 공개되어 있고,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BLINQ Current Version: 1.0 (released 6/13/2006) - Download
;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1/B/0/1B02E2C5-2F4D-4F28-803B-8EF038FC0406/BlinqSetup.msi

일단, "Linq May CTP"버전이 설치되어졌으면 "C:\Program Files\LINQ Preview\Docs\Hands on Labs" 폴더에 있는 워드 파일을 가지고 하나씩 따라해 볼 수 있습니다. 제공되는 워드 문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CSharp 3.0 Language Enhancements Hands on Lab.doc
  • DLinq Hands on Lab.doc
  • DLinq Hands-On Lab for VB Developers.doc
  • LINQ Hands on Lab.doc
  • XLinq Hands on Lab.doc

참고로, Linq May CTP 버전을 설치 후에는 "Smart Tag"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다음에 소개되는 방법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Workaround: Smart Tags in C# IDE do not work correctly in LINQ preview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hartmutm/workaround-smart-tags-in-c-ide-do-not-work-correctly-in-linq-preview
*** x64 운영체제에서는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VisualStudio\8.0\Packages\{A066E284-DCAB-11D2-B551-00C04F68D4DB}\SatelliteDLL"입니다.




2. Orcas CTP 사용
VS.NET 2005 차기 버전의 코드명인 Orcas가 2007년 1월 CTP 버전으로 공개되어 있습니다. 현재 비공식적으로 2월 CTP 버전이 이야기되어지다가 연기되어 3월 CTP버전이 예정된 상태입니다.

Orcas 1월 CTP는 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Microsoft Pre-release Software Visual Studio Code Name "Orcas" - January Community Technology Preview (CTP) (Installable Bits)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69055927-458B-4129-9047-FCC4FACAE96C&displaylang=en

위의 설치 버전뿐만 아니라, 아예 VPC로 구워진 것으로도 제공이 되는데, 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를 실행해 보기 위해서는 Virtual PC/Server가 설치되어져 있어야 합니다.)

 VPC 버전 - Microsoft Pre-release Software Visual Studio Code Name "Orcas" - January 2007 Community Technology Preview (CTP)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1FF0B35D-0C4A-40B4-915A-5331E11C39E6&displaylang=en

참고로, 위의 VPC는 Orcas에 관계된 것만 포함되며, 별도의 운영체제 부분이 설치되어져 있는 VPC 이미지가 하나 더 필요하므로 그것까지 다운로드 받으셔야 합니다.

 Orcas Base Image 
 ;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5/4/9/5499b008-8ae7-46f0-89ae-aeeb18df67ae/VSCTPBase.exe

모두 합치면 약 6GB를 조금 넘는 용량이기 때문에 기왕이면 네트워크 상황이 좋은 곳에서 받아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Orcas" CTP 버전에는, 기본적인 C# 3.0 및 .NET 3.5 기능들은 모두 구현되어져 있고, 지난 "LINQ 5월 CTP" 버전에서 구현된 Linq 관련한 어셈블리들도 최신 버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공부 수준이라면 이것을 가지고 공부하시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DLinq 관련한 일부 기능들이 병합되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그와 관련해서는 테스트 할 수가 없습니다. 향후 나오게 될 Orcas 3월 CTP 버전에서는 DLinq를 모두 포함할 예정이므로, 제대로 된 공부를 하려면 그 버전이 나올때까지 기다리셔야 합니다. (그 외에, Orcas CTP 버전에서는 Team Explorer도 동작하지 않습니다.)



대충 정리해 보면, "기본적인 C# 3.0 및 .NET 3.5" 기능들을 공부하고 싶다면, "Orcas 1월 CTP"로 공부하실 것을 권합니다. 하지만, 현재 나온 DLinq/BLinq 관련한 모든 기능들을 공부하고 싶다면, "Orcas 3월 CTP"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든가, 아니면 "VS.NET 2005 + Linq CTP" 조합으로 공부하실 것을 권합니다.

Orcas의 경우 side-by-side 설치가 되기 때문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에 VS.NET 2005와 같이 설치해도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VS.NET 2005 + Linq CTP" 조합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에 설치하는 것을 권장하고 싶지 않습니다.(왜냐하면, VS.NET 2005 IDE에서 빌드하는 컴파일러 자체가 변경되기 때문입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03-25 09시15분
kevin25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365정성태6/8/202310225오류 유형: 863. MODIFY FILE encountered operating system error 112(failed to retrieve text for this error. Reason: 15105)
13364정성태6/8/202312431.NET Framework: 2127. C# - Ubuntu + Microsoft.Data.SqlClient + SQL Server 2008 R2 연결 방법 [1]
13363정성태6/7/202312050스크립트: 49. 파이썬 - "Transformers (신경망 언어모델 라이브러리) 강좌" - 1장 2절 코드 실행 결과
13362정성태6/1/202311362.NET Framework: 2126. C# - 서버 측의 요청 제어 (Microsoft.AspNetCore.RateLimiting)파일 다운로드1
13361정성태5/31/202311918오류 유형: 862. Facebook - ASP.NET/WebClient 사용 시 graph.facebook.com/me 호출에 대해 403 Forbidden 오류
13360정성태5/31/202310895오류 유형: 861. WSL/docker - failed to start shim: start failed: io.containerd.runc.v2: create new shim socket
13359정성태5/19/202311475오류 유형: 860. Docker Desktop - k8s 초기화 무한 반복한다면?
13358정성태5/17/202311857.NET Framework: 2125. C# - Semantic Kernel의 Semantic Memory 사용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3357정성태5/16/202311262.NET Framework: 2124. C# - Semantic Kernel의 Planner 사용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356정성태5/15/202312490DDK: 10. Device Driver 테스트 설치 관련 오류 (Code 37, Code 31) 및 인증서 관련 정리
13355정성태5/12/202311639.NET Framework: 2123. C# - Semantic Kernel의 ChatGPT 대화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3354정성태5/12/202312799.NET Framework: 2122. C# -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설정을 한 경우, 한글 입력이 '\0' 문자로 처리
13352정성태5/12/202312089.NET Framework: 2121. C# - Semantic Kernel의 대화 문맥 유지파일 다운로드1
13351정성태5/11/202312612VS.NET IDE: 185. Visual Studio - 원격 Docker container 내에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1]
13350정성태5/11/202311706오류 유형: 859. Windows Date and Time - Unable to continue.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perform this task
13349정성태5/11/202312117.NET Framework: 2120. C# - Semantic Kernel의 Skill과 Function 사용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3348정성태5/10/202312838.NET Framework: 2119. C# - Semantic Kernel의 "Basic Loading of the Kernel" 예제
13347정성태5/10/202313271.NET Framework: 2118. C# - Semantic Kernel의 Prompt chaining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346정성태5/10/202312614오류 유형: 858. RDP 원격 환경과 로컬 PC 간의 Ctrl+C, Ctrl+V 복사가 안 되는 문제
13345정성태5/9/202314821.NET Framework: 2117. C# - (OpenAI 기반의) Microsoft Semantic Kernel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1]파일 다운로드1
13344정성태5/9/202315535.NET Framework: 2116. C# - OpenAI API 사용 - 지원 모델 목록 [1]파일 다운로드1
13343정성태5/9/202313224디버깅 기술: 192. Windbg - Hyper-V VM으로 이더넷 원격 디버깅 연결하는 방법
13342정성태5/8/202311952.NET Framework: 2115. System.Text.Json의 역직렬화 시 필드/속성 주의
13341정성태5/8/202311770닷넷: 2114. C# 12 - 모든 형식의 별칭(Using aliases for any type)
13340정성태5/8/202312089오류 유형: 857. Microsoft.Data.SqlClient.SqlException - 0x80131904
13339정성태5/6/202313309닷넷: 2113. C# 12 - 기본 생성자(Primary Constructors)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